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헝그리보더의 늙고 병든 개츠비 입니다.

 

저는 스노보드를 미국 유학중에 배웠다가 IMF로 귀국 하였지만.

그 동안에 미국에서 2시즌이나 시즌권 끊어서 정말 열심히

스노보드를 탔었습니다. 

 

 

시즌권 가격.

 

우리나라에 귀국하여.

98/99 시즌부터 시즌권을 구입하여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그때 구 웰리힐리파크인 성우 리조트 시즌권을 구매하였는데,

시즌권 가격이 18만원, 시즌방 가격은 16만원 정도 였습니다. 

 

장비가격. 

 

IMF 시절이었는데 보드샵들은 대 호황이었죠.

 

캐나다의 O모 브랜드 스노보드 (피텍스 4000 그라파이트 베이스에 카본 스트립, 포플러에 이형 우드코어)

가 소비자가 160만원, 특별 할인가 140만원 이었습니다.

 

아마 그때 당시에 햄머헤드가 인기였다면 어지간한 일본 브랜드들은 당시 데크 가격만 

350만원 정도에 판매하지 않았을까 합니다.

 

S사의 자매 브랜드인 B모 보드복 위아래 한벌에 150만원 정도 하였습니다.

 

당시에는 학동이 아닌 청담, 압구정에 보드 샵들이 많았는데,

...근본없는 중국제 짝퉁 스노보드를 버튼 프로들도 애써 돈주고 사서 쓰는 장비라고,

코카콜라 북극곰이 그려진 스노보드를 110만원에 팔던 시절이었습니다.

 

제가 정말 빡쳤던 것은, 저에게 눈탱이 사기치던 직원이 이제는 모샵의 사장님이 되었는데,

저도 모 브랜드 오너가 된 입장에서 그것을 물어보니 그때 저에게 눈탱이 친 사실을 기억 못한다는 것입니다.

 

각설하고,

 

1998년 당시 최저시급이 1485원이었고, 현재는 8720원임을 감안 한다면,

시즌권 가격은 매우 저렴한 수준 입니다.  일단 해외는 몇백 만원 단위부터 시작합니다.

 

장비 가격 또한, 예전 눈탱이 사기 치던 시절에 비해 샵들의 마진율은 저렴해 진것은 

사실 입니다.  생산지가 점점 변화되고 있으니까요.

 

현재 가장 안타까운 것은 스노보드 리조트들이 파크나 파이프를 점점 줄여가서 입니다.

리조트 들에게 시즌권 가격을 더 올리라고는 이야기 하지 않겠습니다.

 

하지만 파크, 파이프 사용비, 정비비용들이 감안된 시즌권은 따로 판매하는 것이

스노보드의 다양성을 보전하는데 판매자와 사용자들 모두 수긍하는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두서없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엮인글 :

오도장구

2021.10.25 10:21:53
*.255.212.194

저도 시즌권은 싸졌다고 생각해요. 장사가 안되니 싸게 파는거겠죠? 싸게 팔아도 적자나면 그다음은 차례는 폐업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정말 그런날이 오면 비싸게라도 시즌권 팔고 열어달라하겠죠.

GATSBY

2021.10.25 15:55:16
*.149.242.189

그렇죠. 일단 스키장이 살아남아야 하죠. 수혈이 필요하긴 합니다.

clous

2021.10.25 10:29:24
*.228.86.212

늙고 병든... ㅋㅋㅋㅋㅋ

GATSBY

2021.10.25 15:55:34
*.149.242.189

동변상련이죠 ㅋㅋㅋ

반팔전사

2021.10.25 10:29:38
*.101.64.37

와 최저시급이 1485만원이라니 많이버셨군여

GATSBY

2021.10.25 15:55:45
*.149.242.189

ㅋㅋㅋ수정했습니다~

soulpapa

2021.10.25 10:46:42
*.77.2.208

그놈의 IMF ... 이것만 공감해도 늙은... ㅠ

GATSBY

2021.10.25 15:55:59
*.149.242.189

알면 일단 40대 이상이죠 ^^

배고푼보더만수

2021.10.25 11:04:17
*.165.117.108

시급에 놀라고갑니다 ㄷㄷ

GATSBY

2021.10.25 15:56:31
*.149.242.189

깜짝 놀라서 수정했어요 ㅎㅎ

가자나

2021.10.25 11:13:07
*.39.252.248

공감되는 내용입니다. 기존에 있는시설을 운영할 수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운영이라도 해주먼 좋겠네요

GATSBY

2021.10.25 15:57:52
*.149.242.189

네.........파크, 파이프 외에 정말 놀거리가 많은 세션이 스노보딩인데 너무 상투적으로 운영하지

않나 합니다.

我回在白夜

2021.10.25 11:46:06
*.111.1.5

좋은글입니다.

02-03 서울리조트 바닐라스위트 10장 쿠폰북 14만원. 그냥 리프트주간권 10장 짜리.

03-04 천마산.. 동호회 할인가가 31만.

그땐.. 소인 무료 그런거 없었죠.

