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저번주말에 인생처음으로 보드를 배워서 하루만에 턴만 겨우뗀 수준입니다
사실 턴을 겨우 뗀 수준까진 금방 하더라구요.. 그이후에 8-9번 리프트를 더 탔는데 여기서 생각보다 실력이 빨리 늘지 못하더라구요..
1.
아직까진 턴이 자연스럽게 이어지지 못하고 힐턴과 토턴 의 1번씩의 s턴을 성공한이후에 바로 또 자연스럽게 턴으로 연결하지못하고 사이드슬리핑으로 (낙엽) 조금 내려온다음에 다시 턴을 들어가는 수준입니다.. 바로바로 턴을 주고싶으나 뭔가 동작을 바로 이어나가기엔 망설여지고 엣지전환이 잘안되서 넘어지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이게 연속동작이되야 자연스럽게 s턴의 연속으로 슬로프를 내려오는 라이딩을 하게 될수 있을거같은데.. 이거는 조금더 연습하면 턴이 잘된다면 자연스럽게 되는 부분인지 궁금함니다..

2. 너비스턴까진 그냥 턴을 자연스럽게 할수 있냐의 정도이구 턴을 짧게 가져가는 턴의 전환이 빠른 본격적인 라이딩을 할수 있는 수준이 인터미디엇 슬라이딩턴 부터로 알고 있는데 너비스턴까지 할수 있으면 바로 배울수 있는지요??
조금더 턴을 짧게 짧게해서 라이딩을 하는 보더들이 부럽더라구요...
3.
그리고 몇가지 더 궁금한게 있습니당.. 제가 레귤러 스타일로 타는데 어쩌다보면 왼발이폴라인을 향하지 않고 어쩌다가 오른발이 앞으로 오는경우가 생길수도 있잖아요? 그럴경우엔 그냥 다시 방향을잡아 레귤러로 잡고 턴을 해야하는건지 구피로도 탈수 있게 연습을 해야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제생각엔 제수준에선 아직 한가지라도 어느정도 수준을 끌어올리고 생각해봐도 되는문제같은데 맞을까요..?
4.
그리구.. 제가 강습을받을때 스케이팅교육을 안배우고 보드를 들고 리프트타고 올라갔었던지라.. 아직 평지에서나 리프트 승하차시 데크를 한발묶고 라이딩하는걸 전혀 못하는데.. 이건 턴을 할줄알면 자연적으로 할수 있다고 해서.. 이거도 연습을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더라구요...
5.
턴할때 아직 엣지를 전환해주는 타이밍을 잘 모르겠습니다.. 예를들어 토(백사드)에서 힐(프론트)사이드로 턴을할때 처음상태에선 토를 들어 엣지를 세운 상황에서 시작을 하잖아요.. 그이후에 상체 로테이션을 이용해서 시선과함께 턴을할때 폴라인방향으로 데크가 전환이되면 이땐 어느쪽에도 엣지를? 주지않고 활강하는 상태로 뒀다가 로테이션과함께 데크가 자연스럽게 전환하는 타이밍에 힐을들어 힐에 엣지를 주는게 맞는건지... 그 토턴과 힐턴사이의 엣지전환시 아무쪽에도 엣지를 세우지않는 그 타이밍이 언제인지 그게 감이 안와요... 말로설명하니까 횡성수설 하는거같네요... ㅜㅜ
6.
마지막으로 진짜 성급한 문제이지만 제가 이번시즌까진 장비를 렌탈할거같은데.. 아마 레귤러 스탠스에 15 0 의 바인딩 각도 였을거에요..
나중에 카빙을 하고 그럴경우에 요즘은 많이 전향각 스탠스로 타신다고 해서 저도 전형각을 생각해두고 있는데 전향각이 입문하면 처음부터 많이 연습을 해야 한다고 들었는데 제가 한번 탄 입문자라면 지금부터 그냥 전향각으로 입문해두면 더 좋지 않은지... 궁금합니다.. 전향각이면 뭔가 배우는게 다른지 궁금함니다..
그리고 카빙은 슬라이딩턴이 어느정도 숙달되면 넘아가는게 맞나요? 일단 이번시즌은 슬라이딩턴까진 능숙하게 하는게 목표입니다
질문이 너무 많아서 죄송합니다 ㅜㅜ
엮인글 :

채리필터

2020.01.01 13:47:58
*.155.251.179

메뉴에 보딩강좌에 라이딩에 보시면 박정환 대사부님의 주옥같은 강습 영상이 있습니다. 독학보더는 대부분 그거보고 연습하시면 됩니다.

