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여건상 주 1회씩 라이딩 하고 있는 보린이 입니다...

이번 시즌 처음 시즌권 및 장비 구입해서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혼자 타면서 궁금했던 점들을 문의 드리오니 답변을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의 질이 떨어지고 어이없을 수도 있으나 이해 부탁드립니다..

1. 슬라이딩 및 카빙 턴 할 때, 회전의 크기(중심점 기준으로, R 크기)는 무엇이 좌우하는지.

2. 경사가 있는 상태에서 카빙턴을 하면 속도가 계속 붙던데, 조절하는 방법이 있는지..(초급 카빙 수준입니다.)

3. 슬라이딩 턴 할 때 보드가 턴 방향으로 가지 않고 밀리거나 끌리는 경우가 생기는데 문제점이 무엇인지.. (최근들어 생긴 문제점)

4. 슬라이딩 턴과 카빙턴시 무게 중심을 어디에 두는게 가장 안정적이고 정식인가요..? (중간으로 아는데 맞는건지)

5. 제가 노답인 상태인가요..?

데크는 커스텀x, 바인딩은 제네시스, 부츠는 팀투 사용중이며
레귤러에 15도 0도 타고 있으며
슬로프는 중급 평균 경사각 정도 타고 있습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엮인글 :

gentem

2019.01.28 23:47:29
*.12.39.200

1. 기본적으론 데크의 래디우스 값이지만 프레스나 여러가지 방법으로 회전의 크기는 바뀝니다.


2. 경사가 있는 상태에서 카빙턴을 폴라인쪽으로 떨어트리는 턴을 하기 때문에 속도가 계속 붙는겁니다. 펜스투 펜스로 카빙을

(
)
이렇게 하지말고 S로 더 찌부시켜서 해보세요

3. 프레스를 제대로 주지 못하거나 기울기 발란스가 깨져서 그럴 수 있습니다.


4. 중경이 답이지만 보통 전경 중경 후경으로 진입초기 중기 후기 등에 따라 무게중심은 바뀌기도 합니다.


5. 화이팅입니다 ^^/

스눕독

2019.01.28 23:49:54
*.39.138.249

감사합니다!! 혹시 2번 답변에서 찌부 시키라고 조언 주셨는데, 방법이 있을까요?!!

gentem

2019.01.28 23:51:41
*.12.39.200

J턴을 연습해보시면 어떨까요? 단 J턴 연습시 위에서 내려오는 사람을 체크하고 하셔야 합니다. 슬로프 역주행이니 그만큼 위험하구요. 

UvRay

2019.01.29 00:05:50
*.166.93.177

프레스를 더줘서 말아도되고 시선을 좀더 위쪽으로 잡으셔도 됩니다 

스눕독

2019.01.29 00:07:42
*.39.138.249

아 프레스가 강하면 진입하는 향의 안쪽으로 더 휜다고 이해하면 되겠네요?! 시선도 중요하군요... 감사합니다!

스눕독

2019.01.28 23:50:48
*.39.138.249

그리고 1번에서 프레스를 많이주면 어떻게 변하는지, 다른 방법은 무엇인지 매우매우 궁금합니다..

gentem

2019.01.28 23:57:32
*.12.39.200

프레스를 많이 주면 그만큼 데크가 휠테고 그만큼 더 잘 말려올라갈겁니다.


다른 방법이란것은 다만 턴이라는건 데크의 래디우스랑 프레스뿐 아니라 기울기나 프레스 타이밍, 무게중심이 전경이냐 중경이냐 후경이냐, 토션으로 비틀린 상태로 턴을 시작하는지 엣지 체인지 구간을 길게 가져가는지 짧게 가는지 (폴라인 없이 거의 바로 넘기는지) 등등에 따른 변수가 많기 때문에 무조건 이렇다는 없습니다.


그리고 또하나 가장 기초적인 로테이션이 혹시 제대로 안되고 경사면 아래로 계속 보고 계신건 아니신지요?

로테이션이 제대로 안되는 경우 턴이 떨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추가로 장비가...커스텀 엑스셨군여;;;;;

혹시 본인 키나 스펙보다 길거나 그렇진 않으신가요?

