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현재 시막노멀을 타고 베이직 카빙을 연습 중입니다.
직활강 시 적절한 카빙이 이루어지기 위한 속도를 감지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또한, 토턴과 힐턴 시 시선만 돌리고 기다리면 자연스럽게 기울기가 생기는 것인지, 아니면 골반을 살짝 좌우로 움직여 기울기를 만들어야 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현재 프레스를 크게 주지 않고 라이딩을 하다 보니, 경사가 있는 곳에서는 엣지가 잘 박히지 않아 베이직 카빙이 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반대로 완사에서는 속도가 자꾸 죽는 문제가 있습니다.
추가로, 직활강 시 보드의 베이스로만 타면 역엣지가 걸려 앞으로 넘어질 것 같아 겁이 납니다. 이런 경우, 살짝살짝 좌우 엣지를 사용해 직활강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질문의 핵심은 완사에서도 엣지가 잘 박히는 느낌을 얻고 싶은데, 이럴 경우 골반을 좌우로 살짝 움직여 중심축을 이동시켜도 되는지 여부입니다.
비슷한 경험이나 조언해주실 수 있는 부분이 있으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도 작성자님과 같은 시막 노멀로 1년차 전향보더입니다. 저도 겪은 문제를 보니 반갑네요. ㅎㅎ
저 같은 경우는 직활강보다 사선으로 속도를 내어 시작하는데 완사에서 낮은 속도로도 충분히 카빙이 되더라구요.
제 경험상 다운상태가 아닌 높은 bbp 자세로 시선도 중요하지만 골반에 더 신경쓰면서 힐턴에서는 앞발의(레귤러 기준 왼발) 뒷꿈치에 힘을 줘 눌러주며 기울기를 주고 토턴을 할때는 앞발(왼발) 엄지발가락 아랫부분(앞꿈치?)에 힘을 줘서 엣지를 넣고 기다려주면(핵심) 카빙이 되었습니다.
어느정도 속도가 붙지 않을 때 기울기를 많이주면 넘어지더라구요.
완사에서 속도가 붙지 않은상태에서 엣지를 넣으려면 외경을 깨달아야 할 것 같은데 저도 아직 외경단계는 아니라 설명드리기가 조심스럽습니다.
속도가 느리더라도 기울기를 적게주면 연습가능.
기울기의 시작 = 뉴트럴 > 노즈드랍 > 데크가 떨이지면 기울기
뉴트럴에서 발목을써서 엣지각확보.
기울기가 들어갈 시점으로 데크 움직임 만듬
이걸 노즈드랍이라고함.
이걸 안쓰는 스타일도 있음
제대로 안되시는데 왜 상급자 슬로프를 가시는지?
완사에서 완벽하게 수행후 올라기시길
직할강이 무서우시면 계속 하시면 됨
살짝엣지 써가며 하다가 안써도 되도록
이론에 없는 움직임 스스로 창조하시기보다
남들이 알려주는데로 타시는게 좋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