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테이션이 없다 라는 판정을 받고
급경사에선 비기너턴으로 내려오고 완만하면 너비스턴으로 내려오고
연습을 했습니다
하다보니 내가 정말 보드를 잘못 배우고 있었구나 (독학;)
비기너턴쯤이야 했는데 어찌나 어퍼지던지 ~_~;;
익숙해지고 너비스턴으로 넘어왔더니 세상에 너무재미있네요..ㅋㅋ
마음은 카빙이다 타고 뒤보면 평탄화작업 되어있고 했었는데
초심?이라는 마음으로 상체쪽 로테이션만 신경써주고 업다운 크게크게 안주고 살짝살짝만 하고 내려오고
뒤쪽 나의 길을 봤더니 이 이쁜 S자는 저의 S자였습니다 카빙이 된거같기도 한것이 눈을 안쓸고 왔는데..
제가 한게 카빙인지 너비스턴인지 중간인지... 아..뭐 아무튼..ㅠ
다음에 2틀연속 출격 예정이라 하루는 마저 연습하고 두번째날 카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동영상은 꾸준히 보고있는데 제가 하고있는 너비스턴과 카빙턴의 차이는 알겠는데
너비스턴에 무엇을 추가해야 카빙턴이 되는지 그냥 단순하게 날만 새우면 되는건지....
막 슈슈슉 카빙턴하면서 가는분보면 점부다 상체 로테이션 같이 하고있는건가요? 제가 봤을때는 그냥 상체는 거진
가만이있고 업다운으로만 하는거같아서요..~!
잡소리가 많았습니다 너비스턴에서 카빙으로 넘어가고싶습니다
간단?하게 차이가 뭔지.. 어떤 로테이션을 추가해야하는지..
도와주세요
너비스턴은 솔직히 업다운의 타이밍을 몸에 익히는데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카빙턴이라는건 엣지만을 이용해서 주행하는 방법입니다.
제 생각을 말하자면, 엄밀히 말해서 너비스와 비기너 카빙은 상관관계가 없다고 봅니다. 다만 조금 더 상급의 단계의 카빙턴에서 업다운 동작을 통한 프레스를 가할때, 비기너 카빙에서 너비스턴의 업다운이 가미된다고 느꼈었습니다.
카빙으로 넘어가시기 위해서는, 마치 우리가 흔히 낙엽이라 불리우는 펜듈럼에서 비기너-너비스 턴으로 넘어가듯이,
J턴으로 엣지감을 익히고, 그리고 비기너 카빙으로 넘어가야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업다운 동작은 생략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