스눕독

2019.01.29 00:06:22
*.39.138.249

정성스러운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ㅜㅜ 연습을 많이 해야겠네요 ㅜㅜㅜ 154 데크 쓰고 있는데, 제가 174에 65키로 정도 입니다..

gentem

2019.01.29 00:13:42
*.12.39.200

저랑 비슷하시네요 ^^ 174/65면 보통 156 - 158 정도고 (라이딩에 집중시) 154면 편하게 타실 수 있는 데크이신데 지금 컨트롤이 안되는건 분명

- 로테이션 & 시선

- 프레스

- 기울기


중 잘못된 부분이 있기 때문에 떨어트려지는 턴이 되면서 계속 속도가 붙는 형태일겁니다. 

기본적으로 속도를 붙여도 되는데요 턴을 내가 어느정도 속도 이상일때 턴을 컨트롤 하셔야지면 속도 제어가 되니

S를 더 찌부트리고 J턴까지 로테이션과 프레스를 많이 줘서 연습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저는 151도 타고 155도 타고 158도 타고 좀 대중없긴 한데요 148도..;;;;;

154명 충분히 컨트롤 하기 적당한 사이즈시니 그 사이즈로 정복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 저도 주력은 153 154였어요.


요즘은 편하게 탈땐 151을 더 많이 타지만요

그럼 안보하세요~

스눕독

2019.01.29 00:16:53
*.39.138.249

정말 감사합니다!!! 참고해서 개선하겠습니다. 굿바되세요:)

gentem

2019.01.29 00:22:47
*.12.39.200

마지막으로 이건 ㅋ 꼭 말씀드리고 싶은건데요.


내가 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경사를 넘어선 경사에서는 연습하시지 않으시길 추천드립니다.


간혹 초보분들이 "이번주엔 최상급에서 내려왔어~" 라는 이야기를 하는데 사실 내려오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어떻게 어떤 자세로 내려오는게 중요합니다.


지금 데크를 초급에서 완벽하게 S나 J로 컨트롤 할 수 있으면 그 다음 경사에서 가능한지 그 다음 경사에서 가능한지

한단계씩 올리셔야 자세가 안무너지면서 턴을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카빙이라는게 일정 속도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완전 초급경사에선 힘들 수 있지만요;;;;;

UvRay

2019.01.29 00:10:42
*.166.93.177

1,2 번 답변은 위의 고수님 답변으로 갈음하도록 하고.. 


3. 슬라이딩 턴 할 때 보드가 턴 방향으로 가지 않고 밀리거나 끌리는 경우가 생기는데 문제점이 무엇인지.. (최근들어 생긴 문제점)

속도나 경사에비해서 턴이 확실치않으면 (로테이션 등이 모자라면) 슬라이딩이아니고 '슬립'이 되버립니다 

속도나 경사에비해서 턴이 지나치게 강하면 뒤가 많이 끌려버립니다 (제자리회전처럼 되버리죠) 그리곤 이내 경사에의해서 '슬립' 이생기겠죠 

내가하려는건 슬라이딩 '턴' 이다라는점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근데 저도못합니다^^
4. 슬라이딩 턴과 카빙턴시 무게 중심을 어디에 두는게 가장 안정적이고 정식인가요..? (중간으로 아는데 맞는건지)

저도 중간이란 말을 들었는데 제경우 토는 앞발 에서 뒷발로 턴이 진행함에따라 살짝 흘려서 엣지 첸지하기전엔 거의 후경이 되있습니다 이게맞는지는 잘모르겠습니다만 일단 터지진 않... 

힐은 저도잘터지는데 이 후경에서끝난토턴을 다시 앞에 실어주는게 늦나봅니다 

5. 제가 노답인 상태인가요..?

아니요 


써놓고보니 이걸답변이라고!!!ㅠ 

스눕독

2019.01.29 00:18:07
*.39.138.249

아직 실력도 경험도 부족해서 발생하는 문제들이 였네요.. 눈에서 더 많이 뒹굴어야겠네요 ㅜㅜ
답변 감사드립니다. 참고해서 연습하겠습니다 :)

134340

2019.01.29 00:12:06
*.156.72.87

1. 사이드엣지는 오목한 곡선으로 되어 있는데 -사이드컷반경

엣지를 세우면 데크가 휘어지면서, 설면에 접한 엣지곡선은 사이드컷반경보다 더 짧은 반경이 됩니다.