진짜 싼겁니다.
그래서 저는 작년에 스키장 첨 맛보게 만든, 동네 아재네명, 대명 시즌권 끊게 했네요. 비싸게는 못사줘도.. 더 팔게는 도와주려구요.

GATSBY

2021.10.25 15:58:39
*.149.242.189

시즌권 가격은 2000년대부터 지금까지 거의 비슷하더군요....

외국은 400만원 정도 하던데요.

낙엽이라 행복해요

2021.10.25 12:54:59
*.101.64.41

안타까운것이 리조트사업이 사업성에 기반을 둔게 아니라 직원복지내지사회환원 그리고 모기업들의 다른 기타등의 이유로 존립해왔다는겁니다. 그로인해 기업 자립성은 제로에 가깝워졋고 존립을위한 다양성과 투자등의 차별성은 고사한다는게 참 안타까울 뿐입니다.
시즌권값이 비싸져도 서비스의질이나 프로그램의 다양성등 차별화가 된다면 곤지암의 사례처럼 리조트사업을 접는건 안할듯 한데
참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GATSBY

2021.10.25 16:00:08
*.149.242.189

새로운 놀거리를 마련해야 하는데, 똑같은 파크, 파이프.....뭐 이렇게 하면 고객들이 얼씨구나 좋다고

방문할 줄 알았죠. 스노보드는 이제 낭만이 아니라 생활 체육이 되었는데

좀 다양한 놀거리를 리조트 측에서 전문가와 설계를 해야하지 않나 합니다.

 

YONEXTHRUST

2021.10.25 12:56:57
*.38.72.73

미국에 에픽시즌권처럼 대륙간 시즌권도 나오길 바랍니다..

GATSBY

2021.10.25 16:00:34
*.149.242.189

한중일 통합 시즌권?????

흠.......일단 코로나를 극복 해야 것군요.

notNull

2021.10.25 13:10:13
*.162.10.170

01년도...
동대문운동장에 있는 스포츠샵 앞에 지나가다
데크 있길래 들어가서 가격 물어봤습니다.
계산기 한참 두들기더니 120만원.
제 기억으론 버튼 커스텀 이었던듯.

GATSBY

2021.10.25 16:04:20
*.149.242.189

99/00 시즌인가 동대문 운동장에 있던 샵 몇몇이 

가격을 많이 다운 시켰습니다. 그 샵들은 소매도 하지만 유통도 하는 샵이 있어서

로지뇰 중하급, 지금은 사라진 햄머 스노보드 등등은 30만원 초반에도 구입이 

가능하였죠......버튼 커스텀이 미국에서도 소가 550$ 정도 였으니 한국에서는 120만원

정도면 다소 비싸겠네요........

 

요즘은 유통 단계와 마진이 줄어서 가격이 그나마 나아진 편이죠.

로봇푸드

2021.10.25 20:47:19
*.30.18.24

호주/뉴질랜드에서 파는 에픽패스는 로컬 주요 스키장 +북반부(일본) 옵션이 있더군요. 언젠가 우리나라도 글로벌 자본에 편입되면 요즘의 시즌권 가격은 먼 추억거리로 남을 것 같습니다. 물론 글로벌 스키장 네트워크와 연계는 흥분되는 점이지만 가격이 ㅎㄷㄷ 하겠죠.  

GATSBY

2021.10.26 11:24:44
*.149.242.189

로봇푸드.....닉네임을 보니까 애프터 뱅이라는 영상이 떠오르네요...^^

에픽패스는 솔깃 하지만 가격이 일단 5배 이상은 오르리라 저도 감히 예견해 봅니다.

영원의아침

2021.10.26 01:50:31
*.35.185.219

어쩔수 없다고 봅니다.

지금의 스키, 스노우보드 는 단순히 시즌권의 가격 및 서비스, 다양한 슬로프 구성 이런것만의 문제는 아닐겁니다.

 

생활스포츠라고 하셨지만.. 그러기에 접근성은 너무나 뒤떨어지고,

장비 및 시즌권도 비싼대 사람답게 즐기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강습도 받아야 하는대 그 강습조차 편하게 받을수 없죠.

(대부분의 취미생활자=주말이용자 니까요.. 평일 풀상주자가 과연 몇명이나 될까요..)

 

최소한의 사람답게 즐기는대 필요한 시간과 노력이 다른 취미생화에 비해 턱없이 많이 들어 가는게 스키, 스노우보드 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닭이먼저냐, 계란이 먼저냐 싸움 같지만..

 

저런게 해결되지 못한다면 결국 사양산업에, 고이고 고인 산업이 될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산업이 고이다 못해 썩어버리면 그냥 망하는거죠.

 

차라리 예전처럼 버스포함 시즌권을 판매하는게 어찌보면 산업자체를 유지 시킬수 있는 방법이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시즌버스가 사라져버리면서 많은 유저들이 겨울 스포츠를 포기 하게 되버렸으니까요.

