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전향 2년차입니다.

 

지산 2,3번(뉴오렌지)에서 내려오는건 문제가 없습니다.  

정확히는 뉴오렌지 상단 제외한 2,3번(초중급?)에서는 베이직 다운한 상태에서 외경, 턴하는데 어려움을 못느낍니다.

즉 속도가 무섭지 않습니다. 

 

문제는 5번 블루리프트입니다. 급사 기준을 정확하게는 모르지만 오픈포지션, 직활강으로 속도를 내고 힐턴진입 후 뭘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털리지는 않습니다만 힐->토 구간이 너무 어렵습니다.(리바운딩=크로스언더를 할 줄 알았더라면..)

업,다운은 거의 없이 엣지체인지간 외경, 카운터로테이션이 뉴오렌지에서는 통했는데 실버에서는 먹히질 않습니다.

 

롱턴을 하면 경사를 천천히 체감하면서 서서히 외경을 주고 카운터로테이션할 시간이 그래도 있지만

 

제가 원하는 것은 실버에서의 1.미들턴 2.숏턴입니다.

질문을 드리지만 그 외에 팁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미들턴의 경우 Z턴(칼럼 읽었습니다.) -> 리바운딩이 필수적인가요? 

2.안되는 미들턴 붙잡지 말고 롱턴부터 충분히 연습하는 것이 먼저일까요?

3.실버 상단(짧은구간)에서 동전줍기하는 보더를 한 명도 못봤는데 그정도 경사면 최상급인가요?

엮인글 :

가느댜란

2024.01.06 05:20:11
*.101.131.37

전 독학이고ㅎ 이론은 잘 모릅니다만...
급사에서 크로스오버로만 타게되면 엣지체인지가 늦어지고 그에 따라서 턴호가 커질수밖에 없더라구요
저는 이렇게 늘어지는 턴이면 급사에서 무섭더라구요

크로스언더, 쓰루로 타니깐 디지는 안가봤지만...곤지암 제타1 게일하단 다 컨트롤이 되고 겁안먹고 탈수있더라구요
엣지체인지 방식도 중요하지만 라이딩시에 데크 전중후경을 어떻게 사용하냐에 따라 턴의 크기 감속이 눈에 띄게 달라지더라구요

전 언급하는 두곳 모두 딴건 관심없고 카빙라이딩, 데크 운용법만 좀 찾아봤습니다ㅎ
딥카x, 펀엑스x 이 두 곳 라이딩영상을 보면 전중후경 사용하는게 차이가 많이 납니다
영상 좀 봐보시면 전중후 사용법에 따라 턴호, 감속 차이가 꽤 있더라구요
한번 봐보시면 좋을꺼같네요..

ps. 뭐 논란 이런거 잘모르고 관심도 없습니다..단지 라이딩에 도움될 정보들만 알고싶은겁니당..ㅎㅎ

가느댜란

2024.01.06 05:22:32
*.101.131.37

아 그리고 5번 슬롶 상단 부분 이번시즌에 지산 한번밖에 안가봤고 설질이 안좋아서 저도 그냥 슬턴으로 내려오긴했는데
최상단부 길이도 안길고 바로 옆에서 합류 + 합류부분에 스키어 보더 분들 대기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카빙하면서 내려오기 좋은부분은 아닌거같아요ㅋㅋ

카빙과커피는진하게

2024.01.06 05:31:22
*.156.58.216

맞아요 ㅋㅋ 2턴을 할 정도로 짧은 구간이지만 멋지게 쓸고 내려오는 분을 한 분도 본 적이 없어서 궁금했습니다.

카빙과커피는진하게

2024.01.06 05:29:28
*.156.58.216

답변 감사합니다 ^^  말씀하신 부분 공감합니다.

엣지체인지가 늦어지면 저도 무섭구요, 턴 늘어지면서 속도 붙으면 생존라이딩이 되다보니 불쾌했습니다.

 

말씀하신 부분 중

크로스언더, 쓰루로 타니까 -> 제게 필요한 기술입니다 ㅋㅋ 연습방법과 어떻게 입문하셨는지 궁금해요.(독학보더 입장에서) 

전중후경 -> 저도 전향보드영상은 정말 많이 보고 되돌려봤는데요. 전경을 방지하기 위해 후경에 놓고 타는데

급사에서는 토턴,힐턴,폴라인 어떤 구간에서 전경이 왜 필요한 지 말씀해주실 수 있을까요?

