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안쓰려다가 점심시간이 남아서 씁니다.ㅎㅎ)


'롬 타가 쓰다가, 플럭스 바인딩 쓰면 가벼워서 좋다.'는 말을 헝글에서 몇번 읽었습니다.

또는, '체력이 너무 빨리는 것 같아서 가벼운 플럭스로 갔다.'는 사용경험이요.



저는 이부분이 잘 납득이 안갑니다. 무게/하중에 대해서 주로 일을 하는 건 중력이고.. 라이더는 주로 무게중심이동을 통한 데크 콘트롤인데요..

그래서 어제 화장실에서 문득 든 생각은 이렇습니다.


순전히 라이딩만 고려한다면. (데크 들고다니는 것 제외)

- 롬타가가 더 하드하다. 플럭스가 높을수록 체중을 통해 데크를 끌?때, 몸-바인딩-데크의 힘전달 지연시간이 짧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더 많은 하중이 근력에 가해지게 된다. (보통 반응성이라고 표현하는..지연시간)

- 플럭스로 라이딩할때 무거운 타가보다 체력이 덜 빨리는 것은, 지연시간이 비교적 타가보다 길기 때문에(즉 반응성이 조금 낮기 때문에) 타가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같은 하중이 분포된다.(문장 표현이 좀 이상한데.. 다르게 말하면 특정 프레스까지 이르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 혹은 그 프레스까지 가지 않게 된다.)


둘 다 굿라이드에선 반응성 최상입니다.

그러나,, 순전히 라이딩만 생각할때,, 바인딩 무게의 차이로 인해 라이더가 하는 (물리적 표현으로) 일이 특별히 많이 증가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설면에서는 오히려 무게가 높으면 빠른 것도 있으니깐요. 속도 증가가 체중이동에 따른 데크콘트롤 자체에 대한 (물리적 표현으로) 일을 어느정도 상쇄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차피..2개다 크지 않기 때문에 무시할 수준이라고 개인적으론 추정합니다.


즉 오히려 피로도가 높다면,, 즉..흔히 표현하는 체력이 빨린다고 한다면,, 타가가 반응성(그러니까 하드해서 지연시간이 짧고 체중이동에 대한 응답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다른 말로 플럭스보다 짦은 시간구간에서 같은 프레스에 도달하기 때문에.

만약 타가로 타는 것이 정말 체력이 빨린다는 것이 객관적인 팩트라면.. 타가가 플럭스보다 반응성이 좋다..


이렇게 결론납니다.ㅡㅡ. 스케이팅이나 리프팅. 그외의 트릭여부는 제외. 순수 라이딩상태만 고려.


제가 생각한게 맞을까요?




엮인글 :

소리조각

2017.01.06 13:17:55
*.90.74.125

무게가 속도에 영향을 미치느냐는 오래된 토론주제이죠.... 무거운 공이랑 가벼운 공이랑 슬로프에서 굴리면 어느게 더빠를까... 물론 보더는 공이 아니니 단순하게 비교할순 없지만 별 차이 없을거라는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바인딩의 무게가 영향을 미칠수있는가? 개인적으로는 1kg도 안되는 무게차이라면 그냥 살을 1kg 빼는게 낫겠다 싶긴 합니다만, 어쨌든 데크와 바인딩의 무게는 영향이 있을수밖에 없습니다. 


그냥 카빙에는 별 차이 없을거라 봅니다. 그러나 대회에 나간다던가, 밴딩턴을 한다던가 할때는 영향이 없을수가 없죠.

기문을 타려면 풀카빙으로는 안되고 스윙을 해야하고, 밴딩턴을 할때도 언웨이팅시 데크를 위로 끌어당겨야 합니다.

당연히 장비의 무게가 영향이 없진 않을겁니다. 리프트 위에서 발목 부러질 것 같은 느낌은 덤이구요.


(소리조각)

라쇼몽

2017.01.06 13:22:13
*.193.203.63

음..글쎄요.. 무게가 그래봤자 몇백그람 차이인데.. 확~ 늘려서 몇십키로 단위 차이가 난다 가정했을때 컨트롤이 어렵잖아요? 그런 가정으로 보면 조금이라도 가벼운 장비가 반응성이 더 빠르지 않을까요? 하드함과 무게의 차이는 별개라 생각합니다. 그냥 근거도 없는 제 생각입니다.

깜냥깜장

2017.01.06 13:23:28
*.70.26.51

윗 분들 글도 보고,,제글 한번 더 읽어보고 든 생각인데..


가정이 틀렸을 수도 있습니다. 오히려 '반응성이 좋으면,,체력이 덜 빨린다.'일수도.