날아라가스~!!

2020.01.01 13:55:10
*.130.43.224

말도안되게 성급하신경우입니다.

1. 속도가 느려서입니다.
2. 인터미디엇 슬라이딩과 너비스의 차이는 다릅니다. 쉽가라고 단정지을수는 없습니다.
3.레귤러부터 연습하세요.
4.그라운드에서 한발채우고 돌아다니세요.
5.더 타세요. 몇번안타신상태에서 이론만으로 설명하고 끝나지않습니다.
6.택도없습니다. 지금은 기어다니지도 못하시는 상태인데 뛰다니는것부터 걱정하시는 걱정입니다.

너무 급하십니다. 하루타시고 벎서 카빙운운하시지마시고 보드의 재미를 더 느껴보세요. 아직 해나가시면서 성취감과 고취감을 느끼실만한게 엄청 많습니다요...

iianqm

2020.01.01 14:51:34
*.204.85.28

감사합니다 저는 스탠스 개념을 잘 몰라서 그냥 전향각이 그렇게 어려운 단계인줄 몰랐습니다.. ㅜㅜ 일단 카빙 될때까진 렌탈데크의 15 0 각도로 쭉 타는게 맞는거같네요 ㅜ

송낙엽

2020.01.01 14:20:07
*.36.168.102

저도 하수지만ㅜㅜ 아는 내에서만 말씀드릴게요.

일단...보드 배우시고 너무 재밌어서 욕심이 많이 나시는 것 같아요.

헝글 보딩강좌에 있는 라이딩 박정환 레전설님 영상이 엄청 좋습니다.

이 영상 보고 배운 분들이 엄청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꼭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1. 턴이 자연스럽게 이어지지 않는건 당연히 초보시니까 그럴 수 있습니다.

라이딩 강좌의 비기너턴 보시고 영상에서 설명하신대로

연습하시다 보면 하실 수 있습니다!!


2. 스노우보드를 배우는 것도 단계를 점차 밟아나가는 것이고 개인마다 배우는 속도는 다르죠.

조바심 내지 마세요. 그러면 늘지도 않고 자세만 이상해져요.

잘 걸어야 잘 뛸 수 있죠.

찍어주는 사람이 있다면 본인의 문제점도 알 수 있고

해당 턴이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무조건 빨리 배워야 한다 이렇게 생각하지 마시구

천천히 기초를 다지면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시면 좋을 것 같아요.


3. 아직 본인이 레귤러다 구피다 확실한 단계도 아니시지만

일단 한쪽을 먼저 연습하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4. 스케이팅은 평지에서도 연습 가능해요.

멈출 때 슬라이드를 할 수 없다면 데크 중앙과 설면을 같이 밟으면서 천천히 멈추는 식으로 하시면 됩니다.


5. 라이딩 강습 영상 꼭 보시고 참고하세요. 도움이 진짜 많이 되실 것 같아요.

나의 오징어같은 라이딩 자세와 비교하면서 조금씩 고치려고 노력해야합니다.

머리로 이해하신다고 해도 결국 몸으로 하는 운동이니 익숙해지기 위해서 많이 타셔야 될 겁니다.


6. 다시 말씀드리지만 너무 조바심 내실 필요 없어요. 

어차피 모든게 새로우실텐데 재밌게 타세요.

아직 본인 성향이 어떤지도 모르시잖아요.

