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어떤게 맞을까요 전 당연히
상체회전 후 다운이 맞다고 생각했어요
왜냐면 다운 후 상체회전을 하면 순간적으로 무게 감압 방항이라 해야되나 이게 미묘하게 틀릴거라 생각했는데

영상을 쭉 보다보니
어떤분이 다운 후 회전을 주라는분이 계시길래 의문이 생기네요
엮인글 :

수용성

2022.12.27 16:52:44
*.14.85.157

교본마다 단체마다 사람마다 달라서 정답이 없는 부분이죠.. 카시를 예로 들면 올드스쿨과 뉴스쿨의 상하체 로테이션 가르치는게 다릅니다. 요새 트렌드 상 하체 로테이션을 위주로 보드에 직접 힘 전달 하는 티칭이 많은데, 그 방면에서 보면 다운하면서 회전이라고도 볼 수 있겠네요. 베스트는 같이 하는거겠죠. 상체를 먼저 회전하던 다운을 먼저 하던 보드에 힘 전달만 효율적으로 되면 ok니까요.

ORCA

2022.12.27 16:55:24
*.33.207.41

상체회전 후 다운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010

2022.12.27 17:09:46
*.101.195.221

기본 턴에서는 돌려놓고 다운입니다
타는방법에 따라서 다운 상태에서 살짝로테이션 줄수도 있고 다운과 로테이션을 동시에 할수도 있습니다
업하면서 로테이션을 할수도 있습니다

soulpapa

2022.12.27 17:37:50
*.77.2.208

처음에는 로테이션이 선행되는게 맞는듯 하구요... 이후에는 로테이션을 나눠서 하는게 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전향은 잘 모르겠습니다만, 덕 기준으로 봐서는 일단 엣지 체이징을 위한 일정부분의 로테이션이 필요한것은 피할 수 없는것 같습니다. 이게 위에서 이뤄지든 언더에서 이뤄지든 100%중에 30~40% 정도는 필요한듯 하구요, 이후 엣지가 박힌 후에 데크방향과 동조하여 나머지 부분을 턴이 끝날때까지 분산하여 사용하는게 아닌가? 합니다, 이때 내가 가압의 정도와 함께 선택적으로 데크를 끌어서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듯 합니다.

아마도 고수분이 되면 될 수록 턴 초입에 소모되는 로테이션을 줄여서 진입할 수 있게되어, 이후에 라이딩에 대한 지배력이 더 높아지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듬니다.

소리조각

2022.12.27 17:38:28
*.104.11.106

돌려놓고 다운이 맞습니다. 왜냐하면 로테이션을 먼저 배우기 때문에 로테이션이 들어가고 다운을 연습한다고 보심됩니다.

하지만 실제로 너비스턴이 슬라이딩턴이 되려면 로테이션과 다운은 거의 동시에 가게 되구요. 영상에서 설명한 것은 하체 로테이션이 아닐까 싶긴 하네요.

 

또한 턴은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기술이 아니라 밸런스로 피보팅을 만들어내는 기술이라 나중이 되면 동작의 순서보다는 보드를 얼마나 내맘대로 컨트롤 할 수 있느냐가 중요해진다고 이해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소리조각)

미친스키

2022.12.27 17:39:09
*.236.100.198

두가지 방법이 회전을 시작하는 타이밍과 자세가 다르기 때문에, 당연히 보드에 미치는 영향이나 목적도 다릅니다. 연구해보시면 공부가 될 겁니다.

본다_

2022.12.27 20:50:31
*.235.12.101

어떤 턴이냐에 따라 다릅니다.

 

둘다 틀린것은 아닙니다.

 

어드벤스일 경우 프레스 먼저 주고 로테이션 주기도 합니다.

분노조절잘해

2022.12.27 22:25:44
*.112.217.51

다운은 항상 셋팅 끝나고~~

SBINZ

2022.12.28 02:01:50
*.86.145.117

???? 상체로 돌리는 건 20년전에 하던 방식이에요... 스노보드 위에서 하는 동작은 맨 윗글 처럼 보드에 효율적으로 압력을 전달하는게 목적이기 때문에, 지금은 카시든, 압시든, 뉴질랜드든 힐/토 각 엣지에 맞춰서 하체의 발목, 무릎, 고관절 플렉스를 사용해서 보드를 통제하도록 가르치고 있습니다. (니 스티어링을 쓰는 경우도 마찬가지) 상체는 비기너에서는 주로 진행방향에 일치하도록 맞춰두는 정도로 끝내고, 어드밴스드로 가면 카빙시 축을 잡기 위해서 어깨를 슬롭의 경사각에 맞추거나 오프피스트에서 반응 속도를 올리기 위해서 살짝 오픈한다던가 상황에 맞춰 하체에 도움을 주도록 하는 경우는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특히 상체를 먼저 돌리는 경우 압력이 전달되는 데 딜레이가 있을뿐만 아니라, 초보는 엣지 캐치 확률도 높습니다. 우리가 그냥 평지를 걸을때도 결국 하체 먼저, 그리고 상체의 팔은 균형을 맞추는 것 이상은 하지 않는 다는 걸 생각해 보셨으면 해요.

흙기사

2022.12.28 11:02:48
*.180.111.190

회전후 다운이 좋습니다~ 회전과정에서 발생하는 프레스를

다운으로 상쇄 및 컨트롤해야 무리없이 간지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168963
243610 전향각 기울기 [11] 게니티 2022-12-28 866
243609 Avel 에판하신분들 다 받으셨나요? [6] 안쉡 2022-12-28 582
243608 해머 입문 데크 질문드립니당 [6] 진그리 2022-12-28 495
243607 k2 쓰락시스 2122 / 2223 외형 차이점이 있나요? [6] 못난놈999 2022-12-28 861
243606 부츠끈 끈어졌는데용 file [3] 신짱이라구... 2022-12-28 520
243605 덕 스탠스 둿발 각도 [8] 유니그래픽 2022-12-28 813
243604 데크 길이 질문입니다! [4] 밤스 2022-12-28 423
243603 SG Force Pro Team 시기 포스 프로팀 은 하드 부츠도 사용할 수 있나요? [2] 폭풍세수 2022-12-27 449
243602 바인딩 추천 도와주세요 [3] 인천36 2022-12-27 402
243601 쓰락 셀프열성형 하다 망했습니다ㅎㅎ [8] 진격의큐큐르 2022-12-27 890
243600 스텝온 반응이 좀 굼뜨나요? [6] 냥만 2022-12-27 797
243599 휘팍 식사권 시즌권 [3] 열여덟색깔 2022-12-27 748
243598 전향각 배우려고 하는데 헤머데크로 렌탈하는 게 나을까요?? [14] 유조 2022-12-27 656
243597 휘팍인데 지인이 스키장에 처음 온다고 하네요 [3] 탈력 2022-12-27 935
243596 슬라이딩턴 데모 영상좀 봐주세요 (바이탈구피님 영상) [6] 애비앙2 2022-12-27 487
243595 왁스 스크래퍼 어떻게 관리해야하나요? [6] 동탄사람 2022-12-27 491
243594 곤지암 리프트권 생일자 할인은 없나요?? [5] 굳탱 2022-12-27 662
243593 판테라 첫 데크로 어떨까요? [9] Bulldog 2022-12-27 754
243592 그레이 딜라이트 재고 네이버에 떳어요 file [1] 방갑숨다 2022-12-27 1032
243591 용평리조트 발왕산 케이블카 이용권만 사서 타도 되나요? [7] 용팍 2022-12-27 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