|
막상 글을 쓰고 나니, 이렇게 많은 질문을 한 글에 써도 될지 의문이 많이 들었습니다.
고민을 하다가, 그래도 솔직하게 다 물어보자 쪽으로 결정을 내리게 됐습니다.
죄송하다는 말로 마무리 맺으며, 초보 보더분들, 그리고 루나님 칼럼의 독자분들 화이팅이요~~
-엣지 체인지 상-
1. 중심축 이론 기술에서
"축 이동을 제대로 이해해서 엣지에서 엣지의 전환은 자세의 변화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다른 방식의 라이딩을 하게 된다"
"갈아타기 방식이다"
"갈아타기 방식은 엣지 전환이 적극적으로 자세를 바꿔서 엣지에서 엣지로 갈아 타는 것임을 확실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차이가 있다."
엣지 체인지 상에서 "엣지 체인지 역시 행동의 영역이 아니라, 라이더가 처한 상태가 변하는 것"
-자세의 변화, 상태의 변화 서로 상반되는 말이 아닌가요? 갈아타기 방식은 무엇이며 어떻게 하는건가요?
-크로스의 힘, 즉 데크와 라이더의 궤적의 차이, 이런 차이를 만들어 내는건 시선이 맞나요? 이 시선은 엣지전환을 빠르게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이고, 이것은 상태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볼 수 있나요?
-반대로 자세의 변화, 즉 엣지각을 줄여줄 수 있는 앵귤, 예를 들어 힐턴에서 고관절 더 접기등은 자세의 변화로 이끌어 내는 엣지전환이 맞나요?
-양쪽발의 엣지부분을 딛고 일어난 경험은 업 언웨이티드에서의 크로스 힘이 맞나요?
2. "엣지 체인지의 역설(엣지 체인지 자세=앵귤 자세)은 반대로 말하면 앵귤자세를 통해 엣지 체인지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엣지체인지 <- 기울기 변화 <- 상태의 변화 <- 뒤집힘 발생 <- 앵귤자세
-앵귤자세로 뒤집힘이 발생한다는 생각은 틀린가요?
-맞다면 그 앵귤자세는 정확히 무엇인가요?
-그리고 앵귤자세와 뒤집힘 그리고 중력,리바운드, 크로스 힘은 도대체 어떻게 관련이 된걸까요?
3. 엣지감을 늘리는 동시에 뒤집기 힘까지 동시에 이해하는 연습법이 있다고 하는데 어떤게 있나요?
4. <롱턴에서 배워야 할 것> 4가지
a. 역엣지 구간을 버티는 균형감
-엣지 체인지 이후 노즈에 프레스를 만들어서 엣징이 생기는 턴 전반부를 의미하나요?
b. 턴의 타이밍 익히기
-time&coordination 또는 엣지전환 타이밍을 말하는건가요?
c. 몸을 크로스 시키는 궤적을 만드는 법
-시선을 멀리 한 스텝 일찍 턴이 향할 곳을 보는게 맞나요?
d. 데크가 돌면 상체도 맞춰줘야 하는 동조 로테이션
-양발에 엣지가 균등하게 들어가 있으면 동조로테이션을 하고 있다고 생각해도 되나요?
5. 비기너 카빙도 결국에는 충돌하는 턴을 해야 카빙이 가능한게 맞나요? 그러면 결국에 중력, 리바운드, 그리고 궁극적으로 크로스의 힘이 필요한게 맞나요? 비기너 카빙을 연습하는데 슬립이 많이 난다면 어떤 처방이 필요할까요?
6. "안정화 과정을 생략하고 엣지 체인지 타이밍을 '일찍' 가져와 보기"
-어떻게 이 안정화 과정을 생략하고 엣지 체인지를 일찍 가져올 수 있을까요?
-이것은 전진 업을 말하는건가요?
-비기너 카빙에서 힐->토턴 때 엣지 전환을 하려면 중심축을 바꿔야 하는데 이 중심축을 어떻게 일찍 가져갈 수 있을까요?
-중심축이 '힐'에서 '토'로 전환되기 전에 무작정 전진업 또는 노즈에 프레스를 주면 노즈 드랍이 될까요?
7. "턴 초반부 엣징을 확보하기 위해서 노즈에 프레스를 가해야하고 횡력이 약하기 때문에 전경의 자세를 취해야 한다.
"딥-카브를 위해서는 궤적 차이를 유지해야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턴 초반에 후경 턴 후반에는 전경"
-횡력이 약한 초보자는 턴을 전경->중경->후경 / 횡력이 강한 턴은 후경->중경->전경으로 가는게 맞나요?
