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드의 원리를 생각해 보면 간단합니다.
보드는 베이스 전체를 바닥에 대고 있으면 전후좌우 모든 방향으로 미끄러집니다.
엣지를 세우면 노즈방향으로나 테일방향으로는 여전히 별 저항 없이 미끄러지지만,
엣지곡선의 바깥방향으로는 덜 미끄러지게 됩니다. 그립력이라고 하지요.
턴이 터진다.. 슬립이 난다.. --> 그립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엣지각이 부족한 것이죠.
테일슬립이 난다.. --> 테일쪽에서 그립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테일쪽에서 엣지각이 작다는 것이죠. 데크가 비틀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앞발은 하이백을 밀고 있는데 뒷발은 앞꿈치를 누르고 있기 때문이지요.
테일슬립을 줄이려고 그립력이 큰 노즈쪽으로 체중을 이동하게 되기도 하고
어깨/골반이 닫히기도 합니다. 앞발이 하이백을 덜 밀도록, 뒷발이 앞꿈치를 덜 누르고 하이백을 밀도록 해서
뒷발 엣지를 조금이나마 더 세워보려고.
(상체를) 턴호의 바깥쪽으로 기울이는 것을 말합니다.
하체를, 부츠를 턴호의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만들어서 엣지를 더 세우는 거지요.
엣지를 더 세우는 앵귤레이션을 말합니다.
반대로 엣지를 눕히는 앵귤레이션은 린인이라고 하구요.
토턴에서는 무릎을 더 구부리면 엣지가 더 세워집니다.
흔히 말하는 토턴의 다운이지요.
토턴을 이어나가는 동안 기울기(인클리네이션)를 붙잡는 역할을 합니다.
또, 상체를 세우면 엣지가 더 세워집니다.
흔히 말하는 토턴의 업이지요.
업으로써 다음 턴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기울기를 세우고 넘깁니다.
기울기가 넘어가면 토턴에서의 린아웃(업)은 힐턴에서는 린인이라서
다시 힐턴에서의 린아웃으로, 힐턴 다운으로 자세를 전환하여
엣지를 더 세워서 기울기를 붙잡습니다. 힐턴을 이어나가는 동안.
상체를 토엣지쪽으로 기울이는 것이 힐턴의 다운이지요.
턴을 마무리하려면
무릎을 펴면서 보드를 밀어내면 기울기가 세워지고 다음 턴으로 넘어갑니다.
힐턴의 업이지요.
전향각기준으로 어꺠오픈 고관절오픈 골반으로 제대로 프레스를 주어야하는데 뒷발을 못밟는경우가 많아요
저도 뒷발을 못밟았구요. 프레스가 테일쪽에도 딱 들어가야하는데 딥카빙만 신경쓰다보니 전경이되고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리니깐 테일이 털리면서 힐턴떄 계속 터지더라구요 ㅋㅋㅋㅋㅋ
테일 밟는거 연습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