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안녕하세요!

저는 20대 초반에 덕스탠스로 형들을 따라 대명에서 낙엽을 터득하고, 혼자서 뒷발차기와 S자를 겨우 터득했었습니다. 하지만 군대와 일로 바쁜 시간을 보내다 보니 스노보드에서 멀어졌고, 40대가 되어 22/23 시즌부터 다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멋있게 카빙하며 라이딩하는 분들을 보며 저도 저렇게 타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고, 유튜브를 열심히 찾아보던 중 전향각에 매료되었습니다. 그래서 23/24 시즌부터 해머데크로 도전했지만, 극초보에게는 너무 높은 장벽으로 느껴지고 있습니다.

덕스탠스에서는 기본적인 턴만 할 줄 알았던 탓인지 카빙 자체를 제대로 해보지 못했고, 해머데크(시막 노멀)를 타면서 턴도 제대로 안 되고 자꾸 넘어지기만 합니다. 라운드 데크를 탈 때는 중급 이상의 경사는 무서워 못 내려왔어도 넘어지지는 않았었는데, 지금은 자신감이 급격히 떨어진 상태입니다.

그래서 지난주에 강습을 받았는데, 강사님께서 첫 번째 문제로 속도를 붙이는 직할강을 못 한다는 점을 지적하셨습니다.

그 결과 비기너/너비스턴을 다시 연습하자는 말씀을 들었고, 연습 중입니다.

강사님께서 강조하신 부분 중 하나는 골반이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며, 전경에 하중을 주고 발볼(발가락) 쪽으로 힘을 주는 것이었습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는 전향각에서는 후경에 하중을 주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알고 있어서, 이대로 연습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초보 주말보더가 전향각을 연습할 때 어떤 방식으로 연습하면 좋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신체 : 170/66

보드 : 시막노멀 156, 42/33, 스탠스54

바인딩 : 플럭스 XF S

부츠 : 라이드 트라이던트 250

엮인글 :

ALPI

2024.12.10 18:24:55
*.200.67.142

전경 후경 이런건 개인마다 다릅니다. 정답이 없어요.
우선 기울기로만 턴이 완성되는 베이직 연습을 최대한 많이 하다보면 느낌이 옵니다.

혹시 내일 강촌 오신다면 제가 팁을...!!!

P.E.JUN

2024.12.10 18:27:54
*.112.27.120

감사합니다^^ 주중에는 못 가요ㅠㅠ 주말에만 강촌으로 다니고 있어요ㅠㅠ

ALPI

2024.12.10 18:35:05
*.200.67.142

그리고 글 묻답 게시판으로 이동 하셔야 해요 ^^

Hate

2024.12.10 18:42:39
*.102.128.68

후경위주라는건
어느정도 경사에서 턴을 하는 사람 기준이구요

이 마저도 스타일마다 다른거라 크게 참고할만한 사항은 아닙니다

직할강, 비기너 턴 하실때는 전경을 주는게 좋습니다.

P.E.JUN

2024.12.10 18:53:58
*.33.165.30

직할강 후 베이직 카빙 반턴씩 연습하는데... 토턴때 시선을 먼저주면 몸이 자동으로 닫히는데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요?

Hate

2024.12.11 09:55:11
*.102.128.102

천천히 하세요
휙 넘어가시면 몸이 무서워서 그럽니다.

또치빠

2024.12.10 18:55:17
*.206.219.91

카빙은 전,주,후경 모두 사용합니다.
전경이 안되면 시작 자체가 어렵습니다.

아이폰6

2024.12.10 19:59:19
*.253.124.44

아직 평지에서 직활강도 못하는 실력인데 전중후 의미없어요.   동줍하려고 말아타도 카빙은 빨라요. 주말보더 두세시즌 눈밥은 쌓여야 초급중급에서 카빙 편하게 할듯요.

™판때기보더

2024.12.10 21:19:38
*.234.194.151

프리스타일은 정답이 다르다고 볼 수 있어요
기본적인 것을 벗어 나는 경우가 많은 스타일 들이 있어 다양해서 좋을거 같아요 개인적으로 많은 발전이 생긴다고 보거든요 ㅋㅋ

선수들이나 데몬들이 봤을때 알파인들도 이해가 안된다고 많이들 하시는데 우리 프리스타일이 제일 다양하다고 생각됩니다

스승님께 많이 배우시다 한계를 느끼실때 본인이 원하는 스승님을 찾는것도 좋아요

P.E.JUN

2024.12.11 14:48:14
*.112.27.120

넵^^

암꺼나해

2024.12.10 21:46:28
*.156.127.42

탑승인데

 

그냥 한마디 남겨봅니다.

 

보드는 회전운동입니다.

 

전중후는 어느한곳에 멈춰있는게 아닙니다.

 

계속해서 데크는 움직이며 무게중심은 변화합니다.

 

전향각을 오랫탓지만 꼭 후경이라고 또는 전경이라고 말할순없을것같습니다.

 

어쨋든 항상 중경을 유지하기위한 상황에서 후경

 

항상 중경을 유지하기위한 상황에서 전경

 

항상 중경을 유지하기위한 상황에서 중경

 

만 있는것같습니다.

 

그게 회전운동 원호안에서 일어나는 중심이동입니다.

 

즉 중경을 유지하기위해서 상황마다 다른 중심을 써야합니다.

 

그게 힐턴 어느부분 토턴 어느부분에서 써야하는지는 강사님께서 알려줍니다.

 

노즈를 밟아야하는 상황 테일을 밟아야하는상황이 계속해서 변화합니다.

