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자게에 떡밥이 던져졌네요

급 궁금해져서..보더의 기준에 직활강이 뭘까요??

보린이의 입장에선 베이스로 엣지사용없이 노즈를 폴라인에 냅다박고 내려가는게 직활강이라 생각하지만,

문자그대로를 해석해보면 엣지의 사용여부와 상관없이 폴라인으로 내려가는게 직활강인데..

 

다들 어떻게생각하세요~?

 

덧) 누군가를 옹호하고자, 혹은 비난하고자 쓰는 글이 아님을 분명히 밝힙니다. 단순 궁금증입니다..

엮인글 :

ㅣ리우ㅣ

2021.01.01 00:44:51
*.142.56.54

단순히 감속없이 직선으로 내리꽂으면 직활강아닌가요??

예림이그패봐봐장이야

2021.01.01 00:46:42
*.221.185.166

엣지를박고 턴호를 조금이라도 그리면 감속이라 생각하시는거죵?!

우유먹는곰

2021.01.01 00:55:09
*.213.231.76

추천
1
비추천
0
제가 봤을땐 직활강을 왜 스키장에서 금지하는지 이유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빠른속도로 내려오면 그만큼 컨트롤이 힘들어지고 멈추는것도 시간이 걸립니다 빠른속도로 뒤에서 앞사람과 추돌시 큰 사고 및 사망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요. 직활강이다. 턴이 조금이라도 들어갔으니 직활강이 아니다 라는 문제보다 엄청 빠른속도로 타인에게 피해를 입힐수 있다는거에 문제가 있는게 맞지 안나 싶네요. 사람이 별로 없으니 상관없다? 이렇게 생각하는건 정말 무책임한 발언으로 보입니다. 사고는 일어나고 나서 잘못했다 느끼면 그때는 이미 늦은겁니다. 사고가 일어나기 전에 사고 가능성이 있으면 그에 대해 대비 하거나 고치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유니그래픽

2021.01.01 01:04:01
*.65.75.59

공감합니다. 직활강을 금지하는 이유 자체가 결국엔 제동때문인거죠.
하물며 차도 100으로 달리면 급 제동시에도 제동거리가 꽤 긴데.
가뜩이나 경사도 있고 마찰력도 낮은 눈위에서는 과연 정상적으로 제동이 될지가 걱정 입니다.

명노정

2021.01.01 00:55:38
*.33.164.56

보더 기준
직활강은 고수급이죠.
그 고수들은 회피기동과 제동거리 확보는 기본으로 할 수 있는 능력은 있을거구요.매너 장착도.
엉덩이 빠지고 미끄러지면서 소리 지르는 직활강은 곧 넘어집니다.
문제는 스키어들.
특히 A특공대라는 십대 이십대 초보 스키어들.
기본 자세도 모르고 턴도 모르고 그냥 내달리는.
(스키에서 크라우칭자세는 고수들도 하는 직활강입니다만...알파인선수들 완사 속도내는 기술이라 우리가 언급할 바는 아닙니다.)
에덴벨리 사고가 바로 그런 케이스입니다.
스키어를 비난하는게 아닙니다.전 스키도 탑니다.

꿀봉이

2021.01.01 01:46:02
*.101.64.173

근대
외국에서 보드를 배우고
한국에 와서 타시는분 몇분 같이 타본 경험상
그분들은 대부분 직활강 합니다.
이유를 물어보니 이게 머가 잘못된지 몰라요.
왜냐 대부분 외국에선 흔하니깐요...
로마간다고 로마법 따르기엔 누가 알려주나요?

GATSBY

2021.01.01 04:28:40
*.33.164.118

속도, 방향, 자신과 타인의 위치와 이동 방향을 파악하지 못한채 직선적인 속도만 내는것이 직활강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체적으로 스노보드보다 스키의 직활강이 더 위험합니다. 기본A스탠스로도 빠른 활강으로 이어지기 쉬우니까 말이죠. 몇년전 에덴밸리의 직활강 사망사고를 잊지 말아야 합니다.

명노정

2021.01.01 04:36:22
*.33.164.136

유럽쪽은 우리나라와 슬롭상황이 다르지요.
정설사면에서 진지한 자세로 턴의 완성을 노리는 우리들의 문화와 많이 다릅니다.
헤머나 알파인 보기 어렵구요.스키어가 다수고
설렁 설렁 턴인데 페러럴도 아닌것이 가볍게 툭툭
직활강 같으면서도 가볍게 턴을 합니다.
우리나라에선 직활강 같은 그런 느낌으로.
보드도 로테이션 다운 이런거 별로 안보이는데...
속도 나고 뉴트럴 잡고있고 슝 지나갑니다.
유럽은 그렇게 어슬렁 타야 긴 슬롭을 내려갈 수 있어서 그런 듯 하고 나도 그들의 속도에 따라 가고 있습니다.설렁 설렁...