GATSBY

2021.10.26 11:45:32
*.149.242.189

요즘 붐이 일고 있는 골프를 보면 일단 스크린 골프라는 접근성이 용이한 놀이/내기 문화부터 시작하여, 

자기 장비 사고 (중고를 제외한 초급용 골프 풀셋트 12개채 기준으로 120만원은 줘야 하는데, 스노보드는 데크,부츠,바인딩

합해서 80만원 안팎으로 뽑을 수 있죠. 스노보드보다 비싸면 비쌌지 싸진 않죠.)

골프는 1번 나가는데 비용이 요즘 30만원 이상은 들죠.(그린피 20몇만원+캐디피 팀당 13~14만원, 카트비 2만5천).

   

   그리고, 스노보드는 제대로 S자를 그리는데 1주일이 걸린다면 골프는 몇달은 연습을 하고 레슨까지

받고 나가야죠. (스노보드 2시간 레슨 10~15만원. 골프는 인도어 기준 20분에 5~6만원)

 

  골프장은 시즌버스를 운영하지 않는데도 더 몰리는 것을 보면 접근성에서 어디가 우위에 있다고 확고하게

논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전국에 있는 골프장, 스크린 골프장을 감안한다면 골프쪽이 접근성은 우위 입니다.

 

  스노보드 저변이 이렇게 약해지고 있는 이유중에 하나가, "왜 이걸로 놀어야 하냐?"하는 당위성의

문제 입니다.  다양하게 잼있어져야 하는데 획일화 되고 단순화가 되는게 이쪽 씬인 것은 30년 가까이

스노보드를 타오고 있는 제가 보기에도 문제점이 있습니다. 

 

   제가 리조트 업자라면 스노보드 슬로프/파크/파이프를 지을 때 파크 레인져들이나 설계자들을

공모를 하여 어떤 다이나믹한 놀거리를 만들어 줄 수 있냐를 논해야 하는데, 리조트 측은 그들을 불러

얼마나 싸게 해주는 팀에 일거리를 몰아주겠다 하는 치킨게임을 시키고 있습니다.

 

그래서 종종 SNS에서 파크 레인져들끼리 서로 디스를 하는 밥그릇 싸움을 하고 있죠.

 

스노보드의 르네상스는 프리스타일 정신 입니다. 내멋대로가 아닌 창조적인 자유에서의 스포츠인것이

서구쪽 스노보드의 문화발전에 영향을 끼쳤고 그것은 우리나라에도 전파가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씬은 지금 카빙이 정점을 찍고 있는데, 이 카빙씬에서만 발전이 없으면 

이쪽도 고인물 문화가 될 것이 뻔합니다.

   스노보딩은 가장 자유롭기 때문에 잼있고, 가장 창조적인 것때문에 아름답습니다.

 

   

 

 

 

장민군

2021.10.26 08:55:54
*.206.238.10

전 걍 시즌권 한 100만원하고 제대로 굴렸으면 좋겠어요 ㅋㅋ 

GATSBY

2021.10.26 11:46:15
*.149.242.189

100만원 시즌권에 파크, 파이프, 모글, 보울 파크, 초보 파크파이프 만들어주면 절대 아깝지 않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61] Rider 2017-03-14 43 218600
209182 좋다말았네.. file [10] 에메넴 2021-10-25 5 1203
209181 인터넷이 터졌는데 여기는 들어와지네요 [22] zoltar 2021-10-25   1081
209180 "'영하 50도' 북극 냉기 때문에"...올겨울 엄청 춥고 ... file [17] Quicks 2021-10-25 2 1715
209179 와이오밍 잭슨홀 예약 했습니다! [14] 잭슨파이브 2021-10-25 1 695
» 헝늙병이 생각하는 시즌권 가격과 장비 가격 [26] GATSBY 2021-10-25 7 1767
209177 갑자기/ [10] JIS 2021-10-25   562
209176 시즌권에 대한 좀 불편한 이야기 [32] Dwon 2021-10-25 19 4067
209175 10월25일 월요일 출석부 [62] 대구슬턴유망주 2021-10-25 8 274
209174 부츠백, 캐리어 나눔 발표 file [9] Ellumi 2021-10-24 6 935
209173 마지막 장비가 될것 같네요. file [22] 덕프리 2021-10-24 2 2672
209172 타이어 공기주입기 후기 file [12] 루민이 2021-10-24 2 2172
209171 패러글라이딩 해보셨나요? file [44] 연구형 2021-10-24 6 1770
209170 안녕하세요 형님들 5년만에 보더 컴백했어요~ [9] 홍초불닭 2021-10-24 8 982
209169 10.24 일요일 출첵부~ [60] 용평에뼈묻자 2021-10-24 11 280
209168 지름! file [6] Ellumi 2021-10-23 4 1244
209167 하이원 마운틴탑, 벨리탑에 올랐다 내려왔습니다~^^ file [4] 볼아도리 2021-10-23 4 1618
209166 가을 나들이 file [9] ♥마테호른 2021-10-23 4 1078
209165 X3통합권은 세곳 모두 처음에는 지정맥 등록 하는것도 일이겠네요. [9] 我回在白夜 2021-10-23 3 2565
209164 도넥 예판.. [5] 파하사 2021-10-23   1085
209163 아웅~~ file [9] sia.sia 2021-10-23 2 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