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보드는 처음이라.. 일단 데크랑 바인딩 부츠는 구매했습니다
스키를 5년넘게 타서 감을 알거라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너무 힘드네요
그냥 계속 앞낙엽만하는데.. 뒷낙엽하면 종아리랑 뒤꿈치가 너무 아프고
제 자세가 잘못된걸까요? 아예 처음부터 강습받는게 나을까요 ㅜㅜ
비발디 파크인데 강습은 비발디에서 받는게 낫나요..?
엮인글 :

왕밤빵

2020.12.06 22:04:24
*.39.141.178

받으면 빠르게 늘기는 하는데 비용이 만만치 않아요 지인들있으면 1:1로 알려주라고 하시는게.. 아니면 동호회라도 드는게 좋아보입니다

퇴근5시

2020.12.06 22:20:06
*.223.37.39

지인이랑 갔는데 저때문에 못타서 미안하더라구요 ㅠㅠ 감사합니다!

광란

2020.12.06 22:04:47
*.62.175.233

뒷낙엽시 종아리가 아픈거면 부츠나 바인딩이 고정이 안돼있을수 있습니다. 스키타셔서 아시겠지만 거의 피안통하기 직전까지 꽉 조여주시고 바인딩도 뒷굼치 잘 넣고 꽉 조여보세요.

퇴근5시

2020.12.06 22:20:36
*.223.37.39

어디까지 조여야하는지 감이안와서 ㅎㅎ 감사합니다

Saem

2020.12.06 22:12:05
*.221.28.123

새로운 것을 시도할 때 가장 빠른 길은 나보다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의 경험을 빌리는 거라고 생각해요
스키와 보드는 분명 다르고 안전하게, 사고 없이 타려면 보드 컨트롤과 시선처리를 하기 전 까진 배우셔야 합니다
헝글 강습 게시판에도 좋은 강사님들이 많으시니 생각해보세요 ~

퇴근5시

2020.12.06 22:21:02
*.223.37.39

이론은 이해했다 생각했는데 막상 해보면 엉망진창이네요 ㅠㅠㅋㅋㅋㅋ 답변 감사합니다!

Saem

2020.12.06 22:22:54
*.221.28.123

혹시 평일에 오시면 약간의 도움은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사이드슬립부터 비기너턴까지 봐드릴 수 있을듯해요)

퇴근5시

2020.12.06 22:32:49
*.223.37.39

제가 직장인이라 평일야간 주말밖에 못다닐거같아서..ㅎㅎ 시간맞으면 좋았을텐데 아쉽네요 ㅠㅠ 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행율

2020.12.06 22:13:27
*.254.210.186

강습 받으면 좋겠지만 비용이 싼 편이 아니라 턴이 어느정도 됐을 때 받는걸 권합니다. 없으시다면 강습이 아무래도 효과가 좋죠.

주변에 도움주실 분이 있으면 식사 같은거 대접하시고 도와달라고 하는게 좋습니다. 동호회나 시즌방에 들어가서 도움요청하는 방법도 있고 가끔씩 헝글에서 재능기부 하시는 분들도 있어요. 그럴때 참여해보세요. 같은 베이스면 도움드릴 수 있을텐데 아쉽네요.

퇴근5시

2020.12.06 22:21:42
*.223.37.39

아직 너무 초보라 동호회들 실력은 아닌거같아서요 ㅠㅠ 주위에 찾아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

행율

2020.12.06 22:33:22
*.254.210.186

어떤 제한이 있는 곳이 아니라면 들어가셔도 되니 피해를 준다는 생각에 너무 사로잡히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그러면 반대로 흥미를 잃고 재미없어서 안하게 되니까요. 지금은 좋고 재미있으니까 타시는거잖아요. 그게 계속 이어지면 좋겠네요.
아~혹시 투팍이신가요?

돼랑보더

2020.12.06 22:23:41
*.39.215.130

혹시 시즌권자시면 시즌권자쿠폰에 강습할인도 있을겁니다.(예전엔 있었는데....)

그걸로 스키장내부에서 강습 받으세요. 많이 좋아지실 겁니다요....

미친스키

2020.12.06 22:32:14
*.197.183.165

저도 비팍러라 한 줄 적고 갑니다. 스키도 탑니다.

스키와 보드가 다른 부분이 있지만, 스키를 5년넘게 타셨으면, 스키의 커리큘럼이 어떤 단계가 있는지는 아실거라 생각합니다.

보드의 커리큘럼도 비슷합니다. 다만, 처음에 시작해서 스스로 습득해 나갈 수 있는 단계에 이르기까지가 어려운거죠.

