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전향자세 질문

조회 수 1490 추천 수 1 2017.11.23 16:34:18
올시즌 첫개시와 함께 전향을 39 27 돌려서 타보았는데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작년 입문해서 기본기가 부족한 상태에서 노즈드랍 턴 요런식으로만 연습하여
동영상을 찍어봤더니 암담하거군요

1. 뉴트럴포지션은 턴과 턴사이에 엣지체인지할때 항상 유지하는 자세인가요??
2. 힐턴시 자세가 엉덩이가 발목보다 뒷쪽으로 빠지는게 맞는건가요??
3. 시선은 카시로 배울때는 먼산을 바라 보라고 했었는데 진행방향 바로 앞 말고 밑 슬로프를 바라보면 되는건가요??
4. 턴이 짧게 슬립 슬립 나면 다운 없이 턴 연습이 선행 되야 하나요??
아니면 다운하면서 턴을 길게 가야 하나요 팁좀 알려주세요 ..

전방에 골반을 열고 타려고 하니까 겁이 더 나서 슬립 슬립 되는거 같아요
턴은 짧아지고 ...팁좀 알려주세요 미리 감사 드립니다 ㅜㅜ
엮인글 :

레몽+

2017.11.23 16:37:43
*.58.54.7

베이직 카빙해보시고 감 잡으시길 바라고요 39 27의 각도만큼 골반 상체가 다 열려있나 확인하시구요 시선은 항상 데크진행 방향을 바라봐주시면 되구요 턴이 짧게 슬립슬립 나는건 아직 카시자세를 못벗어나서 그런거 같습니다 자세한건 영상으로 봐야 알 것 같네요

쥬비스콘

2017.11.23 16:47:54
*.33.153.123

감사합니다 영상 업로드해서 다시 조언을 구해야겠네요

20thcenturyboy

2017.11.23 16:39:56
*.78.84.152

1. 네

2. 질문이 잘...

3. 시선은 항상 진행 방향입니다.

4. 질문을 좀 더 명확히..



쥬비스콘

2017.11.23 16:48:20
*.33.153.123

글 솜씨가 바닥이라서 다시 정리해서 올려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thcenturyboy

2017.11.24 01:41:48
*.78.76.98

상태가 어떤지 좀 더 명확하게 전달하여 달라는 뜻이었습니다. 

그리고 '팁'으로는 해결되는 것이 없습니다. 

여기 게시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원포인트 받고 훨씬 나아졌어요~" 류의 이야기는 그 사람의 착각일 가능성이 매우 높죠. 물론 실제로 그 날은 나아졌을 수도 있습니다. 당연하다고 할 수 있죠. 고수가 봐주면요. 하지만 그 뿐입니다. 그 다음에는 도루묵 될 확률이 99%입니다. 


원포인트 받아서 안되던 게 되는 실력이면, 그 사람은 이미 고수입니다. 


뉴트럴을 이해하신다면, 그 다음은 프론트/백 사이드에서의 포지션을 익히고 그 사이의 무브먼트를 만들어 가는 것이 몹시 중요하다는 것은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프론트와 백에서의 포지션이 서로 다른 것이라 여기는 분들이 많지만, 실제로는 뉴트럴 포지션에서 엣지면만 바꾼 것입니다. 이걸 이해하고 포지션을 만들 수 있다면 보딩에서 한 단계 레벨 업 되실 겁니다. 


짧게 슬립슬립 --> 이게 무슨 뜻일까 했었는데.... 그냥 슬립이 난다고 이해하고 설명드리자면....


슬립이 나는 이유는 여러가지지만 초보자들의 경우는 대부분 털썩 주저 앉는 다운과 벌떡 일어나는 업이 원인입니다. 무브먼트는 항상 부드러워야 합니다. 그리고 끊김이 없어야 하죠. 설면에 엣지가 물릴 수 있는 임계값 이상의 힘이 실리면 슬립이 나는 겁니다. 엣지가 다 서지도 않았는데 털썩 주저 앉으며 가압을 하면 엣지는 눈에 박혀 있지 못하고 밀려나게 됩니다. 


데크를 바꾸고나서 포지션을 바꿔 보려 하시는 모양인데, 베이직 열심히 하세요. 

자칭 보드 좀 탄다 하는 사람들 중에 베이직 시켜 보면 제대로 못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베이직을 완전히 몸에 익히시면 슬라이딩이든 카빙이든 그런 건 금방 따라 옵니다. 

 

개껌마시쩡

2017.11.23 17:02:39
*.119.42.53

제가 아는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1. 네!


