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비명 - SP XTR BINDING
2. 장비 정가 \ 550,000
3. 수입업체 : 삼현무역 ( 02-2235-9181)
4. as가능여부와 as기간 :
5. 장비 협조 및 구입처 : 청담 스노우뱅크 (02-543-2000)
6. 무게 : M-L size 994g(sharp system과함께 1114g)
7. 사이즈별 권장 부츠 규격(노스웨이브,apx기준)
S: ~ M:~ L:~
[사진 1] 전체적 외형사진
[사진 2] 베이스 플래이트의 밑면
[사진 3] sharp system 장착 모습 – 팔머의 파워링크와 비슷한 성격의 것으로 toe & heel에 전해지는 힘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해준다, 보더크로스를 위해서 만들어 진 것이라고 하는데 일반 적인 카빙에서 효과가 클것같다.
[사진 4] 앵클스트랩 - 스트랩의 안쪽에 앰보싱 처리가 되어있어서 발을 잘 잡아 주면서 장시간 라이딩에서 오는 피로를 덜어주도록 설계 되었다고 한다, 실재로 부츠를 신고 착용해 봤는데 발을 잡아주는 느낌은 여타 고급제품과 비슷한 수준이였다.
toe 앵클 스트랩의 안쪽
[사진 5] 하이백 각도 조절
[사진 6] 하애백 윗부분 – 하이백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 시켜주기 위한 디자인, 하이백 안쪽을 눌러보면 완축작용을 하는 소재가 눌려지는 것을 알수 있다.
[사진 7] 로테이션 조절 부분
[사진 8] SHARP system – 팔머의 파워링크와 같은 기능을 하는 장치로서 xtr에 기본으로 들어있는 점은 가격적인 메리트에 하나 이다, sharp system의 역할은 바인딩의 높이를 높셔서 힐이나 토엣지에 가해지는 힘을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으로 알파인 바인딩이 높이 위치하는 이유와 같은 특성을 내기 위한 목적도 포함되어 있다.
[사진 9] 가스페달 – 조절할 수 없는 방식
[사진 10] 라쳇 – 주물 성형이 아니라 레이져 가공으로 만들어졌다고한다, 특징으로는 주물 성형제품보다 강도면에서 유리하고 고가의 공정으로 제품의 완성도가 높다고 한다.
[사진 11] 바인딩 힐컵의 조합 비교
살로몬 말라뮤츠(250mm)와의 조합

포럼 jp(265mm)와의 조합
[사진 12] 착용 테스트 – 말라뮤츠와의 테스트 였는데 지금까지신어본것 중 최상급급의 하드함(forward방향, 즉앞으로 숙여지는)을 보여 주었다, 이 부분은 트릭이나 라이딩시의 유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상급 프로들은 중요치 않으나 일반 라이더들은 발목근력이 약하기 때문에 라이딩시 이부분을 접질려서 발목인데 손상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이럴때 이렇게 하드한 조합이 부상의 위험을 어느정도 보장해준다.
-----------------리뷰 지수-------------------
앵클스트랩 : ★★★★
토우스트랩 : ★★★★
버클 : ★★★★
하이백 : ★★★★
조절성 : ★★★
(평가항목 : 하이백로테이션,하이백높낮이,스트랩길이조절,가스페달조절,디스크각도조절)
무게 : ★★ (994g)
비교대상
시즌 메이커 모델명 사이즈 무게(g)
00/01 burton c14 m 820
cfx m 826
01/02 burton cfx s 802
미션 m 824
drake f60 L 863
LTD L 980
플럭스 플래티넘 L 902
버즈런 수퍼랙스 L 892
RIDE KOB M 934
L 1,116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최하 : ★ 1개(1점) , 최고 : ★ 5개(5점) , ☆ : 0.5점
총평 : SP는 바딩인 전문상산 회사로서 SNOWPRO바인딩과 같은 회사이다, 업체의 설명에 의하면 이 회사가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바인딩을 생산하는 회사라고 한다.
부츠 착용 후 앞으로 숙였을때의 잡아주는 느낌디 상당했으며, 앵클 스트랩의 완성도도 높아 보였다, 내구성에 대해서는 올시즌 테스트가 이루어 진다면 알 수 있겠지만 현재로서는 미지수, 02/03 최상급 바딩인의 가격이 60후반에서 70만원대를 오가는 상황에서 55만원으로 책정된 소비자가는 할인이 얼마정도까지 되느냐에 따라 대단한 메리트가 될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