각자의 성향차이라고 보는데, 이 처음의 단계를 독학으로 해결하는 사람도 있고, 가르쳐주는 사람의 도움을 받는 사람도 있습니다. 일장일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부디 꼭 슬라이딩턴부터 마스터하시길....

Kylian

2020.12.06 22:45:02
*.232.220.59

전 독학으로 배운 케이스라 해드릴 말이 없군요.ㅜ

자료 자체는 차고도 넘칩니다.

유투브,누구나칼럼 게시판 두개만 찾아봐도 넘쳐납니다.ㅎㄷ

니에베(nieve)

2020.12.07 00:02:32
*.149.119.62

술과 고기를 사고 지인찬스 쓰는게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만 몇자 적자면

 

낙옆 보다 먼저 뒷사이드슬리핑 부터 많이 하시면 도움이 많이 됩니다.

좌우 발의 컨트롤이 앞 뿐만 아니라 뒤로도 쉬워져야 턴이 쉬워집니다.

 

그 이상은 원포인트로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스키 짬이 있으시므로)

Jake!

2020.12.07 07:18:51
*.163.237.208

가장 강습의 효과가 클 때가 처음 배울 때입니다. 한국에는 강습 문화가 덜 정착되어서 이견이 있지만, 보드를 처음 타시는 분이 제대로 된 강습을 받으면 순식간에 실력이 늘 수 밖에 없어요. 저는 상당히 비싸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지만, 다른 루트를 통해서라도 잘 찾아보셔서 믿을만한 강사에게 비용을 지불하고 꼭 강습 받으세요. 몇 달 걸릴 일을 하루만에 깨우칠 수도 있어요.

나사나사

2020.12.07 08:25:14
*.235.48.120

시간은 좀 걸리겠지만 독학으로도 충분히 잘탈수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강습은 치트키같은 느낌.. 문제는 돈이죠ㅎㅎ

guycool

2020.12.07 13:32:07
*.30.118.207

적어도 힐 사이드 와 토 사이드 턴을 한번이라도 할때까지는 필수죠.

그래야 덜 고생하고 계속 탈 가능성 높아요.

강사의 강습 능력도 하늘과 땅이죠.  잘 탄다고 꼭 잘 가르치진 못하죠.

낙엽으로원런

2020.12.10 01:16:55
*.38.90.17

저도 스키타다가 보드탄지 꽤됐습니다ㅎ
금방배워요 첨이 어렵지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164405
228862 고글 선택 도움 부탁드립니다! [2] 츄츄츄르레렙 2020-12-06 387
228861 전향각 하이백 로테이션 질문있습니다. file [2] mossking 2020-12-06 763
228860 여성 부츠 뒤들림.. 문제 도움주세요 file [15] 피치앤락 2020-12-06 540
228859 부츠수리...다시한번 문의드립니다ㅜㅜ [1] 레오아빠 2020-12-06 340
» 초보는 무조건 강습받는게 좋을까요? [19] 퇴근5시 2020-12-06 691
228857 초보장비 문의드립니다. [5] 입문보린이789 2020-12-06 407
228856 초보 덕스탠스 질문입니다 [14] 초보초보왕초보 2020-12-06 654
228855 입문자용 장비 추전부탁드려요~ [4] 블르베리 2020-12-06 387
228854 형님누님들 입문자용 장비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입문보린이789 2020-12-06 332
228853 바인딩 수리를 어찌해야할까요? file [19] 아이엠그루트 2020-12-06 425
228852 오가사카fc 연식차이좀 물어볼께요 [5] 애기달코미 2020-12-06 379
228851 입문자용 장비 추천부탁드립니다ㅜ [7] 입문보린이789 2020-12-06 407
228850 내일 무주 갈려고 합니다.. [2] 링료보드 2020-12-06 360
228849 죄송해요 F2 노즈 한번만 더 여쭤볼게요ㅠㅠ file [14] 펭수빠 2020-12-06 403
228848 왁스 보통 어떤거 쓰시나요? [12] 강렬한상쾌함 2020-12-06 504
228847 데크 상판 수리 문의 드립니다. file [4] 홍선대원군 2020-12-06 515
228846 해머데크 입문..추천 부탁드려요 [2] 링비 2020-12-06 364
228845 173/ 67 데크 길이 질문! [4] 앗타이어신발 2020-12-06 311
228844 데크길이 158 정도 올라운드용 [2] 쉐필드 2020-12-06 380
228843 F2 엘리미네이터 우드 노즈가 어딘가요...? [3] 펭수빠 2020-12-06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