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저는 중국에서 보드를 타고 있습니다. 매주 주말마다 2022년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춍리라는 곳에 가서 보드를 타고 오는데요, 근 10년간 한국 스키장을 가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지만 중국 스키장도 꽤 좋은 것 같습니다.


이 춍리라는 곳은 자동차로 10-30분거리에 대형스키장이 7개정도 모여있는데요 눈은 거의 안오고 날씨는 영하10-20도 정도에 바람이 꽤 부는 곳입니다. 좀 춥긴한대 나중에 북경에 놀러오시면 한번 가볼 만 한 것 같아요.


여튼 원래 저는 카빙을 시도하다가 속도에 무서움을 느끼면서 덕스로 스타일을 바꾸었는데 그트도 무섭네요..헐...오히려 넘어지면 더 아프게 넘어지는듯 합니다. 


올해는 중점적으로 반대발라이딩(?)을 익히면서 360까지 도전해보려고 하는데 반대발은 어느정도 어설프게라도 탈 수 있게 되었는데 점프가 안됩니다. 엉엉


라이딩중에 아무리 높게 뛰어도 5CM도 못뛰는것 같아요. 첨에는 펌핑으로 180을 하다가 90도 밖에 못돌리고 땅에 자꾸 쳐박혀서..어제는 약간 널리처럼 점프를 하니 성공을 하긴 하는데 다른 분들처럼 부웅~ 착! 이런 느낌이 아니라 5CM뛰고 억지로 보드를 돌리는듯한 느낌입니다. 


이게 점프를 높게 못해도 몸 회전으로 360까지 돌릴수 있는건지 과연 올해 360을 할 수 있을지 막연하네요.

2KM 두번타면 무조건 한타임 쉬어야하는 저질 허벅지때문인것 같기도 하고..


이번주에 하루 시간더 내서 가봐야겠어요. 혹시 점프 정말 낮게 하는데 360 돌리시는 분계신가요?? 



엮인글 :

또빙

2018.02.05 12:50:30
*.244.74.242

탑승~ㅋㅋㅋ

또빙

2018.02.05 12:51:42
*.244.74.242

360정도는 높이와 상관없이 되는 겁니다만ㅎㅎ;;;;

BladiLin

2018.02.05 12:53:56
*.112.215.242

헐....그런가요? ㅜㅜ 저에게도 희망이 있군요!

지나가다가

2018.02.05 12:54:06
*.127.47.192

펌핑이라구 하나 그거 말씀하시는건가요 펌핑은 순전히 완전 노가다같은 개념같구여 알리가 그나마 데크탄성으로 뛰는건데 더 편하고 펌핑보다 높게 뛸수 있다는 고론점이 있습죵 물론 뭐든지 연습이 중요 중요합니당

BladiLin

2018.02.05 12:58:25
*.112.215.242

네- 감사합니다. 트릭 잘하시는 분들보면 알리 널리 안하고도 그냥 부웅 뛰어서 착! 하고 180을 하더라구요. 알리 널리도 당연히 계속 연습하다보면 더 높게 뛸 수 있겠지요? 역시 연습만이 답인 것 같습니다

다크호스s

2018.02.05 12:57:38
*.7.231.35

요령이 있다면......


발로 땅을 미는 느낌으로 뛰고 있다면 힘이들고 잘 안떠지는데요...


앉아있다가 상체를 벌떡 위로 올리고 나서 무릎을 접는다는 느낌으로 뛰시면 훨씬 좋아질 수 있습니다......


잘 안뛰어지고 쵹~쵹~ 뛰더라도 많이 뛰다보면 떠질꺼예요~




BladiLin

2018.02.05 13:01:23
*.112.215.242

넵! 감사합니다. 몸에 유연성이 부족해서 그런가해서..요가도 알아보는 중입니다.  근데 점프가 체력소모가 상당한 것 같아요. 연속 3번 뛰고나면 힘들어 죽겠다는..

또빙

2018.02.05 13:00:33
*.244.74.242

 평지에서 충분히 연습 후 초급 슬로프에서 천천히 가면서 연습하세요.

BladiLin

2018.02.05 13:03:18
*.112.215.242

넵 조언 감사합니다. 평지에서 몸 회전 연습을 더 많이 해야 할것 같아요. 

soulpapa

2018.02.05 13:16:01
*.96.183.186

널리든 알리든 탄성을 잘 이용하셔야 하니, 우선 노즈의 느낌을 먼저 잘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어느정도 속도에 노즈 탄성만 잘 이용하면 날아간다는 느낌이 날 정도로 훨씬 수월해 집니다. 