안다치게 지금 하는 것에만 집중하시고

다음 단계는 나중에 다시 생각하시면 됩니다ㅎㅎ

비구름

2020.01.01 15:07:27
*.145.232.147

1번질문만...
비기너턴 자체가 베이스면을 이용해서 로테이션으로 턴을 진행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요
제가 생각하기엔 급하신것같아요 사활강도 해보시고... 로테이션 주는 정도에 따라 얼마나 데크가 따라오는지도 느껴보시고...
턴 반경은 큰 호를 그리는것부터 시작하셔서 느긋하게 진행해보세요

야매스쿨

2020.01.01 15:40:23
*.1.96.32

그래도 한번타시고나서 많이 공부하신거 같아요
일단 눈밥이 중요하니 부지런히 가셔서 연습해보셔요~~~~

묵이홀릭

2020.01.01 20:19:58
*.101.65.90

일단 지금까지 아시는것을 잘 생각하고 실천하며 리프트 100번정도 더 타시고 다음진도를 생각해볼 때인거 같네요..

식겁

2020.01.01 21:56:18
*.41.121.26

열심히 타시면 이번시즌내에 슬라이딩턴 정도는 무리없이 구사하실수 있어요. 아직 상체 로테이션을 주면 데크가 따라오는 느낌을 느끼시는 단계신거같아요. 윗분말씀처럼 박정환선수님의 영상에 손전등들고 보트에 탄사람이라 생각하시고 팔을들고 손전등을 비추며 따라해보세요
직활강을 하시다가 힐턴으로 브레이크잡고, 토턴으로 브레이크잡고 하는 연습도 속도에 적응하시기에 좋아요. 속도에 적응이 되면 엣지체인지가 좀더 자연스러워 질거에요.
인터미디엇슬라이딩턴(중급경사에서 사람피해 무리없이 내려올정도)의 실력이 되면 전향각으로 입문하셔도 될것같아요. 그런데 강습은 필수..강습없으면 라운드덱으로 어드밴스드 슬라이딩턴, 카빙까지 배우시고 넘어가셔야 되여. 안그럼 데크컨트롤을 못하실수 있어요

iianqm

2020.01.01 23:05:29
*.204.85.28

감사합니다^^

Happyy_ZOO

2020.01.02 00:12:43
*.122.112.56

"비밀글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156815
217825 해머데크 추천 부탁드립니다. [3] 갠지스오 2020-01-01 514
217824 캐피타 머큐리 타보신분 [5] 보드타고슝 2020-01-01 367
217823 스탠스 폭 질문 드립니다. [4] 혁쿠 2020-01-01 575
217822 스키타는 초딩이 오늘 첫개시한 데크를.. [6] 은정씨남편 2020-01-01 719
217821 입문자가 붓아웃에 대해서 질문드려요. [6] 문아저씨 2020-01-01 386
217820 오크밸리 보호대 대여 여쭙겠습니다 [1] 광주시민 2020-01-01 201
217819 카빙 입문으로 살로몬 데크 문의드려요 [7] ★보드타는곰탱☆ 2020-01-01 551
» 보드를 처음타고나서 .. 몇가지 이론들과 궁금증들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10] iianqm 2020-01-01 821
217817 카빙 질문드립니다. [2] PPPPP보더 2020-01-01 420
217816 학동보드샵 [1] 그대그리고나 2020-01-01 379
217815 에덴은 웹캠 볼수가 없나요?? [2] 인호인호요 2020-01-01 138
217814 XLT 길이 질문!! [5] 곤지암리조또 2020-01-01 410
217813 제자리 드라이브스핀 하는법!! [5] 댕댕2이 2020-01-01 452
217812 하이원 처음인데 식사는 어디서 해결하시나요? [12] 칼퇴왕 2020-01-01 683
217811 플럭스xv vs 유니온 프로그레스 [10] 부왕박 2020-01-01 688
217810 오늘 곤지암 사람 많을까요??? [1] 퉁퉁 2020-01-01 341
217809 (무주) 서역기행 오픈했나요? [4] 雪立™RiderP... 2020-01-01 385
217808 유니온 포스 디스크 호환 [2] 붕어오빠 2020-01-01 397
217807 곤쟘에 엣지나 왁싱 잘 봐주는 곳 있나요?? [5] dew다은 2020-01-01 321
217806 고글 질문이요 [2] 대전아귀** 2020-01-01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