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h1.JPG

신택호님 베이직 카빙 영상의 스샷입니다 힐턴전에 뉴트럴 자세에서 상체를 슬로프쪽으로 눕혀서


힐턴하는 모습인데요


p1.JPG


p2.JPG

p3.JPG

히든님 유투부에 있는 김푸린님 힐턴 스샷입니다 뉴트럴포지션에서 힐턴 진입시 상체는 슬로프쪽으로


안눕고 오히려 수직?으로 서있는상태로 하체만 슬로프쪽으로 누워서 타시는데.. 김푸린님 뿐만 아니라


잘타시는분들 보면 베이직 카빙할때 처럼 상체가 슬로프쪽으로 눕지 않고 위에 스샷처럼 타시더라구요..


상체가 저런 상태인데 하체 기울기는 어떻게 주는건지 혼동이 와서요.. 베이직 카빙 연습하고 있는 초보입니다


허락없이 영상 스샷 퍼와서 죄송합니다 문제될시 삭제할게요







낙타뒷발

2018.02.13 08:23:38
*.111.28.164

이해가 잘 안가는데
자세 똑같이 따라해보세요

에휴그돈이면

2018.02.13 08:35:40
*.125.75.6

카빙시 기울기 줄때요. .토턴은 베이직 카빙이든 뭐든 상체가  슬로프쪽으로 기울어져서 타는거 같은데

 힐턴은 베이직 카빙할때는 첫 스샷처럼 상체를 슬로프쪽으로 눕혀서 기울기 줘서 타고 베이직카빙

말고는 밑에 김푸린님 스샷처럼 상체를 슬로프쪽으로 눕혀서 기울기를 주는게 아닌것 같아서요




유정아

2018.02.13 08:34:57
*.223.18.43

저게헷갈려보이는데..베이직카빙시에는 상하체 다운이거의없다시피하고 베이직을넘어서면 김푸린님과같이 기울기시작과 동시에 다운이 시작되서 그렇게뵈는것같습니다.

에휴그돈이면

2018.02.13 08:44:24
*.125.75.6

네네 저도 다운을 줘서 저런건가 생각했는데 영상을 아무리 돌려봐도 상체를 슬로프쪽으로 눕히는 모습이 

전혀 보이질 않아서요 베이직 카빙이 아닌 업다운이 들어간 카빙시에는 기울기 주는 방법이 틀린가해서요ㅎ

액슬매냐

2018.02.13 08:46:17
*.130.103.211

기울기를 상체로 주면 상체만 먼저 넘어갈 수 있습니다. 내경(린 인)

신택호님은 기울기만 들어간 모습이고,(외경을 배제하고 기울기만 주는 연습 방법)

김푸린님은 골반을 다운시키면서 기울기와 외경(린 아웃)이 같이 들어간 모습입니다.


엣지각을 확보하기 위해 기울기만 줄 수도 있고,

기울기 이후에 외경을 줄 수도 있고,

기울기와 외경을 동시에 줄 수도 있습니다.

에휴그돈이면

2018.02.13 09:39:30
*.62.203.22

아 저게 외경이군요 외경이 어깨 라인을 슬로프랑 평행으로 만들라고 들은거 같아서 외경은 어깨를 말하는줄 알았습니다

천바타

2018.02.13 09:16:22
*.47.228.232

외경을 주냐 안주냐의 차이아닌가요.. 신택호님은 말그대로 베이직카빙.. 기울기로만하는 베이직카빙이기때문아닌가요?..


그냥 뇌피셜입니당 ㅎㅎ

간튜닝

2018.02.13 09:20:48
*.39.139.89

베이직 카빙에선 인클로 엣지각을 확보하는데, 그렇게 하려면 토턴이든 힐턴이든 턴 안쪽으로 몸을 기울이게 됩니다. 신택호님 힐턴처럼요..
근데 베이직카빙으로는 엣지가 많이 서지도 않고 무게 중심이 많이 빠져있어서 인클만으로는 공격적인 카빙이 어렵습니다. 때문에 내경에 외경을 줘서 엣지를 세우는데 힐턴에서의 외경은 고관절을 접는겁니다. 김푸른님의 상체가 세워진 모습이 외경을 준거고 저기서 외경을 더주면 가슴과 무릎이 더 가깝게 됩니다.

moalboal

2018.02.13 09:22:27
*.237.59.88

찍는 방향에 따라 실제와 달리보이기도 하죠. 확실히 신택호님은 기울기로만 타는 것 같아 보이지만 정면에서 보면 약간의 외경은 들어가지 않았을까요.

naskl

2018.02.13 10:07:17
*.111.14.82

실제 인체공학적인 고려를 배제하고 단순 원리로만 본다면 크게 인클(몸 전체 기울기), 앵귤(허리숙임) 두가지로 구분 할 수 있을 것 같구요. 인클을 많이 줄수록 무게중심은 턴반경에서 원의 중심쪽으로 들어갈것이고, 앵귤을 많이 줄수록 무게중심은 원 바깥으로 나갈겁니다. 이런것을 생각할때는 양 극단을 생각해보면 이해가 쉬운데요.

