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생각엔 플렉스가 아닐까 싶네요.
일단 플렛캠, 락커-마이크로캠버-락커로 이어지는 캠버 혹은 좌우가 위로 좀 과하게 들려진 더블캠의 라이딩 덱들도 존재하고, 게다가 우리가 즐겨타는 보더크로스용 몇몇 해머들은 첨 받아보시는분들은 "이거 플랫 아니야? 이게 정상이야?" 할정도로 마이크로캠버이기도하고...
이놈이나 저놈이나 데크가 확 휘어서 턴호가 확 줄어버린다면, 기왕이면 단단해서 덜 떨리는 놈이 낫지 않을까요?
그립력은 둘째치더라도 일단 고속안정성의 차이가 너무 심할거라 봐요.
그 예전 라마가 부드러운 파우더데크 타는 영상이 기억나는데, 노즈가 부들부들 떨려대는게 인상적이었죠. 그 밑에 댓글쓰신분들도 저런걸로 어떻게 저렇게 타냐는 반응이었고.
그리고 고속안정성외에도 반응성의 차이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 몰랑 몰랑한 데크는 뭐 라이더의 가벼운 실수도 눈감아주지만, 그만큼 둔한 녀석이니깐요. 단단한 애들은 누를때 바로 반응해주는 예민한 녀석들이기에 라이딩에서 중요한 요소중 하나인 반응성에서도 단단한 녀석이 우위를 점하지 않을까 싶네요.
하드하더라도 과한 역캠으로 많이 휘어 저항을 받는 면적이 줄어들면 의미가 없고
정캠이더라도 말랑한 플렉스로 많이 휘어버리면 같은 이유로 의미가 업씁니다
어짜파 동일한 조건에서 캠버만 다른 보드나
동일한 조건에서 플렉스만 다른 보드가 잘없으니
역캠→갈캠→정캠 순으로 그립력이 높아진다
하드할수록 그립력이 높아진다만 알면 될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