이 부분은 한번 다시 생각해봐야겠습니다. 허허. 긁적. 헷갈림.

깜냥깜장

2017.01.06 13:38:51
*.70.26.51

(무게 문제는 별도로 차지하고.)


반응성이 좋으면, 체력이 덜 빨리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그만큼 힘들이지 않고 데크가 넘어간다는 소리니까.. 적은?힘만 줘도 바로 바인딩통해 데크에 전달되어 반응을 한다는 소리니깐,,

근데 반응성이 안 좋으면,,그만큼 손실?률(이라고 해야하나,,지연시간이라고 해야하나)이 높기 때문에,, 같은 정도의 데크 반응성을 끌어내기 위해선 더 많은 체중이동/시간과 근력을 쓰게 되고,,


결국,, 반응성이 좋으면 체력이 덜 빨린다. 가 됩니다.

그렇다면 플럭스는,,(타가보다 가볍고) 반응성까지 좋다는 의미? ,,,


아이 씨. 어렵다. ㅡㅡ.

깜냥깜장

2017.01.06 13:42:48
*.70.26.51

요는.

제목이 이렇게 변경되어야 겠습니다.


체력이 덜 빨리면, 바인딩 반응성이 좋은거?


(일반 수준-그냥 상급포함에서. 진짜로 라이딩때만 고려시 체력이 덜빨린 바인딩이 있다면,, 그게 더 반응성이 좋은 거다. 라는 "잠정"적인 "개인"적 결론에 이릅니다. 맞는지 여부는 각자가 판단하셔야,,,할듯요.)


진짜로 타가보다 플럭스가 체력이 덜 빨리나요? 슬로프 내려올때? 흠.

깜냥깜장

2017.01.06 13:51:17
*.70.26.51

근데. 사실 타가가 알루미늄 합금이지만 플레이트와 나사로 연결되어 있는 2피스?짜리기 때문에..


1피스보다 이격(체결부위틈. 나사인장등)이 클 수 밖에 없는 것은 있습니다. 단순하게 생각할때..


그런점에서 타가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 두께와 플럭스 플라스틱 프레임 두께를 고려할때 둘이 거의 강도차이가 없다면..

아무래도 원피스가 힘 전달은 더 확실하겠네요. ㅡㅡ. 

두개 프레임의 인장강도 테스트를 해보면 좋을텐데..ㅎㅎ. 그리고 장착한 상태에서 부츠 양측 사이드로의 벤딩(휨) 테스트..


결국 이 글은 '카더라~' 일뿐인가요.?



상디

2017.01.06 14:17:22
*.110.235.183

제가 동일한 조건에서 비교하면서 타봣습니다. (롬타가vs플럭스SF) 실력이 미흡해서 반응성이 크게 다른건 느낄수 없었고, 확실한건 무게로 인한 발목의 피로감이 훨씬 더 많이 느껴졋다..인데 이게 라이딩중에 그런건지 스케이팅때문에 그런건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리틀 피플

2017.01.06 15:27:24
*.188.38.124

"비밀글입니다."

:

엄마찾아원에리

2017.01.06 15:46:05
*.62.216.31

롬 타가는 착용감 자체가 피로도를 올려줍니다.

무거워서 힘들다보단
무겁게느껴져서 힘들다 라고 생각합니다.

한시간씩 번갈아 타보면 체감이 올겁니다.

빨간단무지

2017.01.06 16:09:11
*.33.162.226

라이딩도 라이딩이지만 스케이팅이나 립트에서의 피로감이 엄청나서 ;;; 저도 플럭스로 갔습니다

실비아

2017.01.06 16:25:41
*.99.249.245

롬타가 써봤고 지금은 가장 가벼운 FC 바인딩 씁니다. 한쪽발에 200-400g정도 차이인데 뭐 별거 있겠어 싶겠지만

반응성 상관없이 무거워서 체력이 빠져요 양다리에 모래주머니 차고 뛰어 다니는거랑 비슷합니다(물론 그정도 무게차이는아닙니다)

비슷하게 더비를 올려도 힘들고 숏턴계열은 둔해집니다.

몸에 1kg이 더해지는게 아니라 가장 많이 움직이고 신체의 말단 부위에 무게가 더해져서 작은 무게라도 누적되어 차이가 나는것 같습니다.