2. 님 바인딩각도에 뉴트럴포지션에서 프레스 줄때 더 인위적으로 뒤로만 안빼고 연습하시면 될겉 같아요

   음... 이건 저도 질문도 그렇고 답변도 정확하게 모르겠네요ㅎㅎㅎ


3. 윗분말씀처럼 진행방향을 보시면 될듯하네요


4. 슬립이 나신다면 현재 바인딩각에서 선 포지션으로 기울기로만 크게 베이직 카빙을 연습해보시면 될것같아요


저도 독학보더라 제가 느낀점입니다.


다른분들이 정정해주셔도 좋습니다~~

개껌마시쩡

2017.11.23 17:03:47
*.119.42.53

4. 더 첨언하면 슬로프를 넓게 넓게 쓰면 엣징감을 더 잘 느낄수 있더라구여 저의 개인적인 느낌에는요 ㅎㅎ

엄마찾아원에리

2017.11.23 17:06:07
*.62.163.192

1.뉴트럴포지션은
데크 노즈쪽으로 전향각만큼 골반이 열려있고
어깨도 열려있어야 합니다.
열린 상태에서 데크 가운데 체중이 있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2.발목을 기준으로 하기보단
데크 위에 골반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데크가 세워질수록 골반 및 엉덩이도 따라가는게 좋습니다.
데크가 90도만큼 세워져있다면
엉덩이는 설면에 닿을정도가 되어야겠죠.

3.시선은 데크노즈방향(데크가 가려는방향)에 있어야 합니다.
수시로 변한다가 맞는 말이겠지만
보통은 양쪽 펜스쪽을 번갈아 본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4.전향이 처음이시면 뒷발이 계속 슬립날수가 있습니다.
전향에 익숙하지않고, 테일쪽엣지가 박히기전에
프레스가 먼저 들어가는 현상도 자주생깁니다.
엣지를 먼저 넣어놓고 프레스를 주면서
데크의 진행방향으로 프레스가 들어가는 방향또한 따라간다고 생각해보세요.


말로 하려니 길어져서 오히려 도움이 안될지도
ㅠㅠ

여우비

2017.11.23 19:00:20
*.62.202.253

1. 네
2. 질문이 명확하지 않아요.앞발빼는 자세라면 뒤로 갈수도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양발사이에 엉덩이가 있는게 기본 포지션 이라 생각해요.
3. 시선은 노즈가 가르키는 방향을..
4. 슬립 나는 분들을 보니 엣지를 제대로 세우지 못하더라구요..비기너 카빙 연습 해보세요. 엣지를 못세우는거면 비기너도 안될꺼고.. 비기너는 잘되면 윗분들 말처럼 프레스 타이밍 문제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169793
181311 휘팍 지방셔틀 질문이요! [4] 러울 2017-11-23 511
181310 ㅂㅏ라클라바도 사이즈 있나요 ㅠ? 영크네요 ㅠㅠ [13] 미스타촤 2017-11-23 591
181309 초보 데크 ,바인딩 결합질문입니다. file [6] 호그라이더 2017-11-23 632
181308 정강이 통증 무슨문제인가요? [27] 탱탱히 2017-11-23 1114
181307 천안에서 하이원가는 유료셔틀버스 이용하시는분들 많으신가요?? [4] Evans25 2017-11-23 607
181306 하이원 마운틴허브~마운틴탑 구간 질문이요~ [4] 바른생활DJ 2017-11-23 512
181305 하.. 부츠 사이즈(길이) 질문좀요.. [14] 디날 2017-11-23 416
» 전향자세 질문 [9] 쥬비스콘 2017-11-23 1490
181303 요술장갑 추천 해주세요 [7] 장비쟁이꿀바람 2017-11-23 767
181302 무주 로컬분들 질문요 [2] 캠퍼보더 2017-11-23 442
181301 엣징맡겼는데 새데크 기스났다네요..어찌해야 할지;; [73] 예림이그패... 2017-11-23 2121
181300 지산 셔틀버스 질문 좀 드릴게요. [9] 초보초보입니다 2017-11-23 467
181299 인터미디어 슬턴의 업과 로테이션 타이밍... [24] 개걸스럽게... 2017-11-23 860
181298 발사이즈에 비해 발목-종아리 구간이 두꺼워요 [14] 파크그트꿈나무 2017-11-23 443
181297 여자 부츠 라인업좀 추려주세요ㅠㅠㅠㅠㅠㅠ [7] 보더2년차 2017-11-23 426
181296 하이원 강사좀 추천 부탁드려도될까요 [7] 암욜맨 2017-11-23 658
181295 일반데크로 5년 정도 타다가 해머데크를 하나 장만했는데요 [9] 보드타는헬스맨 2017-11-23 997
181294 해머덱 추천좀해주세요 [10] 배우고싶음 2017-11-23 624
181293 대구에서 하이원 가는길 질문이요 [5] 목캔디알파인 2017-11-23 426
181292 대명,,,, [3] wonjun 2017-11-23 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