8. 리바운드 - 데크가 위로 떠오르는 힘 / 크로스 힘 - 라이더가 데크를 뛰어 넘는 힘
"크로스 힘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안정화 과정을 최대한 줄여야 하고, 엣지 체인지 시작점 역시 더 빨리 잡야아 한다"
"적당한 시점에서(크로스 힘을 활용해서) 빨리 일어나 주는 것이 데크를 더 옆으로 이끌어 가는 원동력"
-안정화를 줄이고 엣지 체인지를 빨리 시작하는 방법은 엣지를 딛고 일어서는건가요?
9. 인클의 변화는 매우 미세한 앵귤에서 발생한다는데 과연 그 앵귤이 무엇인가요?
10. "기울기만 이용한 카빙턴"
"자세의 변화없이 외부 힘에 포커스가 됨" "외부힘을 활용한 엣지각 변경"
a. 중력에 의한 뒤집힘
b. 리바운드 / 업(활용 or 억제)
c. 크로스의 힘(데크와 라이더의 궤적 차이)
-업 다운 없이 기울기만을 이용한 카빙턴에 리바운드를 느낄 수 있나요?
-비기너 카빙턴을 연습하는 사람,즉 아직 엣지로 타는 법이 서툰 초보자들은 이런 크로스 힘을 느끼는게 불가능한가요?
11. 턴의 전반적인 문제(힐턴이 터짐, 힐턴 토턴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음, 엣지 체인지가 폴라인 근처에시 일어남 등등)
-> 충돌하는 턴이 아닌 낙하하는 턴이여서
-> 턴 전반부에 노즈 프레스를 줘야함
-> 엣지체인지 구간이 폴라인 근처라, 노즈에 프레스 주기 어려움
-> 엣지체인지 구간을 턴 중앙 또는 일찍 시도하려는 노력이 필요함
-> 엣지 체인지를 위해 2가지 요소가 필요
a. 데크를 기준으로 한 무게 중심 이동(앵귤)
i. 힐턴 엣지각을 작게 한다 - 무릎 접고, 고관절을 핀다 (이렇게 추측하는게 맞을까요?)
b. 슬로프를 기준으로 한 무게중심 이동
i. 중력, 리바운드/업, 크로스의 힘을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이동시킨다
-> 하지만 데크를 기준으로 한 무게 중심 이동을 선행하여 연습하면 앵귤이 강화되어 오히려 엣지각이 커질 수 있음으로, 슬로프를 기준으로 한 무게중심 이동 연습이 중요하다.
-여기서 질문은, 이 엣지 체인지를 위한 두가지 무게 중심 이동을 어떻게 연습해야 하는지 정말 모르겠습니다.
12. "업을 하면 엣지 체인지 하기가 쉽다"
a. "높은 자세에서 넘어지는 것이 더 컨트롤 하기 쉽다"
b.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는 반발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c. 반대로 신속한 엣지 체인지를 위해서는 반드시 다운 자세가 필요하다.
-여기서 질문은, 업을 빨리 하는 이유가 좀 더 빠른 엣지 체인지 타이밍 확보를 위해서인가요?
그래서 슬로프가 가파르면 가파를 수록 업이 빨라야 하는건가요?
13. 끌어차기와 다운 언웨이팅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제 경험에서 나온 힐에서 토 엣지전혼이 안되서 고관절을 더 굽혀서 엣지체인지를 한건 끌어차기가 맞을까요?
-로테이션-
1. 힐턴의 터짐의 문제는 뒷발에 엣지가 들어가지 않음에 있을 수 있고,
힐턴의 상위 부분 토턴의 문제이기도 하고, 즉 토턴 후반부와 힐턴 초반부의 엣지 체인지 시기가 늦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충돌하지 못하는 턴이기 때문이기도 한가요?
-힐턴의 문제 해결방안은
a. 앞무릎을 편다
i. 뒷발 엣지감을 강화시키기 위한게 맞나요?
b. 엉덩이를 데크 안으로 넣는다
i. 이것은 바인딩을 전향각으로 했을 때가 맞나요?
c. 하이백을 포워드 린을 강화한다
i 뒷발 바인딩 하이백을 접는게 맞나요?
d. 반대로테이션, 어깨를 닫고 탄다
i. 이것 역시 뒷발 엣지감을 강화시키는게 맞나요?
2. 비기너 턴을 위해서는 상체를 이용해야 하고, 요즘 트렌드는 하체를 이용해 데크를 돌린다고 하고, 너비스 턴을 하려면 업 다운이 필요하고, 그래서 고관절 접는것도 어느정도 필요한데, 턴의 발전을 위해서는 앵귤레이션을 자제한 기울기를 이용한 카빙턴을 연습하는게 맞는거 같고, 중급자는 상체보단 하체를 쓸 줄 알아야 할 거 같아서 하체 스티어링을 연습해보고 토션의 사용 방법을 몸으로 이해하게 되었는데 또 다시 턴을 인위적으로 만들어서 턴의 발전에는 별 효과를 주지 못해서, 이제는 어떤 방식으로 연습해야할지 감이 안옵니다.