가느댜란

2024.01.06 05:40:22
*.101.131.37

크로스언더쓰루 연습은 전 윈디상단 정도 경사에서
의식해서 하체 넘기는 연습했습니다.
낮은 자세 유지하면서 턴체인지 되는 부분에서 하체를 끌어올려서 전진업. 앞위쪽으로 던지는 느낌으로 연습했습니다
라이딩 시에 저는 중경 기준으로 잡긴하는데
엣지체인지 부분에서 크로스언더 넘겨줄때는 후경 으로 턴호 줄여주고 그 뒤엔 약간 전경으로 앞발 프레스 주는 느낌으로 타고있습니다

저도 독학이라 정답?(라이딩에 정답이 있나..? 싶지만) 은 아닐수도 있습니다
계속 스타일 바꿔 타보면서 필요한거 갖고가고 별로인 부분은 쳐버리고 랩업하는게 독학보더의 길이지 않을까 싶네요..ㅎ

본다_

2024.01.06 09:27:31
*.84.162.221

대부분 하는 실수가

 

턴이 짧아지면 그만큼 예비 동작도 빨라져야 하는데.. 이걸 따라가지 못하는 보더들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끄러지죠...

카빙과커피는진하게

2024.01.06 11:26:47
*.156.58.216

꾸준히 연습해서 감을 익혀보겠습니다. 답변 감사해요 ^^

암꺼나해

2024.01.06 16:26:01
*.36.142.55

힐턴의 최대프레스지점에서 엣지체인지후 다음 토턴의 최대기울기를 0.3초만에 하실줄 알아야합니다.

 

급사는 타이밍이 괴랄하고 미친듯이 빠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95860
» 급사 질문입니다.(전향 카빙 다운,외경, 리바운딩) 팁 좀 부탁드립니다. [8] 카빙과커피... 2024-01-06 608
250716 중고로 구매하려는데 두개중 뭐가나을가요? file [8] 기팔 2024-01-06 459
250715 이 데크는 사망인가요..ㅠ 트릭하다가 상태 봐주실 고수님 찾습니다 file [5] dajksda 2024-01-06 586
250714 입문용 장비 도와주세요 ㅠ [8] 보사장 2024-01-06 339
250713 데크 길이 어렵습니다 ㅜㅜ [16] 기팔 2024-01-06 400
250712 입문용 1년짜리 막보드로 버즈런 어떤가요? [5] 이안정 2024-01-06 366
250711 타입알에 플럭스 xf or xv 둘중 뭐가 더 잘 맞을까요? [3] 훈남병찬 2024-01-06 382
250710 아믹스 어그레서 데크 길이 질문 [2] 토오오 2024-01-05 215
250709 스미스메이즈 세나 [1] 안녕하쎄오 2024-01-05 537
250708 플럭스 바인딩 L사이즈 270도 맞나요? [2] 훈남병찬 2024-01-05 279
250707 하이원, 휘팍 말고 아이랑 놀러가기 좋은 스키장 추천좀요!! [4] 눈밥123 2024-01-05 335
250706 보드홀릭vs리다키스 [1] 보사장 2024-01-05 527
250705 말라뮤트... A/S보내면 원래 다른 끈으로 수리해주나요...? [11] 망치의하루 2024-01-05 372
250704 훗카이도 원정 처음인데 질문이 있습니다.. [2] 에버버 2024-01-05 367
250703 버튼 보아 모토와이드 전향각 카빙에 좋나요? [3] 훈남병찬 2024-01-05 381
250702 강촌에서 아이 보드에 네온 달고 내려오는거 봤는데 [2] 박정규_931712 2024-01-05 482
250701 유니버셜 왁스 추천 file [4] 18호호 2024-01-05 436
250700 자세가 맞는지 모르겠어요 ... file [11] 돌보드 2024-01-05 849
250699 베이스 감자자국 어느정도까지 영향 없을까요?? file [15] 꽁지암 2024-01-05 662
250698 스텝온 바인딩 종류별로(제네시스,일반 이런식) 큰차이가 있나요? [3] 좌우로댄스 2024-01-05 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