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빙 연습하고 있는 혼보더입니다..
지나간 자국들을 보면 엣지가 들어간거 같긴한데
데크를 직접 보면 그냥 베이스로 가는 것같이 전혀 세워진 느낌이 없습니다..
엣지각을 더 세울려면 냅다 뒤로 젖혀야 하는건가요.,.
토턴일땐 카운트자세나 외경을 사용하면 세워지나요..
유튜브 뒤져봐도 죄다 전향각에 대한 내용만 있고 덕스타일은 딱히 없어서
답답한 마음에 여쭤봅니다..
혹시 고수님들 다른 방법 알고 계시면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전향각과 방법이 다르지는 않습니다.
카운터 로테이션을 쓴다면 그 로테이션이 어떻게 데크에 전달되는지를 이해하는게 필요하고
외경 역시 상체의 외경이 어떻게 하체, 보드에 전달되는지 이해하면 쉬워집니다.
베이직 카빙이 가능한 상태에서 더 엣지각을 세우고 싶다면 결국 발목과 무릎의 사용이 조금씩 달라지게 됩니다.
가령 초보때는 발목을 최대한 세운 상태로 엣징하는게 더 쉽지만
상급자의 경우 발목을 최대한 접은 상태로 엣징해서 더 빠른 엣지체인지를 통해 엣지각 확보도 훨씬 크게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난 덕스탠스이니 전향각의 스킬은 알 필요 없어...가 아니라
덕스탠스이니 전향각 스킬을 이렇게 응용해보자....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전향각이건 덕스탠스이건 결국 원리는 똑같습니다!
전향각 이렇게 타세요...보다는 이런 원리가 있으니 이렇게 타보세요 라는 강좌가 있다면 그런걸 참고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위의 두 조건이 모두 갖춰져 있다면 이제 비교적 한산한 슬롭에서 넘어질 준비를 하셔야겠지요? 엣지각 한계치는 경험이 중요합니다. “이정도 속도에서 이 정도까지가 한계치구나”를 아시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리고 자세를 잡으셔야하는데 여러 조건이 붙지만 제일 중요한건 현재 한계치 각에서 무게 중심 즉 머리와 몸 코어는 데크에 수직으로 세워야 합자는 겁니다.
일명 안녕하세요 혹은 뒤로 벌러덩은 안된다는 말이죠. 연습을 통해 관절(발목 무릎 고관절)을 잘 사용하면서 데크 위에 똑바로 서있기 위한 노력과 밸런스 연습을 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