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향으로 타다보면
카빙은 베이직 카빙이다 기초가 중요하다 처음으로 돌아가라 등등
기초를 강조하는 말이 되게 많은데
전향으로 슬라이딩턴 하는건 알려주는데가 기묘하다시피 없더라구요.
근데 전향으로 몇시즌 타다보면,
사람많아서 베이직 카빙 연습 못할때가 훨씬 많고
경사에서는 카빙은 커녕 낙엽으로 내려가기 급급한사람이 많은데도
전향 슬턴에 대해 가르쳐주는사람은 없는것 같아요
덕스탠스와 똑같이 타면 되지 않냐 하실수도 있는데
제가 느끼기엔 덕스탠스 슬턴은 힐턴은 발뒷꿈치로 하중이실리는 느낌,
상체로테이션+체중이동으로 턴호를 만들어내는 느낌이라면
전향슬턴은 골반을 열고 발 날로 밀어타는 느낌,
슬턴시 상체로테이션보다는 하체로테이션에 비중이 큰느낌,
상체로테이션만으로는 데크가 잘 돌아가지 않아 외경을 섞어줘야 하는느낌
골반 열지 않고 덕스탠스처럼 슬라이딩턴 시도할시 발날과 발바닥이 매우 뻐근하고 힘든느낌
등등 카빙만큼이나 슬턴도 새로 배워야 할게 많은거같은데..
좀 탄다 하는사람도 급사에선 슬턴할텐데 개념을 알려주는데가 너무 없네요
헝그리보더는 정보가 많긴 한데 고급 정보는 없어요 그런거는 내가 고생해서 얻어야 하거나 돈주고 배워야해요
세상에 공짜는 없다 는게 결론임...
전 덕스탠스로 시작해서 그런지 사실 전향각이라고 슬라이딩턴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다만 작용점이 달라서 백사이드(힐턴)에 비해 프론트사이드(토턴)이 잘 안밀리고 더 신경써야하죠.
강습할때도 기존 덕스탠스 슬라이딩 커리큘럼 그대로 가르칩니다.
딱히 전향각이라고 안될게 없어요. (그냥 카빙하느라 연습을 안하는것 뿐...)
다만 그냥 시선들이 카빙 잘하면 혹은 딥카빙하면 다들 전향인줄 알고
슬라이딩 잘 하면 다들 덕스탠스인줄 아는 경우가 많아요.
그리고 스탠스 상관없이 카빙 잘하는것 보다 슬라이딩 잘하는게 개인적으로는 더 어려운 것 같습니다.
그냥 설렁설렁 슬라이딩하는게 아니라 본격적으로 슬라이딩으로 퍼포먼스를 보여주려면
스키딩의 정도와 타이밍을 양쪽 일정하게 가져가는것도 정말 힘들고
그걸 일정하게 가져가기 위한 체력 소모도 사실 더 많구요.
스윙앤 글라이드도 사실 슬턴을 잘하면 컨트롤이 훨씬 좋아지고
카빙도 슬턴의 무빙을 응용하면 (당연히) 더 좋아집니다.
정설안된 슬롶에선 뭐 당연히 카빙보단 슬라이딩이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