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로 널세븐 이런 정도의 트릭의 기준은 아닙니다!
ex) 드라이브스핀, 리버스 카빙, 원에리 등 초심자(?) 단계의 트릭
바인딩 플렉스에 어느정도 중점을 두시는지.
플럭스처럼 9~10의 플렉스도 상관이 없다인지.
유니온같은 6~9의 비교적 낮은 플렉스가 반응성이나 트릭에 유리한지.
현재 데크는 타입알 166w 인데 길이가 길어 트릭에 비교적 불리하다던지,
길이가 짧아질수록 트릭에 수월해지는건 어느정도 인지하고 있지만
저처럼 긴 데크로도 트릭을 연습하는 분들이 계신지 궁급합니다.
상관없이 현재 장비로 하면 될듯요
라이딩이나 트릭은 사람이 하는것이지 장비가 해주는것이 아니라서..
바인딩 플렉스에 어느정도 중점을 두시는지.
> 가벼운 바인딩이 아무래도 기술 쓰는데는 편하죠 가볍다는건 플렉스가 낮다는 것이고 기준은 따로 없어요
플럭스처럼 9~10의 플렉스도 상관이 없다인지.
> 상관없습니다. 딱딱해도 트릭은 할 수 있어요
유니온같은 6~9의 비교적 낮은 플렉스가 반응성이나 트릭에 유리한지.
> 유리하긴 합니다. 가벼우면 그만큼 힘도 덜들고
현재 데크는 타입알 166w 인데 길이가 길어 트릭에 비교적 불리하다던지,
>길이가 길면 데크를 다루기 힘들죠 짧을 수록 수월합니다.
길이가 짧아질수록 트릭에 수월해지는건 어느정도 인지하고 있지만
저처럼 긴 데크로도 트릭을 연습하는 분들이 계신지 궁급합니다.
>길어도 하는 사람은 합니다. 연습하면 다 되여
데크 하드하면 하드한게 좋음.
길면 회전이 느린편.
사람마다 틀리지만
일반적으로 무겁고단단하고긴걸로
연습하기는어렵습니다. 부상위험도있구요.
그렇지만그걸다룰수있는사람이라면?
가능하겠지요?
보드는 기본기가 중요한 운동입니다.
쉬운걸로 충분히 연습하고
기본기를 탄탄히 잡고 점점 늘려가는것을
추천드립니다만. 나는 시간도 없고
깡다구도 좋고 남는 것은 체력과 근력이고
보호대 하고 할거야 고생을 감수할 끈기도있어~
라면 해보셔도 된다고 봐요.
개인능력에따른 취향반영 가능영역인듯.
연식이있으면 전자로 하시고 젊으면 후자가능.
몸이 아프고 다치면 안 좋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