1. 앵귤 전혀없이 인클을 극한까지 준다. -> 바닥에 누워서 못일어남

2. 앵귤을 극한까지 준다. -> 무게중심이 머리쪽으로 쏠려 원 바깥으로 튕겨나가며 넘어지겠죠


인클은 일정 이상 주는것은 힘들죠. 인클을 주면 줄수록 엣지각이 커지고 턴반경이 작아져 원심력이 강해져서

바닥에 눕지않고 다시 일어나는것이 가능은 합니다. 그 예가 익스트림카빙이죠. 하지만 완벽하게 인클만으로 바닥에 눕는건 불가능합니다. 엣지각이 일정이상이 되면 그립력이 오히려 하락하기 때문이죠. 극한으로 작은 턴반경을 그릴 때 생기는 원심력을 감당할만한 그립력은 엣지가 거의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에는 발생하기가 불가능합니다. 때문에 익스트림카빙도 온전히 엣지날에 무게를 싣고 카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손으로 땅을 짚고 타게되는겁니다.


때문에 앵귤을 줘서 무게중심을 원 바깥쪽으로 조금 밀어주어 데크 위에 무게중심이 오도록 조정 해 주는겁니다. 앵귤을 주는것을 엣지각을 세운다거나 하는 개념으로 생각하지 마시고, 인클만으로는 데크위에 무게중심을 올려놓을 수 없으니, 머리를 턴반경 바깥쪽으로 내밀어서 데크위에 무게중심을 올려놓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속도가 빨라서 원심력이 강하다면 앵귤을 조금만 줘도 될 것이고, 속도가 낮다면 앵귤을 극한까지 줘서 데크에 머리를 갔다 붙여야겠죠. 원심력은 턴반경, 속도 두가지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같은속도, 같은 턴반경이 아니라면 항상 다른 무게중심을 주어야 합니다. 이 무게중심을 잡는 역할을 앵귤이 한다고 보시면 되고, 항상 같은 자세로 타는것이 아니라, 현재 속도와 슬로프 상태에 따라 항상 최적의 포지션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연습이 필요 할 것 같네요.

앵귤을 주면 엣지각이 더 서는게 아니라 앵귤을 주면 무게중심이 원 바깥으로 나가기 때문에 인클을 더 줄 수 있다고 보시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사람은 무릎과 고관절이 한방향으로밖에 접히지 않기 때문에 힐턴의 경우엔 고관절, 토턴의경우엔 무릎을 이용해 앵귤을 주어야 하는데, 무릎보다 상대적으로 엉덩이가 더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좀더 전투적으로 앵귤을 주지 않으면 엉덩방아를 찧게 되는것이구요. 같은이유로 저속에서의 카빙은 힐턴은 불가능하지만 토턴은 가능합니다.


제 경우에 카빙을 연습하게 되면서 가장 큰 장애물이 되었던 말은 허리를 펴라 라는 말이었습니다. 슬라이딩턴과 기울기만으로 하는 베이직 카빙까지는 허리를 펴는것이 실력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나, 그 강박관념으로 인해 힐카빙시 허리를 펴게되어 과도한 인클로 엉덩방아만 수백번 찧은 것 같네요.. 엉덩방아를 자꾸 찧는다면 허리를 더 굽히세요. 다만 등은 펴세요

moalboal

2018.02.13 10:53:29
*.237.59.88

충분하고 이해하기 쉬운 설명이네요.
마지막 부분.. 그래서 누군가 등근육이 중요하다고 했나봐요

에휴그돈이면

2018.02.14 20:32:55
*.125.75.6

장문의 댓글 감사합니다 덕분에 앵귤이 뭔지 정확하게 이해되었습니다!

부릉부릉카빙♨♨

2018.02.13 10:09:22
*.70.26.144

보드가 이렇게 어렵습니다.
댓글로 또 한수 배우고 갑니다.
시즌 끝날때 까지 즐 보딩 안전 보딩 하세요~

신림동민이

2018.02.13 10:16:57
*.197.198.158

보드는 어려워 ..;;

천현민

2018.02.13 11:28:17
*.198.148.193

신택호님 = 프레스의 양이 많고 빠른속도로 카빙을 할때 유리합니다.