엣지를 더 세우면 더 짧은 반경이 되구요. 카빙턴의 반경은 그러하구요.


슬라이딩턴은, 테일은 엣지곡선의 바깥쪽으로 미끄러져 나가고

노즈는 여전히 엣지곡선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므로

보드의 진행방향은 엣지곡선의 연장곡선보다 안쪽으로 파고 들어가게 됩니다.

엣지를 많이 세울수록, 슬라이딩이 클수록(테일을 많이 내보낼수록) 턴반경이 작아지지요.


2. 턴 반경이 작을수록 감속이 크게 일어납니다.

턴반경이 작으려면 엣지를 더 세워야 하는 거지요. 엣지를 더 세우면 원심력이 더 크겠지요.

그래서 엣지를 더 세우려면 기울기를 더 확보해야 합니다.

기울기가 크면 다운(린아웃)도 더 커야 하구요.

즉, 엣지를 많이 세운 턴일수록 (기울기가 큰 턴일수록) 감속이 크게 일어납니다.

해당 경사에서 점점 가속되지 않을 최소 기울기? 최소 엣지각? 이상의 카빙턴을 해야 하는 거지요.


3. 해당 경사에서 슬라이딩을 만들수 있는 정도보다 엣지를 덜 세우면 노즈도 밀려나갑니다.

슬라이딩이 될 정도로 (노즈는 밀리지 않을 정도로) 엣지를 더 세우려면 기울기를 더 확보해야 하고

기울기가 크면 다운(린아웃)도 더 커야 하구요.


4. 기본적으로는 늘 중경을 유지해야 하는데

카빙턴 힐턴에서는 테일슬립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경으로 타기도 하고

슬라이딩턴에서는 전중후 체중이동이 더 효과적이기도 하고 ...

스눕독

2019.01.29 00:21:04
*.39.138.249

정말 중요한 정보들이 많네요.. 느끼는 점이 많습니다.!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드리며, 라이딩시 적용되도록 연습하겠습니다 :)

수호리자

2019.01.29 02:03:16
*.39.151.213

테일슬립을 방지하기위해서 전경으로 탄다라고 말씀하셨는데요 전 전경으로타니깐 테일쪽에 무게가 안실려서 슬립이 일어나던데 제가 잘못 타고있는건가요?
그리고 후경으로 타니깐 턴이 넘 크게 되던데
후경으로 타면 턴 호가 커지는게 맞는건가요?
넘 궁금해서 댓글 남김니다 ㅠ.ㅠ

134340

2019.01.29 14:13:54
*.156.72.87

사이드슬리핑이나 정지상태에서, 한쪽 발에 체중을 더 실어주면 어떻게 되나요?

체중이 덜 실린 쪽이 아래로 내려가나요? 아니지요 보통 체중을 더 실은 발쪽이 아래로 내려가지요.


체중을 더 실어서 그 쪽이 더 미끄러지는 것이 아니라

실은, 체중을 더 싣느라고 그쪽 데크가 더 눌러져서

그쪽 엣지각이 작아셔서 그쪽 그립력이 작아져서 그쪽이 더 미끄러지는 것입니다.


체중을 한쪽 발에 더 실으면서도 엣지각이 변화하지 않도록 하면

여전히 사이드슬리핑할 수도 있고, 여전히 정지해 있을 수도 있고


체중을 한쪽 발에 더 실으면서 반대쪽 엣지각이 작아지도록 로테이션하면 (체중을 더 실은 쪽 어깨골반은 산쪽으로, 반대쪽 어깨골반은 계곡쪽으로 로테이션하면)

체중이 덜 실린 쪽이 아래로 내려가게 할 수도 있지요.


테일슬립은, 테일쪽 엣지각이 작도록 데크가 비틀어져 있을 때 일어납니다.