호요보더

2021.01.01 05:04:30
*.209.31.170

속도가 좀 붙기시작 하면 조금이라도 엣지사용을 하죠 아예 작정하고 베이스로 갈수도 있지만 미세한 엣지 사용이 더 편하고 컨트롤이 쉽죠

1_977318

2021.01.01 05:34:14
*.125.251.10

사고나면 직활강입니다

 

슬로프에속도계가있것도 아니고

 

문제가 생기면 문제가 되는 것 이지요

슈퍼개구리

2021.01.01 07:26:34
*.165.182.166

사람마다 생각하는 직활강 기준이 전부 다른것 같네요. 이런 상황에서 어떤 기준으로 이건 허용, 이건 금지 판단할수있을까요?

규하바

2021.01.01 09:19:29
*.101.65.82

제어가 가능한 속도가 넘어서면 직활강 아닌가요?
최소한 눈에 보이는건 여유있게 피할수있는 실력일때 속도를 올리는게 맞다보 봅니다

또치빠

2021.01.01 13:17:50
*.45.215.138

초보가 콘트롤 안되는 직할강은 위험하지만.
상급자가 하는 직할강은 보드나 스키나 기술중
하나입니다.콘트롤이 되니깐.
파크나 하프파이프는 직할강이 안되면,
이용자가 다칠수 잇으니, 파크 입문때 직할강 을 마니 연습시키죠.
J턴, 말아타는것도 ,슬라이딩턴,카빙턴 너비스,비기너,사이드슬립 기술인데, 직할강이 위험하다고
하지말아는 아닌듯, 그러면 슬로프에서 세월아 내월아 말아타는 보더들이 기술도 하지말아야 합니다.
슬로프 전세라도 낸듯이 타는거니깐.
타인의 기술을 자기가 안한다고 하지말아라,
감놔라 배놔라는 아닌듯.
서로 존중하며 탑시다. 시즌도 짧은데.

지누지누_

2021.01.01 13:26:28
*.143.69.66

기준은 확실히 애매한 거 같네요
레일투레일이 직활강이 아닌 라이딩의 끝자락에 있는 거 같은데
근데 상식적으로 속도 80-90km/h 넘어가면 그건 진짜 미친 거 같네요 ㅋㅋ

낙엽이라 행복해요

2021.01.01 20:05:04
*.249.74.125

직활강의 의미는 스트레이트일때... 방향.속도 제어를 못할때 일듯합니다.
고수라고해서 직활강을 할수 있다는건 아닙니다.
다수의 사람이 사용한는 스키장에서 어떤 경우밖에 일이
일어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고속도로 최고속도 제한처럼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96285
230107 데페 타입알 왁스 빨리 날라가나요? [5] 탈골맨 2021-01-01 492
» 직활강의 기준이 뭘까요? [15] 예림이그패... 2021-01-01 954
230105 인투이션 매장 위치질문이요!! [2] 야구르트 2020-12-31 349
230104 하이원 작년에 비하면 이용객이 많이 줄엇나요?? [6] 제레미킴 2020-12-31 703
230103 지겨운 질문 답하나만 해주고 가셔요~트던 VS 쓰락 [26] 우리보더~* 2020-12-31 748
230102 부츠 오염 제거 가능한가요 ?? file [17] 고클은오글리 2020-12-31 623
230101 F2 카본 케블라 vs 카본 [4] 유니그래픽 2020-12-31 676
230100 노빌레 사이즈 질문 [6] papagone 2020-12-31 360
230099 이게 해머 입문용으로 가능할까요? [18] 후진없음 2020-12-31 1016
230098 살로몬 다이얼로그나 런치 부츠 255사이즈 질문드립니다. 不惑Boarder 2020-12-31 268
230097 시막 노말 vs 시막 mg [26] 보드너무조아요 2020-12-31 1296
230096 트윈 해머덱은 없나요?? [21] 바틀 2020-12-31 924
230095 전향각 바인딩 각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4] 틴팅 2020-12-30 2120
230094 평택 근처 부츠 열성형하는곳 있나요 [3] 엑스마스(랜덤) 2020-12-30 284
230093 헤머데크에 플럭스 바인딩 DS 사용하시는분 잇나요? [17] 전향 2020-12-30 662
230092 부츠 싸이즈 질문 드립니다. [1] 정표 2020-12-30 324
230091 롬 데크 몇년식인지 봐주실수있는분 계신가요? file [6] 깐또니 2020-12-30 517
230090 타입알 사이즈 질문 [18] papagone 2020-12-30 419
230089 조거팬츠 질문이용.. [12] 재덕서 2020-12-30 647
230088 오가 FC-S vs. 데페Ti [6] 영광이 2020-12-30 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