꽃을든옥동자

2017.01.06 16:33:57
*.15.225.53

자동차 관련글에서 본거같은데 휠에서 1키로 감량은 차체의 100키로 감량과 같다 라고본거같네요


개인적으로 가벼운 장비 추구합니다 


체력적인 면에서 부담이 덜한거같습니당

엘떠비

2017.01.06 19:21:11
*.138.193.86

단순하게 무게로 인한 피로감이 증가하냐 안하냐를 보실거면


더비를 달고 안달고로 보셔도 비슷하지 않을까 싶네요


확실하게 더비를 달고 라이딩 하시면 피로감은 급 상승합니다.


즉 제 생각으론 무게가 높아질수록 피로감이 높아진다에 한표입니다


물론 반응성은 별도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무겁다고 반응성이 느려진다는 또 아닌거 같네요


예를들어 무겁지만 유격없이 잘 잡는것과 가볍지만 유격이 있는것과는 또 차이가 있을테니까요

STEP-ON버튼

2017.01.06 22:36:16
*.141.3.66

저는 무거운 스텝인부츠 바인딩 과

가벼운 일반 바인딩과 부츠

두개를 사용하는데요

반응이 빨라서 더피로하다       무게가무거워서 더피로하다

그런거모르겠습니다 .........................내가둔한지 ㅋㅋ

깜냥깜장

2017.01.07 11:23:35
*.237.139.30

;; 강철체력. 강철허벅지. 이신듯요. ㅊㅊ.

레드미라지

2017.01.07 12:22:07
*.62.173.19

무거우면 확실히 피곤 합니다. 그냥 날대로 타는것 만이 아닌 가끔 데크도 날려야 하고 당길때도 있고 들고도 다니기 때문에 누적해서 보면 힘이 더 들어갑니다. 간단하게 무거운 배트 휘두를때랑 가벼운거 단시간이 아닌 3~4시간 휘두르는 거랑 비슷하지 않을가 싶네요.

에데니동산

2017.02.01 13:51:42
*.104.146.226

[무거운 신발 vs 가벼운 신발] / 예시가 이상하다고 생각하시는분 은  차체 [무거운차 vs 가벼운차] 연비

입문트릭

2018.06.13 12:31:23
*.215.232.140

예전 10년 전 바인딩은 1~1.2키로 가 넘었죠.. 요즘껀 700~800 그램... 옛날꺼끼면 진짜 상당히 빨리 지치는 느낌이 들던데.. 이게 의식해서 그런지 모르겠습니다.. 블라인드 테스트를 할수도 없고 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96443
165914 익스왁스를 먹엿는데 엣지부분왁스가 떠요 [1] 꽃보다스노보드 2017-01-06 369
165913 수리 안해도 되겠죠? file [7] Ride_K 2017-01-06 489
165912 선생님들~ 오가사카 fc-x 선지름 하였는데 저한테 무리는 없을까요? [7] 백세청년 2017-01-06 845
165911 비발디파크 코리아오픈과 달마오픈일정 [2] 비온뒤맑음 2017-01-06 365
165910 초보 장비 조합좀 해주세요ㅜㅜ [9] 모뇨 2017-01-06 376
165909 웰팍 설질상황 어떤가요? [5] 아몬드좋아 2017-01-06 743
165908 스키티즈져크vs매트릭스풀티탄 해머 [4] 이러이쫭 2017-01-06 582
165907 L1 썬더팬츠 질문드립니다 [10] GDJo 2017-01-06 620
165906 일렉트릭고글 사망직전입니다. 도움부탁드려요. file [11] 오제이 2017-01-06 1009
165905 왼쪽 종아리 시작지점? 물집이 생기는데 왜이럴까요? [2] 노을안에 2017-01-06 458
165904 밑의 글의 추가 사진입니다 file [9] 승민이 2017-01-06 621
165903 새장비 구매했는데 셋팅이 이상하네요ㅠ 도움 부탁드립니다 file [14] 승민이 2017-01-06 799
165902 왼손잡이지만 레귤러로 배우는게 나을까요? [16] Laika 2017-01-06 531
165901 해외에서보드구매후 관세 [13] Suhyun 2017-01-06 488
165900 홀로그램 빨래판 교환문의드립니다! file [3] 남이랑 2017-01-06 377
165899 캐피타 나스 vs 라이스28 rt7 [10] 흰거 2017-01-06 889
165898 토요일 지산 새벽 vs 심야 [11] 룡이 2017-01-06 377
» 바인딩이 무거우면 체력이 빨린다? why? (라이딩) [18] 깜냥깜장 2017-01-06 865
165896 일본 3/6일날 가도 설질 괜찮을까요? [20] 보더동동 2017-01-06 540
165895 지산 렌탈샵 질문.. [1] Board_MAX 2017-01-06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