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턴진입시 시선과 체중의 외경을 최대로 주면(동시에 내리누르면) 앞발이 거의 완전히 펴지게 됩니다. 동시에 엣지각이 거의 최대로 먹게되는데요.
이게, 데크를 더 초반에 순간 많이 휘게하긴 하는데 힐턴이 데크의 플렉스든 레디우스든 탓에 빨리 종료되지 않는 경우 턴이 뒤로 갈수록 늘어진다는 느낌이 듭니다. 아마 무릎으로 데크를 밀어버리는 프레스를 초반에 다 소모해서 초중반 넘어가면서부터 데크를 추가로 밀지 못하고 그저 끌려?가기 때문이 아닌가하는 인상입니다. 그냥 무릎핀상태로 버티기로만 턴 종료까지 가는.
반대로 제 기억상이나 느낌상 힐턴진입초반에 무릎이 완전히 펴지지 않는 정도의 외경을 준 경우 엣지박아넣고 턴을 들어가면서 생기는 턴호가 조금 더 길지만 중후반까지 추가로 무릎으로 데크를 미는 힘을 가져가는 이점이 있어서 외려 턴 마감이나 턴중후반의 갑작스러운 턴변동(특히 사람을 피하거나 정지한다고 할경우)을 하거나 뉴트럴로의 리커버리시 쉬운게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턴중후반으로 가도 프레스컨트롤의 여지를 내가 가지고 있고 종료를 더 의도적으로 시킬수 있을 법한.
알파인보드도 사실 무릎을 다 피진않는데요.
의견 부탁합니다.
*
대부분 앞발을 완전히 펴도 큰 문제가 없어보이는 힐턴 영상을 보면 턴호 자체가 크지 않더군요. 마치 제 힐턴으로는 숏턴틱 중턴이 되는 정도의 턴호.
제가 일부러 롱턴을 즐기지는 않지만 데크특성상 약간 롱턴을 많이하거나 롱턴을 즐기게되긴합니다. 엣지로만 가는 풀카빙을 하게되면은요. 위에 언급된 분들의 1.5배이상쯤요. 저분들은 슬로프의 반 안에서 턴이 완성된다면 전 2/3쯤은 잡아먹습니다.
상체프레스 - 자세가이쁨 프레스조절이 힘듬
전신프레스 - 자세가 안이쁨 프레스조절이 쉬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