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알고있는 개념과 일루미님이 설명하는 것과 다른 것 같은데..
린인 린아웃 린위드 를 바이크 관련해서 찾아보세요. 그림으로 쉽게 설명된거 있습니다.
턴이 들어갈때 몸의 중심축이 턴이 만드는 기울기의 밖에 있는 것을 린 아웃이라하고, 이때 데크는 설면에 각도를 주고 엣지가 박혀 있고, 다리까지는 데크에 수직이나 허리부터는 지표면에 수직으로 서 있는것으로 숏턴시 쉽게 볼 수 있죠.
린위드 같은 경우는 몸전체가 데크에 수직으로 베이직 카빙시에 쉽게 볼 수 있구요.
제 개념이 틀릴 수도 있고.. 저는 이렇게 알고 있습니다.
전향시 힐턴이 어려운게 이거때문에 데크밖으로 엉덩이가 빠지고 해서 엉덩이는 데크안으로 들이고 상체가 빠지는걸연습하고 있습니다.
슬로프 정상에서 내려가는 보더를 보면 턴을 하면 몸이 턴 안쪽으로 기울죠..그 사람이 데크에 뻣뻣하게 서 있고 베이직카빙을 하면 그게 린 위드 입니다. 린은 기울기고 기울기와 무게축이 같기에 위드..
아웃은 기울기의 밖에 있단 소리고..허리를 꺽어 다리까지는 기울기가 있고 상체는 지표면에 수직으로 기울기가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바이크를 타면 선수들이 코너돌때 땅에 무릎이 닿을 듯 한게 바이크 자체 기울기보다 사람이 더 기울어 기울기 안에 있는 린인 자세고.. 반대로 바이크만 기울이고 상체를 세운게 린아웃 입니다.
린아웃은 설면(슬로프)과 어깨의 수평이라고 이해하시면 쉬우실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