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어제 스키장 4번 가봤습니다.

잘타시는분(친구의 직장동료)이 저를 한번보시더니 턴은 어느정도 하는데

토우턴할떄 뒷발이 나간다고 하면서 그러시더라구요

그래서 집중적으로 이쁜원을 그리도록 연습했는데

우연찮게 앞발에 그니까.. 전 레귤러기때문에 왼발에

힘을 주는게 무언지 알게되었습니다. 그동안 상체로만턴을 했는데

턴을 하면서 덜덜 떨리는게 앞발에 무게중심을 주면서 힘을주니

한결 턴도 편하고 덜덜 떨리는소리가 없어지면서 쫙 가르면서 가더라고요 정말 제 생각대로 다되더라고요

너무 좋아서 업다운 하면서 경사 높은곳도 (휘닉스파크 호크 ㅋㅋ^^)도

가뿐히 내려왔습니다. 근데..

그동안 앞발에 힘을 안줘서 몰랐던 일을 알게되었습니다.

턴 방향으로 앞발에 힘을주니 부츠속 발이 움직이더라고요 뒷꿈치는 가만히 있는데 앞꿈치 발가락하고 발바닥 부분이

좌우로 움직입니다. 그래서 제가 힘을 주려면은 발이 부츠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그보다 더 마니 힘을 줘야데서

힘이 많이 들어가더라고요.. 거기다가 바인딩 앞부븐이 양발다 풀려버렸씁니다 -_-

 

어쩐지 발이 허전하다 하고 보니까 풀려있더라고요 -_- 후... 그후로 체력이 다했는지 넘어지고 앞구르기하고 하면서

막 뒹글거리다가 집에왔습니다.

 

진짜 그 앞발에힘과 무게중심의 차이 , 다른분들이 말하는 덜덜 떨리는 데크를 발로 누르고 쫙 가르면서 가는 느낌!

내 맘대로 마음껏 속도를 내서 하는턴! 정말 신세계였습니다. 막판에 10번정도 굴렀찌만요 -_- (안전요원이 다가와서 패트롤타고가라고-_-)

 

이런 신세계를 맛보니 정말 더더욱 재미있어졌는데요 이거 부츠안에서 앞꿈치가 움직여도 되는건가요? 이대로 괜찮은건가요 -_-

그리고 바인딩 앞이 자꾸풀려서 -_-

 

이거 어찌해야되나요? 참고로 전 올중고 세트입니다 ㅎㅎ

엮인글 :

소리조각

2010.12.05 19:27:50
*.164.219.175

원래 경사가 급하면 전경을 조금 주는게 턴하기 용이하죠.

대부분 급경사에서 턴이 안되는 이유가 경사가 무서워서 몸이 후경으로 쏠리기 때문입니다.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전경을 주게되면 터닝시 엣지각이 보다 많이 세워지고, 더욱 쉽게 카빙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게 바로 앵귤레이션의 한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부츠안에서 앞꿈치 움직이는건 아무래도 부츠가 크거나 부츠 밑부분 끈을 꽉 안조이신거 같구요

 

바인딩 풀리는건... 혹시 살로몬 바인딩을 앞쪽으로(토우캡으로) 하지않으시는지?

그런경우는 바인딩을 발등 위로 묶으면 어느정도 해결이 되는데

그 경우가 아니라면 이건 바인딩 불량이나 사이즈가 안맞는겁니다... A/S나 교체가 나으실듯합니다.

싼타킹

2010.12.05 19:38:46
*.41.73.4

네 토우캡으로 했습니다 근데 아무래도 중고를 잘못샀는지 -_- 발등위로 해도 자꾸풀려요 ㅠㅠ

근데 앵귤레이션 << 의 뜻이뭔가요? 전경은 앞발에 힘을주는걸 말씀하시는거죠?

나이런보더야

2010.12.05 19:55:15
*.185.246.213

슬로프와의 몸 기울기 이야기 하시는거 같은데요.

따랑해

2010.12.05 20:20:36
*.206.118.110

앵귤레이션이 뭐냐면요. 데크의 각을 만드는 방법중 하나에요.

 

즉 오토바이에서 커브를 돌때 바이크를 눞혀서 커브를 도는것처럼 스노우보드도 비슷하거든요.

 

이른바 카빙턴이라는것이 바이크으니 커브라고 보면 되고 일반적인 턴은 드리프트와 비슷하죠.

 

자 이렇게 각을 만드는 방법중에 앵귤레이션이라는건 무릅과 상체를 이용해서 각을 만드는걸 말해요.

 

간단하게 뒷꿈치를 드는 방법에는 발목힘을 이용하여 까치발을 들수도 있지만(보드에선 신발에 묶여

 

있어서 어렵죠) 무릅을 굽히고 투명의자와 같은 자세를 취해서 각을 만들수도 있죠. 이게 바로 앵귤레이션

 

중의 하나라고 볼수 있어요.

