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드에서는 린인을하면 자빠지기때문에 특정한 상황에서 아니면 할수 없을겁니다. 오토바이 경주에서는 밖으로 튕겨저 나가는 힘을 몸을 안쪽으로 기울이면서 코너를 도는 기술인데 보드로치면 엣지를 죽이면서 몸은 안쪽으로 더 길울이는 기이한 자세이기때문에 린인의 기술을 쓴다는것은 특정한 상황에서나 가능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드네요. 결국 우리가 카빙을 할때에 엣지각을 최대로 끌어올리는것을 목표로한다면 외경 즉 린아웃을 쓰게됩니다. 엣지각을 맥시멈으로 주고 그러한 맥시멈으로 준 기울기(엣지각)의 반대방향으로 무게중심을 보내서 넘어지지 않게 만드는 기술입니다. 리키님 영상에서는 어깨로 하시는데 기울인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어깨를 드는겁니다. 즉 영상에서는 아마 손을 유독 드는게 보일겁니다. 즉 토턴을 한다고한다면 왼쪽어깨가 내려가고 오른쪽어깨가 올라갑니다. 힐턴할때는 왼쪽어깨가 올라가고 오른쪽어깨가 내려갑니다.
이전에 슬턴영상에 박정환님이 덧글을 남기셨는데(제 영상은 아닙니다.)
먼저 벨런스를 확보한후 린아웃은 그후에 연습하라고 조언하시는것을 보았습니다. 린아웃은 슬로프에 어깨를 마추는것으로 충분하다라고 하셨습니다. 저도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화이팅
외경 = inclination
내경 = angura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