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쓰려다가 점심시간이 남아서 씁니다.ㅎㅎ)
'롬 타가 쓰다가, 플럭스 바인딩 쓰면 가벼워서 좋다.'는 말을 헝글에서 몇번 읽었습니다.
또는, '체력이 너무 빨리는 것 같아서 가벼운 플럭스로 갔다.'는 사용경험이요.
저는 이부분이 잘 납득이 안갑니다. 무게/하중에 대해서 주로 일을 하는 건 중력이고.. 라이더는 주로 무게중심이동을 통한 데크 콘트롤인데요..
그래서 어제 화장실에서 문득 든 생각은 이렇습니다.
순전히 라이딩만 고려한다면. (데크 들고다니는 것 제외)
- 롬타가가 더 하드하다. 플럭스가 높을수록 체중을 통해 데크를 끌?때, 몸-바인딩-데크의 힘전달 지연시간이 짧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더 많은 하중이 근력에 가해지게 된다. (보통 반응성이라고 표현하는..지연시간)
- 플럭스로 라이딩할때 무거운 타가보다 체력이 덜 빨리는 것은, 지연시간이 비교적 타가보다 길기 때문에(즉 반응성이 조금 낮기 때문에) 타가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같은 하중이 분포된다.(문장 표현이 좀 이상한데.. 다르게 말하면 특정 프레스까지 이르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 혹은 그 프레스까지 가지 않게 된다.)
둘 다 굿라이드에선 반응성 최상입니다.
그러나,, 순전히 라이딩만 생각할때,, 바인딩 무게의 차이로 인해 라이더가 하는 (물리적 표현으로) 일이 특별히 많이 증가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설면에서는 오히려 무게가 높으면 빠른 것도 있으니깐요. 속도 증가가 체중이동에 따른 데크콘트롤 자체에 대한 (물리적 표현으로) 일을 어느정도 상쇄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차피..2개다 크지 않기 때문에 무시할 수준이라고 개인적으론 추정합니다.
즉 오히려 피로도가 높다면,, 즉..흔히 표현하는 체력이 빨린다고 한다면,, 타가가 반응성(그러니까 하드해서 지연시간이 짧고 체중이동에 대한 응답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다른 말로 플럭스보다 짦은 시간구간에서 같은 프레스에 도달하기 때문에.
만약 타가로 타는 것이 정말 체력이 빨린다는 것이 객관적인 팩트라면.. 타가가 플럭스보다 반응성이 좋다..
이렇게 결론납니다.ㅡㅡ. 스케이팅이나 리프팅. 그외의 트릭여부는 제외. 순수 라이딩상태만 고려.
제가 생각한게 맞을까요?
(무게 문제는 별도로 차지하고.)
반응성이 좋으면, 체력이 덜 빨리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그만큼 힘들이지 않고 데크가 넘어간다는 소리니까.. 적은?힘만 줘도 바로 바인딩통해 데크에 전달되어 반응을 한다는 소리니깐,,
근데 반응성이 안 좋으면,,그만큼 손실?률(이라고 해야하나,,지연시간이라고 해야하나)이 높기 때문에,, 같은 정도의 데크 반응성을 끌어내기 위해선 더 많은 체중이동/시간과 근력을 쓰게 되고,,
결국,, 반응성이 좋으면 체력이 덜 빨린다. 가 됩니다.
그렇다면 플럭스는,,(타가보다 가볍고) 반응성까지 좋다는 의미? ,,,
아이 씨. 어렵다. ㅡㅡ.
근데. 사실 타가가 알루미늄 합금이지만 플레이트와 나사로 연결되어 있는 2피스?짜리기 때문에..
1피스보다 이격(체결부위틈. 나사인장등)이 클 수 밖에 없는 것은 있습니다. 단순하게 생각할때..
그런점에서 타가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 두께와 플럭스 플라스틱 프레임 두께를 고려할때 둘이 거의 강도차이가 없다면..
아무래도 원피스가 힘 전달은 더 확실하겠네요. ㅡㅡ.
두개 프레임의 인장강도 테스트를 해보면 좋을텐데..ㅎㅎ. 그리고 장착한 상태에서 부츠 양측 사이드로의 벤딩(휨) 테스트..
결국 이 글은 '카더라~' 일뿐인가요.?
무게가 속도에 영향을 미치느냐는 오래된 토론주제이죠.... 무거운 공이랑 가벼운 공이랑 슬로프에서 굴리면 어느게 더빠를까... 물론 보더는 공이 아니니 단순하게 비교할순 없지만 별 차이 없을거라는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바인딩의 무게가 영향을 미칠수있는가? 개인적으로는 1kg도 안되는 무게차이라면 그냥 살을 1kg 빼는게 낫겠다 싶긴 합니다만, 어쨌든 데크와 바인딩의 무게는 영향이 있을수밖에 없습니다.
그냥 카빙에는 별 차이 없을거라 봅니다. 그러나 대회에 나간다던가, 밴딩턴을 한다던가 할때는 영향이 없을수가 없죠.
기문을 타려면 풀카빙으로는 안되고 스윙을 해야하고, 밴딩턴을 할때도 언웨이팅시 데크를 위로 끌어당겨야 합니다.
당연히 장비의 무게가 영향이 없진 않을겁니다. 리프트 위에서 발목 부러질 것 같은 느낌은 덤이구요.
(소리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