몸의 근력도 중요하겠지만 정확한 요령을 알게 되면 자연스럽게 쉽게 되니, 중국이라 원포 받기는 힘드실꺼구... 관련 동영상 많이 찾아 보시고 차근차근 해보시기 바랍니다.

BladiLin

2018.02.05 13:29:12
*.48.40.126

네 감사합니다. 말씀하신것 처럼 아직 데크 탄성을 이용하는게 익숙치 않은 것 같습니다. 성공은 못하지만 하나하나 새로 익히는 기분이라 엄청 재밌네요.

뛰는남자

2018.02.05 14:07:41
*.62.169.64

펌핑 알리도 그렇지만 순간적인 팝이중요합니다

펌핑줄때도 라인그리면서 엣지를 먹으면서 뛰지

마시고 베이스로 뛴다고 생각하면서 뛰어야지

원에리나 스핀계열 돌릴때도 폴라인으로 이쁘게

뛰어져요. 연습단계시니 약간의 토베이스로 계속

연습해보세요

The_Red

2018.02.05 14:16:56
*.39.58.172

모글 보이시면 타이밍 맞춰 노즈 드는연습해보세여....

화이트믹스

2018.02.05 14:56:57
*.122.144.72

살빼삼,,,,

호요보더

2018.02.06 18:04:46
*.62.178.210

펌핑은 알려줘도 쉽게 따라하기 힘들죠 위에 언급했듯이 순간적으로 바닥을 밀어내듯 팝이 들어가야
하는데 이팝이 제대로 높이가 나올려면 준비자세부터 팝이 들어갈때까지 무엣지(베이직이라면)혹은 스핀이라면 약간에 엣지 상태까지 준비하는 과정에서 힘을 빼고 자런스런 팝을 쳐야 높이가 나옴니다

호요보더

2018.02.06 18:07:07
*.62.178.210

다시말해서 준비과정을 편안하게 엣지나 활강상태를 유지했을때 높이가 나오죠 라이딩이(직활강) 유연할수록 더 자연스럽고 높게 뛸수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update [63] Rider 2017-03-14 43 314381
168726 어제 라이딩중에 바인딩 빨래판이... [7] 유정아 2018-02-09   762
168725 소총수 하나를 보내고... file [47] 탁탁탁탁 2018-02-09 18 2612
168724 곤지암리프트에서 담배를 피나 안피나 어차피 상관없습니다. [19] 곤지암 2018-02-09 2 2126
168723 혼보 하시는분들 보세요. [17] DJSANTA 2018-02-09 14 2278
168722 여러분 [6] 구디보더 2018-02-09 1 604
168721 2월9일 출석부 [46] 트릭을꿈꾸다 2018-02-09 1 311
168720 결국 버티지를 못하고 지름인증 ㅜㅜ file [13] 남이랑 2018-02-08 7 1500
168719 신택호 헤라3 어류겐.gif (feat 탁숙희 렌탈데크) [21] 볼아도리 2018-02-08 25 2692
168718 자존심 상하지만 스키어에게 배운다 [5] 레몽레인 2018-02-08 3 1700
168717 SBS뉴스 보는중인데.. [1] 짜샷 2018-02-08   1230
168716 아놔.... 스키점프 왜 중계안하죠... [11] TwothumbsUp 2018-02-08   1118
168715 푸념 file [5] 올때메로나 2018-02-08   779
168714 [하이원]장갑 찾아가세요. [3] 동전주워데... 2018-02-08 4 533
168713 렌탈데크 타는 신택호라이더... ㄷㄷㄷ file [25] 볼아도리 2018-02-08 17 3546
168712 생각없이 웃고싶다 [21] 내궁뎅이니꺼 2018-02-08 3 736
168711 손짚는버릇없애는 꿀팁 [7] 슬롭청소부 2018-02-08 3 1513
168710 요이~~~~~~!!! file [11] -DC- 2018-02-08   822
168709 음... 나쁜소식뒤에 좋은소식인가.. file [3] 샤이니썬 2018-02-08 2 1601
168708 후아~ file [3] 매주평일하... 2018-02-08   638
168707 왜 프리카버들은 턴체인지를 오래기다리거나 비틀어야 하는가 [16] 알미 2018-02-08 5 1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