-중심축 이론기술-
1. 턴 전반부 엣징 -> 프레스 생성 -> 원심력 생성 -> 충돌하는 턴 -> 턴 후반부에 낙하하는 턴 보다 프레스 운용이 쉽다.
-그렇다면 턴 후반부의 외경(고관절 접고 펴기, 무릎을 굽히고 펴는것)은 왜 필요한가요?
턴 후반부의 프레스 운용은 다운으로 충분하지 않나요?
-엣지각을 크게 만들기 위한 이 앵귤은 턴 후반에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요? 턴 전반부에 프레스를 만들기 위해 엣징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앞 무릎 펴기나 전진업이 있는데, 턴 후반부는 이미 프레스가 있으니 엣지각 확보가 필요한가요?
-턴 후반부에(중력+원심력)프레스가 더욱 강해져서 이 엣지각이 프레스를 감소시켜주나요? 그렇다면 엣지각은 턴 초반부에 프레스를 만들어주고 턴 후반부에는 프레스를 해소해주는 2가지 역할을 하는건가요? 프레스는 다운의 시간에 따라서만 결정되는것이 아닌가요?
2. 인클만을 이용하여 어떻게 엣지각을 만들 수 있을까요? 비기너 카빙턴을 연습하는 사람들은 엣지 사용이 익숙치 않은데 J턴을 엣지 사용이 익숙해질때까지 연습해야 할까요?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3. 전경, 후경 - 자세 변화로 만듬
토, 힐 - 자세 변화, 기울기로 만듬
-토, 힐에서는 어떤 자세 변화로 만들 수 있나요?
-전경, 후경은 그냥 상체를 왼쪽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될까요? 아니면 하체 무릎을 이용한 자세 변화를 가져와야 할까요? 상체를 이용한 무게이동과 하체를 이용한 무게이동에는 라이딩시 어떠한 차이점이 있을까요?
4. "기울이기 라이딩은 상체를 넘기고 하체가 따라오게 만드는 상체 위주의 라이딩"
"갈아타기 라이딩은 하체를 넘기고 상체가 따라오는 하체 위주의 라이딩"
-하체를 넘긴다는 말이 무슨말일까요?
-힐턴에서 엣지각 확보를 위해 무릎을 피듯이 다시 무릎을 굽힘으로써 엣지각이 줄어들고 이에따라 엣지전환 타이밍이 생기는건가요?
-이것이 "하체 위주의 라이딩"이고 "갈아타기 라이딩"인가요? 아니면 그냥 단순히 엣지를 딛고 일어서는 행동인가요?
-이 갈아타기 라이딩과 하체를 넘기기 위해서는 어떠한 연습이 필요한가요?
-이 '갈아타기'와 중력, 리바운드, 크로스의 힘은 어떻게 연관이 되어있나요?
-턴에 대한 이해-
1. "턴을 진입하는 순간 생기는 가상의 벽은 바로 '노즈쪽 엣징'에 의해 생긴다."
노즈를 슬로프에 정확히 컨택 시키는 방법은 2가지로
a. 전진업
b. 앞 무릎펴기
-그렇다면, 데크의 방향을 바꾸는 방법은 상체 로테이션, 하체 로테이션(무릎 스티어링, 토션) 그리고 전진업 또는 앞 무릎펴기
맞나요? 궁극적으로 데크의 방향을 바꾸려면 노즈를 슬로프에 정확히 컨택시켜야 일어나는게 맞을까요?
2. 평지, 토턴, 힐턴에서의 업다운이 다 다르다고 하셨는데, 평지에서 무릎은 굽혀지지 않고 오직 고관절만 꺽이고 힐턴과 토턴에서는 고관절과 무릎이 같이 굽혀지는게 맞나요? 그렇다면 업다운도 앵귤레이션으로 볼 수 있을까요? 그렇다면 기울기만을 이용한 라이딩으로 크로스 힘 또는 리바운드의 힘을 느끼려면 다운이 없어야 하는게 맞을까요?
아 그리고 비기너 카빙의 슬립의 경우 보통 엣지 체인지 직후에 많이 날거라고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엣지 체인지를 할때
앞발과 뒷발을 한번에 넘기시는거에 집중하시고
엣지각을 너무 많이 주지 않는것과
어깨 무릎등등에서 로테이션이 들어가지 않게 제어만 잘하시면
몇일안에 슬립없는 깔금한 비기너 카빙을 할수있을겁니다
글을 쓰고 읽다보니 다소 질문이 공격적인 태도로 보여질 수 있어서 미리 사과드립니다.
제 의도는 전혀 그런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