김푸린님 = 프레스의 양이 적고 빠른 턴체인지에 유리합니다.

에휴그돈이면

2018.02.14 20:39:51
*.125.75.6

안녕하세요 천현민님! 댓글의 내용이 정확히 이해는 안되지만ㅠ 누칼에 올리신 글들 잘보고 있고

많은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왕초보가족보더

2018.02.13 13:16:09
*.203.62.28

인클레이션과 앵귤레이션의 이론을 공부하시면 답이 나옵니다만...

naskl님이 잘 설명해주셨네요...


테크니컬(전향)도 베이직카빙시에는 BBP자세에서 인클레이션만을 이용한 카빙을 하게되고...

어드벤스드를 들어가면서 앵귤레이션을 사용하게되고... 이때부터 골반을 접는기술이 즐어갑니다...


골반 접는건 말로 설명보다.. 한번 시범을 보는것이 빠릅니다...(백문이 불여일견!!!)



에휴그돈이면

2018.02.14 20:36:45
*.125.75.6

인클과 앵귤에 대해 이해가 되었습니다! 근데 또 혼동이 오는게.. 흔히 말하는 업다운을 하는게 다운시

데크에 프레스를 주기위해 하는걸로 알고있는데 이때도 골반을 접으라고 하던데 앵귤을 위한 다운과

보드에 프레스를 주기위한 다운은 다른건 같은데 둘다 골반을 이용한다?? 이게 좀 이해가 안됩니다ㅠ

왕초보가족보더

2018.02.19 08:20:09
*.203.62.28

다운을 줄때 골반을 접는것은 앵귤을 주기 위함입니다...


엣지를 많이 세울경우 골반을 접지않는다면 몸의 중심이 데크 밖으로 너무 쏠리게되어 넘어지기 때문에 앵귤을 주기위한 자세입니다.



꿀빠는티거

2018.02.14 15:43:33
*.117.247.97

앵귤과 다운이 같이 들어간것도 있고
카메라 각도에 따라 그렇게 보이는것도 있네요
김푸린님 캡쳐도 정면샷이 있었다면
안헷갈리셨을텐데...
정면에서보면 앵귤과 다운이 들어갔지만
인클 들어간것도 확실히 보였을거에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96087
190501 데크랑 바인딩 조립할때 손으로?전동으로? [13] 컨피던스x 2018-02-13 426
190500 트릭입문하려합니다 알리널리 다음으로 쉬운 트릭 뭐가있을까요? [12] 크앙너굴맨이다 2018-02-13 719
190499 전향각 힐턴 질문드립니다. file [8] 캐피타 2018-02-13 1230
190498 보드는티칭2없나요? [3] 셋게임 2018-02-13 349
190497 트라이던트 260인데 플럭스xf 사이즈 몇으로 해야될까요 [3] 호평라이더 2018-02-13 445
190496 버튼 커스텀 엑스 어떤가요? [12] Magic_Medic 2018-02-13 1015
190495 플럭스 VS 드레이크 헝글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18] LAsas 2018-02-13 689
190494 0102 다니엘 프랑크 가지고 계신분 도와주세요 [4] Scally~ 2018-02-13 289
190493 넵썸 데크 문의드립니다 [3] 넵썸 2018-02-13 388
190492 동영상 자료실에 동영상 올리는법 [7] SuckS 2018-02-13 359
» 전향 카빙 힐턴시 기울기줄때 상체로 기울기 주는게 아닌가요? file [20] 에휴그돈이면 2018-02-13 2472
190490 이게 엣지각도 몇이라는거죠? [2] 율. 2018-02-13 920
190489 하이원 시즌권 놓고올시 [7] 윙윙 2018-02-13 547
190488 경사가 낮은 슬로프에서 어떻게 동전줍기가 가능한건가요?? [10] 에휴그돈이면 2018-02-13 1004
190487 맥스 패럿이 타던 노바데이라는 브랜드가 궁금합니다. [2] 새벼기 2018-02-13 532
190486 디렉셔널데크 [3] bluesukan 2018-02-13 702
190485 이 고글렌즈 질문이요 file [1] 항재 2018-02-13 381
190484 해머데크 조언 부탁드립니다 [8] 지민애비 2018-02-13 571
190483 캐피타 슈퍼노바 153 vs 156 고민입니다. [5] 고래의밥 2018-02-12 924
190482 보드 사이즈 문의드립니다. 마른남자....ㅠㅠ [16] 오징어징어보더 2018-02-12 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