따랑해

2010.12.05 20:23:32
*.206.118.110

전경이라고 하면 몸의 중심이 데크의 앞쪽에 위치하는 상황을 말해요. 상급에서 전경을 주라는건 급경사일수록

 

몸의 중심이 뒤쪽으로 빠지기 쉽거든요. 그래서 의도적으로 앞쪽으로 몸은 던지듯이 해줘야 제대로 된 중심이

 

오는 경우가 많아서 그래요. 전경의 반대말은 후경입니다.

소리조각

2010.12.05 20:23:54
*.164.219.175

아무래도 바인딩이 좀 문제가 있는거 같네요... 부츠랑 사이즈가 안맞던가...

스트랩부분이 닳아서 그렇다던가...

 

그리고 전경은 앞발에 힘준다기보다는 앞쪽(진행방향쪽)으로 약간 기울여주는 걸 말합니다...

 

앵귤레이션은.... 여기서 다 설명드리기는 힘들고요.

카빙이론중에 인클레이션이 카빙시의 슬로프와 몸의 기울기를 뜻한다면

앵귤레이션은 무릎이나 허리등을 이용한 밸런스유지 or 중심이동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되겠구요.

전경을 주게되면 앞무릎이 좀 더 기울여지면서 카빙으로 진입 시

무게중심이 유효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게 해주기 때문에 앵귤레이션에 해당하는 셈이죠.

 

저도 주워들은 지식이라 정확히 아는건지는 모르겠지만 전 개념을 그렇게 알고있습니다.

shogun

2010.12.05 21:05:41
*.202.123.164

토우캡 양쪽이 다 풀린다는건 문제가 있는건데.... 일단 스트렙이 길이 조정이 가능하니까

길이 조종해보시고 또 한가지는 빨래판끝이 마모가되서 제대로 잡아주지 못할수도 있어요!

부츠채결후 바인딩앞쪽 스트렙보시면 칸칸별로 길이 조정이되니 일단 그것부터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아직은 초보시니 스피드나 경사보다는 안정된 자세로 내려오는 연습 많이 하세요!

안넘어지고 내려오면 좋치만 배우는 입장에서 넘어지는거에 너무 신경쓰지마시길...

넘어지지 않으려고 발버둥치다가 오히려 역엣지나 더 크게 넘어지는 경우가 많으니

넘어지더라도 안전하게 넘어지도록 연습하시구요!

보드를 타면서 초보나 상급자나 트릭연습을 하든 언제든지 따라오는게 역엣지나 넘어지는거니

넘어지는것도 기술이다 생각하고 즐기시길.........^^

mmm911

2010.12.05 21:16:36
*.154.218.5

저도 자주 넘어지는데 댓글이 많이 도움이 되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139253
6987 구피 할줄 아시는분들 답변좀... [9] 보드럽 2010-12-05 733
6986 장비봐주세요.잘아시는분들 답변바래요. [1] 고랭84 2010-12-05 410
6985 170/64키로 156은 너무긴가여?? [5] 프라임2 2010-12-05 690
6984 플럭스 타이탄RK관련 질문/.. file [4] 김주한_992033 2010-12-05 1292
6983 알리,널리,180 등 그라운드트릭에 좋은 데크 추천 부탁드립니다.^^ [8] 이마이 2010-12-05 979
6982 용평, 자가운전시 교통문의 [2] 아야루 2010-12-05 556
6981 캔디그라인드 파크 M 싸이즈 장갑 살수 있는곳 가르쳐주세요 ㅠㅠ [1] 무투호 2010-12-05 671
6980 보드복 물든거 질문좀드려요 [2] jc5279 2010-12-05 519
6979 롬데크 어떤가요? file [3] 함께해요~^^ 2010-12-05 819
6978 이월 버튼 데크 많은데 어디일까여?? [1] 프라임2 2010-12-05 1203
6977 렌탈샵에서 리프트만..... [2] chicano 2010-12-05 558
6976 톨티 긴것파는곳좀 알려주세요~ [2] 술방신기 2010-12-05 479
6975 키 168cm, 70kg 데크Size 149 트릭용으로 적당한지... [5] 죽방한데 2010-12-05 943
6974 아토믹이 살로몬꺼에요?? [4] 함께해요~^^ 2010-12-05 595
6973 버튼 a/s [3] AppeAlex 2010-12-05 443
6972 데크+바인딩 조립 관련~! [2] 황용웅 2010-12-05 738
6971 궁금 한게있습니다 꼭!!!역켐에대해서 [4] chicano 2010-12-05 545
» 초보인데요 자꾸넘어집니다 ㅠㅠ [8] 싼타킹 2010-12-05 663
6969 플로우사가 미국에서 또고있는 브랜드인가요?? [4] 정적 2010-12-05 711
6968 보더앤스키님에 의해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4] 보더앤스키 2010-12-05 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