 

내가 어떤턴을 혹은 어떤엣지체인지를 혹은 어떤프레스를 사용하냐에따라서도 변화합니다.

 

그래서 답이 없습니다. 강사가 현재 피강습자의 레벨을 보고 알려줄수있을뿐이죠

P.E.JUN

2024.12.11 14:45:40
*.112.27.120

감사합니다^^

조운c

2024.12.10 21:50:54
*.235.13.254

강습 받고 있으면 강사님 말씀 100프로 신뢰하기. 이게 실력 상승의 지름길입니다. 스키는 단계가 스텝바이 스텝. 잘 짜여 있는데, 보드는 프리스타일이라 다 다릅니다. 알파인으로 가면 어느정도 루트가 있긴하지만요.

P.E.JUN

2024.12.11 10:05:59
*.112.27.120

정기 강습은 아니고 1회 강습만 받아본 상태입니다. 강사님 마인드 너무 좋으셔서 100프로 신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생각보다 너무 초보라 민망해서 머라도 반복연습해서 강습받을 수 있는 정도로는 연습이 필요하다고 판단됐습니다.

조운c

2024.12.13 14:33:08
*.238.216.188

프리스타일보드, 알파인 보드, 스키. 모두 실력 향상의 길은 같습니다. 강습받기, 내영상 촬영하기, 피드백 받기. 이겁니다. 아무리 영상보고 연습해도 내가 타는 모습을 직접 안보면 산으로 갑니다. 내가 봤던 영상대로 내가 멋지게 타고 있는것처럼 느껴지나 실상은 전혀 다르죠. 유료 강습이 부담이 된다면, 괜찮은 동호회에 가입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동호회에 재능기부하는 분들이 계시고, 조금 친해지면 원포인트 강습이나 내영상도 촬영해 주십니다. 친해지는 단계가 필요하나 음료수/간식정도의 비용으로 실력을 올릴수 있으니 좋죠. 

청화

2024.12.10 22:03:22
*.38.52.152

ㅌㅅ

짙은눈썹

2024.12.10 23:04:18
*.117.51.18

스타일에 따라서 다릅니다만.

강사님에게 배우는 중이라면 그대로 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P.E.JUN

2024.12.11 14:47:51
*.112.27.120

넵!

쿠루추

2024.12.11 10:44:05
*.234.226.158

그냥아직카빙턴연습할 수준에실력이안되는겁니다

비기너턴 너비스턴등 차근차근연습하세요

직화강이안되는이유는 내가보드를컨트롤할자신이없으니

본능적으로 넘어지려하는겁니다

초보슬로프가서관찰해보세요 조금만속도나도 자세낮추고

일부러넘어집니다 본능적으로 위험하다느껴서 넘어지는거에요

보드는 스피드를즐기는스포츠고 안전하고 재미잇게즐기기위해

커리큘럼대로 연습과정과 그연습이가지는의미가이습니다

급하게욕심내지마시고 현제내수준에서 필요한연습하면서 안전하게즐기세요

P.E.JUN

2024.12.11 14:47:14
*.112.27.120

핵심을 지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재활은보드

2024.12.11 13:45:55
*.87.60.233

글자체가 진지하시네요

조급해하지 마시고 천천히 다져가시길 응원드립니다. 

P.E.JUN

2024.12.11 14:47:40
*.112.27.120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95948
255060 12일 곤지암 가오픈은 시즌권자만 갈수 있나요?? [4] dhcusjfjhd 2024-12-11 295
255059 보드복 엉덩이 부분이 하얗게 됐어요 file [8] 발리나시고랭 2024-12-11 693
255058 휘팍 스패로우 옆 골프장쪽 제설하는 이유 아시는분? [4] 망치망치 2024-12-11 509
255057 나이트로 셀렉트 여성용 버전이 있나요? file [1] 매일배고파 2024-12-11 171
255056 남부터미널에서 고한사북 버스가 있다던데 [11] yurazzi 2024-12-11 500
255055 바인딩 각도 때문인지 무릎이 아프네요 file [16] 옹벌 2024-12-11 830
255054 인투이션 잘 아시는분께 궁금한게 있습니다 (볼륨차이) [2] 만두찐빵 2024-12-10 379
255053 REV에 K2포뮬러 바인딩 볼트 숏피스 써야할까요 펀보딩 2024-12-10 91
255052 하이원 야간개장 [5] 티볼 2024-12-10 434
255051 전향각 입문 자세 (영상o) [14] CoR1 2024-12-10 940
255050 플로우 인업고 바인딩 질문 [7] 뉴닝 2024-12-10 305
255049 리플렉스 바인딩, 바인딩 추천 [3] 신소재공학전공 2024-12-10 170
255048 홋카이도 추오버스 이용시 허용 수하물 궁금합니다 [3] 내몸이불타... 2024-12-10 221
255047 로시뇰 보드 질문입니다 [3] 아필굳 2024-12-10 130
255046 바인딩 사이즈미스 질문 file [8] minsung0410 2024-12-10 348
» 전향각 도전 중인 초보 주말보더의 고민입니다. [22] P.E.JUN 2024-12-10 1466
255044 10년넘은 장비 적정가는? file [4] 바아아아부 2024-12-10 856
255043 4년차 보린이 데크추천좀 부탁드려요ㅠ [4] sjsjM 2024-12-10 502
255042 바인딩.. 고민.. [1] 헝보헝봉 2024-12-10 147
255041 요즘은 더블캠버 데크 어떻게 구매 하나요? [6] 밀쿨 2024-12-10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