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짧은 보딩경력이지만 그간 스피드로 인해 무서웠던적은 없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속도에 대한 두려움으로 런 중간에 끊고 다시가고 하는경우가 빈번히 생기는데요
문제점을 숙지는 하고 있는데 심리적인 부분이면 어떻게 극복을 해야되는지 사실 감이 잘 안오네요
자세가 좋아지고 안정감이 생기면 자연스레 극복이 되는지 아니면 정말 심리적으로 극복해야되는지
그리고 극복 노하우가 있으셨는지 여쭤볼게요
더군다나 쫄보인지 중급슬로프에서 이러고 있습니다.ㅡㅡ;;
공식대로 하시면 됩니다. ^^
중급에서 막히면 다시 초보 시절 하던 연습을 그 슬로프에서 합니다.
그러다 상급 올라가면 또 턴 안 되고 타이밍 못 잡고 프레스 안 박혀서 헤매게 되는데
이 땐 또 그 슬로프에서 쪽팔림, 리프트 갤러리 눈길.... 이런 거 다 쌩까고 다시 사활강부터 합니다. (낙엽은 될테니 생략~ ㅋ)
이렇게 타시면서 몸에 적응시켜야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상급까지 정복해 나갈 수 있습니다.
실제 프로 강습을 받아도 이렇게 합니다. 제발 무리하게 타시진 마세요...
속도는 제어를 해야 할 대상이지 심리적으로 이겨내는 개념이 아니에요... (저도 이거 깨닫는 데 한참 걸렸네요)
그래서 꼭 풀카빙이 아니어도 상급에서 슬턴으로 천천히 속도 제어하면서 라인 그리며 내려오는 분들이 고수인 거에요.
그리고 한 슬로프에서 숏/미들/롱턴을 자유로이 바꿔가며 구사하시는 분들이 잘 타시는 거고요.
무턱대고 타면서 넘어지면서 또는 다치면서 배우는거야...
이런 조언은 참 무책임할 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옆에서 보면 거의 직활강, 또는 턴 모양 불균형으로 그려 가면서 본인은 상급 잘 탄다는 분들 많이 봅니다.
결국은 슬로프 경사도에 맞는 자세 유지(BBP)인데 중요한 건 유지!! 에요
출발할 때 BBP 되어봤자 첫 턴에 무너질테니까요...
이걸 유지시킬 수 있게 기초 연습을 그 해당 슬로프에서 다시 하는 거에요...
이게 젤 빠른 길이라는 걸 멀리 돌아오느라 수없이 다쳐가며 잘못된 길 거슬러온 보더가 감히 말씀드립니다.
* 혼자 잘 안 되시면 주위 조언을 꼭 구하세요
열심히 한다고 해도 초/중급에서 몸이 알고 있는 힘 주는 방식과 타이밍이 상급에선 안 먹히는 때가 많거든요.
이럴 때 본인보다 먼저 그 길을 가 본 이들의 원포인트가 큰 도움이 됩니다.
공감해 주셔서 제가 더 감사합니다.
저도 초/중급에서 독학 실력으로 어느 정도 탄다며 기고만장 하던 시절이 있었고
속도를 못 이기면 상급은 영영 못 올라가는 줄 알던 때가 있어서
그 실력에 최상급 그냥 넘어지지만 않고 내려가는데 급급해서
몇 번 뼈 부러트려가며 탔지만 전부 부질없는 미련한 짓이더군요 ^^
리프트 올라가는 내내 고민하고, 잘 타시는 여러 분들 조언도 듣고
강습도 받고, 레벨 테스트도 진행하면서 느낀 점들을 요약해서 적은 것 뿐입니다.
연습이 지루하고 또 창피하다고 느끼실 땐
잘 타던 프리에서 알파인 전향하고서 같이 몰려다니던 동호회 애들 옆에서 쏘고 다닐 때
알파인으로 낙엽을 초, 중, 상급 슬로프까지 모두 해 본 사람도 있다고 위안 삼으세요 ^^
(당연히 그렇게 배우는 거지만 알파인 위에 있으면 다들 잘 타는 줄로 아셔서 그런 눈길이 참 부담스럽더라구요 ㅎㅎ)
"오빠~ 저 데크는 뭐야? 신기하게 생겼다."
"응... 저건 알파인이란 건데 잘 타는 사람들이 타는 거야... 속도가 빨라."
리프트 대기줄에서 이 소리 듣다가 막상 그 커플 앞에서 낙엽, 사활강 시전. 빌어먹을 비루한 과도한 업다운.
그리고 몇 초 안 돼서 발라당~ 턴 한 번 해 보려다 또 벌러덩....
상급에서 제대로 한 번 타 보려다 20미터 나뒹굴기.... 타이밍 안 맞아 역엣지.
'아~, 프리였으면 여기 날아다닐텐데 ㅜ'
이거 수없이 했네요....
몇 번 집중해서 연습하면 한 시즌 내내 타도 안 되던 게 쑤욱 되는 걸 느끼실 거에요...
창피함은 잠깐이고 사실 신경쓰는 사람도 없어요....
겉멋으로 타다가 대박 자빠링하거나 사고 내는 게 더 창피한 거지요...
목표 슬로프를 정했으면 그 슬로프에서 연습을 전체 보딩 시간의 70% 이상 투자하세요
답답하다고 아랫급 슬로프 가셔서 신나게 타는데 시간 보내면 배움이 늘지 않더라고요...
자세가 높아져서 그런듯합니다. BBP를 낮춰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