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움짤은 얼마전 개장빵 갔을때 친구가 찍어준 제 영상중에
문제점을 보려고 힐턴부분만 편집해본건데요
개장 초기라 사람도 너무 많고 해서 깊게 깊게 탄건 아니지만
제 힐턴 보시고 고칠점이나 질문에 답변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셋팅은 42/30/56 으로 타고 있습니다
1. 우선 상체를 완전히 낮춰야 하는지 아니면 적당히 세워야 하는지가 헷갈립니다
고수분들도 스타일들이 조금씩 다 다르셔서
완전히 상체를 접고 거의 앞발쪽에 손을 대고 가시는 분들도 많이 계시고 반대로 적당히 세우고 타는 분들도 계시더라구요
저도 손을 앞발쪽에 갔다대고 상체를 최대한 접어서 타보기도 했는데
뭔가 좀 어색해서 지금은 좀 세우고 타는데요
전향각 입문 단계에서는 최대한 낮게 타려고 연습 해야 하는게 맞는 걸까요?
2.힐턴 진입시 다리를 적당히 펴서 엣지를 확보하고 기울이고 있는데요
진입할때 좀더 완전히 다리를 핀다는 느낌으로 내려누르는게 맞는건가요?
그리고 턴 내내 최대한 다리 핀상태를 유지해야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3.가끔씩 열고 들어간 골반이 턴후반부에 데크가 돌아가면서 닫히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런 경우에는 시선때문에 그런걸까요?
닫힐때 보면 데크는 펜스를 보면서 턴이 마무리되는데 시선은 슬로프 쪽을 보고 있더라구요
4.자세가 망가지는거 같아서 최대한 땅에 손대는걸 의식하지 않으려고 했는데요
이게 아무래도 슬로프를 쓸면서 내려가시는분들 보면 저렇게 타고싶다 하고 욕심이 생기더라구요 ㅎㅎ;
그래도 토턴 같은 경우는 골반만 확실히 접고 들어가면 자연스럽게 엣지각이 커져서 팔꿈치까지도 자연스럽게 땅에 닿게 되던데
힐턴 같은경우는 엣지를 완전히 세워서 엉덩이가 지면에 근접할정도로 타도 왼손이 땅에 스치는 정도 더라구요
일부러 땅을 손바닥으로 짚으려고 하면서 타면 자연스럽게 닿는게 아니라 짚으면서 타는 느낌이라 아닌거 같구..
고수분들은 왼손이 억지로 짚는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돌아나가면서 여유있게 갖다 대시던데
어떻게 접근해야 힐턴도 자연스럽게 동전이 주워질까요?
사실 작년에 처음 스노우보드에 입문했는데 여러 테크니컬 라이딩 영상에 완전 빠져들어서
시즌 중간부터 전향각을 시도 해본지라 눈밥도 부족하고 기본기도 정말 많이 부족하긴 합니다 ㅠ
혼자 연구하면서 이렇게 저렇게 타보는것도 재미라고 생각해서
국내 여러 고수분들 영상이랑 라마 켄타 수굴 같은 외국분들 영상도 비시즌 내내 한 수천번은 본거 같구
헝글이나 동호회 들어가서 질문글이나 팁글을 검색해보기는 하는데
이제 뭘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ㅎㅎ;
도움되는 팁이나 조언을 조금이라도 주시면 연습하는데 정말 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1 . 어깨만 열었지 시선과 골반은 그대로네요....
2 . 토에서 힐, 힐에서 토로 넘어갈때 뉴트럴 포인트가 안보입니다
3 . 해머를 신고 계시니까 정확한 자세로 데크만 누르시면 슬롭 경사와 사이드컷이 알아서 카빙을 해줍니다
위에 자세에서 포인트를 잡아 (시선 어깨 골반)을 확인하시고 흔히 애기하는 목욕탕 의자에 털석 앉음과 동시에
나의 모든 체중을 엣지에 올린다는 이미지 트레이닝을 계속 연습하세요 ....
아 예를 들어서 일부러 땅을 짚으려고 상체를 땅에 가까이 하려 할수록 보통 상체를 숙이기 때문에 엣지각은 안서게 되는데요
그러면 오히려 설면과 멀어지게 되서 결국 기울기도 확보가 안되고 엣지각도 확보가 안되는 어정쩡한 자세가 되게 되구요
반대로 상체를 설면과 멀어지게 반대쪽으로 세우려고 하면 엣지가 더 서서 오히려 상체가 세우려고 하는데도 엣지가 선만큼 설면과 가까워지게 되버려서 굳이 닿으려고 하지 않는데도 설면과 가깝게 되버립니다.
예를 들면 밑에 사진처럼 바이크의 린아웃 이라는 개념과 비슷합니다
중심보다 위쪽으로 몸을 세우니 바이크는 오히려 지면에 가깝게 근접하죠
근데 스노우보드는 데크에 다리가 고정되있기때문에 상체는 세우려고해도 몸 전체는 낮아지게 되서 결국 전체가 다 설면에 가까워지는 결과가 나오게 되는거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