테일슬립과 비슷한 것이 슬라이딩이지요. 힐턴 슬라이딩을 만들려면 어깨 골반을 열어주지요.


"전 전경으로타니깐 테일쪽에 무게가 안실려서 슬립이 일어나던데 제가 잘못 타고있는건가요?"

슬립이 난다는 것은, 엣지를 세운 정도가 부족하다는 것이고 (엣지를 더 세우지 못한 것은 확보한 기울기가 부족해서이고)

테일슬립이 난다는 말씀이라면, 전경자세에서도 아직 테일쪽 엣지각이 더 작도록 데크가 비틀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중경이나 후경으로 타면 테일슬립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제대로 타고 계신 거구요.


네.. 일반적으로 후경으로 타면 턴 반경이 커집니다.

망이댜

2019.01.29 00:53:00
*.102.72.124

장비는보린이가아니시네요!!화이팅입니다!!

업다운맨

2019.01.29 22:13:56
*.70.27.133

슬라이딩턴이라던가 기본은 센터가 맞습니다만
J턴으류한다고 할 경우를 뒷발에 더 무게를 둬야 앞부분이 위로 들리면서 경사면으로 올라갑니다.
액티브한 운동에서 무조건 이라기보단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기본은 센터 라고 받아들이시면 될거같습니다.

슬턴과 카빙은 무게를 엣지에 실어주는 타이밍이 반대입니다. 동일맥락에서 이해하시려면 맞지않아요. 슬턴은 12시.6시 방향에서 무게로 눌러서 속도를 조절하며 타는 법이고. 카빙은 3시.9시 방향에서 무게를 실어주는식으로 완전 반대성향이에요. 어렵게 업웨이티드 다운웨이티드 턴으로 구별하기도 하네요. 구글에서 용어 찾아보시면 찬절한그림설명이 많이나오니 찾아보세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168630
205519 하이원 아직도 촬영불가 인가요? [8] Seongminator 2019-01-29 900
205518 사고후 에폭시 견적 file [8] 짱돌맹 2019-01-29 897
205517 플럭스DS 바인딩 데크고정용 나사 [6] Parkho 2019-01-29 506
205516 데크에 맞는 바인딩 추천좀 부탁합니다 [2] 석진이형 2019-01-29 337
205515 덕 스텐스 역캠 데크로 급사 힐턴시 동전줍기를 못하겠네요. 데크를 바... [26] 반건조오징... 2019-01-29 1371
205514 이덕문 [22] DJSANTA 2019-01-29 1188
205513 맹장염 얼마나 쉬어야 하나요??? [6] 붕어오빠 2019-01-29 506
205512 보린이 턴 질문드려요 [4] 보더#에스독 2019-01-29 467
205511 K2 데크 좀 봐주세요ㅜ file [6] 헤드락과암내 2019-01-29 652
205510 중고보드 선택 도와주십쇼 !! [16] MENALDO 2019-01-28 828
205509 오투리조트 가는길 운전 험난한가요?? [6] zdaks 2019-01-28 808
» 보린이 턴 관련 문의 (질문 다수..) [19] 스눕독 2019-01-28 543
205507 레디우스 9.8-10.6-11.5면? [17] 쿠쿠큐쿠 2019-01-28 582
205506 이 바지 모델명좀 알수있을까요 file [3] 워니거니 2019-01-28 486
205505 보드 파손관련 문의드립니다(2) file [4] 안녕하세용 2019-01-28 576
205504 제 잘못인가요? 업체 잘못인가요? 해결방법좀 부탁드립니다.. secret [62] 이준영 2019-01-28 3676
205503 보드 파손관련 질문드립니다! file [5] 안녕하세용 2019-01-28 434
205502 1718 플럭스 바인딩 XV 검빨 버전 힐컵 깨짐 수리나 교체방안 여쭙니다 [6] 디에스 2019-01-28 528
205501 장비 구입 문의드립니다.. [1] 드림님 2019-01-28 156
205500 올라운드 데크(살로몬 오피셜 1819 vs 캐피타 DOA 1819) 어떤게 좋을까요? [7] Balen 2019-01-28 1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