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우선,
1.카빙시에 토에서 힐로 전환시에는 그 리바운딩이 느껴지는데요..(어깨를 완전 닫아야 느껴지더군요.)
이상하게 힐에서 토전환시에는 그런 특별한 부분이 없네요. 아직 토보다 힐이 잘 안박히는거 같긴합니다.
힐턴드갈때는 많이 앉는다고 앉는데,,허벅지에 힘주고 있어도 날이 제대로 박히는 느낌이 잘안들어요.
뭐가 문젤까요?
2 그리고 이미지 트레이닝을 많이 해서 그런지,,
턴할때에 속도가 붙은 상태에서도 상체를 천천히 먼저 돌리려고 하다보니
슬립이 쭈욱 나는데요
카빙은 상체가 돌아가면서 거의 동시에 같이 돌아가야한다고 배웠는데..
같이 안돌아가요 ㅋㅋ 하체는 늦게 돌아가요 슬라이딩턴 하는것처럼,,
좀더 빠른 템포로 들어가 줘야 하는건가요?
참 이건 좀 다른 얘기지만,, 다른 분들 말씀이나 지인들 얘기로는 무릎으로 많이 넘어지시고 하시는데...
보드 제대로 타기시작한 한 세시즌동안 엉덩이로는 많이 넘어지는데,, 무릎으로 땅짚고 넘어진적은 정말
단한번도 없어요...전
근데 아무래도 이것도 뭔가 문제가 있는거 같아요. 이상하네;;
라이딩이 어느정도 되기 시작하면 대부분 힐턴에서 어려움을 느낍니다. 신체적으로도 토우에 비해 힐에서 자세를 잡기가 힘들거든요. 다운은 그만큼의 프레스를 가해줄 상황이 되었을때 나오는 자세입니다. 본인은 앉는다고 앉지만 날이 박히는 느낌이 없다는건 현재 라이딩 자체가 다운의 의미가 없는 스피드&회전반경을 가지고 있다는거죠. 그래서 J턴을 연습합니다.
엉덩이를 뒤로 빼지 말고 허리를 잘 세운 상태에서 힐턴할때 기울기 만으로 뒤로 넘어질듯 말듯한 중심을 많이 느껴볼수록 좋습니다.
라이딩에 따라 그에 맞는 상체로테이션이 필요한것이고 카빙턴이란 엣지를 세워 타는 라이딩의 포괄적인 이름일뿐 카빙턴 전체에 거의 같이 돌아가는 상체로테이션이 수반되는게 아닙니다.
상체로테이션은 방향키와 같은데 본인이 원하는 방향전환이 되지 않는다면 타이밍이 맞지 않거나 의미없는 상체로테이션을 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엉덩이로 넘어지는건 사람이 위험을 감지하면 주로 주저앉게 되는데 여지껏 그러한 경험만 하셨다면 제가 보기엔 소극적이고 방어적인 자세로 라이딩을 하고 있다 생각됩니다. 언제든지 앉으며 넘어질 수 있는 자세를 취하듯이요.
힐턴이 안되고 + 엉덩이랜딩이 많다 = 힐턴시 무게중심이 안잡히시는겁니다.
저도 아직 완전히 고치지 못한 부분이고, 대부분 카빙진입시 토턴보다 힐턴에 어려움을 호소하시더라구요.
대부분 라이딩시 어깨를 닫고 힐턴을 할경우 등쪽의 시야를 거의 포기하게 되니까, 그게 제일 큰 이유인거 같습니다.
특히 아이스가 많은 슬로프에서는 더 심하죠... 겁나서 아이스 아닌부분에서도 거의 70~80% 터진다고 봅니다.
해결방법은 하이백을 좀더 눕혀보는방법도 있구요.
힐턴 다운시 의식적으로 몸을 토우쪽으로 많이 들어주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일단 스키장에서 첫 라이딩시 힐턴 J턴을 몇번 하면서 몸을 좀 풀어주세요. 이런경우는 연습이 답이긴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