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요즘 보면 메이저 브랜드들도 중국에서 생산을 많이하더라구요. 프리미엄 브랜드들도..
거의 많은 브랜드가 이제는 중국, 두바이, 튀니지 에서 많이 생산이 되더라구요.
(개츠비님 말씀하시기에도 더운지방에서 생산되야 프레싱 접착이 더 잘된다고 하셨던가요?)
예전에 대부분을 차지하던 오스트리아,슬로베니아 공장은 많이 없어졌습니다.
결국 보드도 이제는 중국이 생산 전진 기지 입니다 ㅎ
이제는 뭐 중국에서 생산되었다고 해도 품질도 나쁘고 그렇지는 않죠.
소환 되어서 리플 답니다.
디테일을 놓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퍼즐처럼 맞춰진 다이컷 같은 경우가 그런데요.
- 색깔 다른 베이스 소재들이 Thermal shrinkage(왁싱열에 의해 분자구조가 팽창하고 수축하는 정도)가 비슷한 수치로 다이컷을
맞춰야 하는데 그렇지 아니한 경우 부분 단차현상이 우려되며.
- 바인딩 물리는 부분(인서트홀 바깥쪽) 주위에는 다이컷을 피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 다이컷 크랙이 우려됩니다.
(주문자의 판단미스일 수도 있지만, 공장에서 피드백을 줘야죠)
엣지 같은 경우는 중국에서 보드 만드는 영상을 잠깐 봤는데, 엣지를 베이스에 붙일때 엣지를 베이스 소재에
쇠망치를 두드려서 붙이 더군요...ㅜ.ㅜ
(본디 손가락에 끼우는 도구를 사용해서 하나하나 붙이고 록타이트 접착제와 집게로 고정시켜야 합니다.)
에폭시와 다른 소재들의 환경규제.........
인건비에 의한 원가 절감. (오스트리아 GST, Elan 공장들이 중국에 수주를 뺐기고 망했습니다.)
.....그리고 접착 관련하여.
스노보드를 열간 프레스를 마치고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시효경화로 굳히는데, 이때 온도가 30~40도 정도가 되어야 좋습니다.
에폭시가 잘 경화 되고 이는 균일한 품질에 큰 역할이 됩니다.
추운데서 경화가 되면 접착력이 떨어디며 스노보드의 세포라 할 수 있는 에폭시 층이 잘 바스라 집니다.
그래서 일본 모 공장에서는 겨울에는 제품을 생산 안합니다.
에폭시가 일반적으론 기온이 높을수록 접착력이 좋아지거든요.
그리고..
공장들이 중국으로 가는 이유는,
중국이 대게 환경규제가 약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절감되거든요..
그 약한 환경규제에 따른 피해를... 우리나라가....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