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안녕하세요, 카본 과 우드 데크의 각 장단에 대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플렉스가 강하고 그립력 좋은 티타날은 제외하고.

 

우드와 카본을 비교하면 각 비교되는 특징이 어떻게 될까요?

플렉스는 뭐가 더 강할까요?

 

누구는 카본이 더 말랑하다, 누구는 우드가 더 말랑하다, 잘 모르겠습니다.

엮인글 :

꿀배기

2025.10.11 23:51:16
*.235.2.135

추천
1
비추천
0
많은 데크들을 써본건 아니지만. 데크들마다 다 다르지 않을까요??? 우드 데크끼리도 어떤 제질을 쓰느냐 부터 플렉스가 차이나고 배치모양에 따른 차이도 있을테고 카본도 어떤식으로 쓰느냐 한줄이 들어가는지 두줄이 들오가는지 두께는 얼마나 두껍게 들어가는지에 따라 다른 플렉스를 가지는 걸로 알고있어요.

보드 데크에서의 카본의 특징이라 하면 원래 모습으로 돌아가려는 회복력, 즉 탄성이 높은거 아닐까요???

날아라가스~!!

2025.10.12 12:03:22
*.168.234.76

추천
1
비추천
0
단순 비교대상으로 보긴 좀 힘듭니다. 우드의 배열 및 소재 카본의 배열등의 차이를 어떤식으로 데크에 적요했느냐의 차이이지 단순 소재만으로는 어떤차이가 있다~ 가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힘듭니다.

흔히들 이야기하는 티타날 소재도 강성이 아닌 데크의 바이브레이션을 잡는 위주로 설계되고 적용되느거지 몇장 넣었다고 엄청난 강성효과를 보이는건 아닙니다. 금속재질이기는 하나 판에 들어가는건 아주 얇은 소재이고 이걸 우드로 구현하기가 불가능하기에 보강재로 들어가는거지 메인 구성은 아닙니다.

부자가될꺼야

2025.10.12 14:50:55
*.214.191.211

추천
1
비추천
0
카본은
자전거에 넣든 등산용품에 넣든 쟈동차에 넣든 스노보드 데크에 넣든
진동 및 충격흡수입니다 부수적으로 경량화
그 외에는 다른 재질들을 어떻게 썼느냐로 정해지지요

아주라

2025.10.13 15:29:52
*.15.155.1

추천
1
비추천
0

 우드 & 카본 도 중요하지만...

 내부에 들어가는 코어(유리섬유,와이어등등... )방향이나 머 각 쉐입이나 특성등... 

 코어특성들과 각 우드나 카본소재들이 또 나뉘는데다가... 방향성이 많긴하지만

 가장 중요한 내몸사용설명서가 필요하네유 ㅠㅡㅠ 

ehdgus

2025.10.13 19:08:58
*.179.99.25

좋은 댓글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1] Rider 2017-03-14 68568

카본데크 vs 우드데크 update [5]

  • ehdgus
  • 2025-10-11
  • 조회 수 165

근데 헝보는 https 도입 계획이 없나요? update [3]

기계치를 도와주세요 ㅠㅠ 역방향 풀리 만드는법좀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file [2]

요즘혼다 파일럿 차량에 관심이가네요 부쩍 [2]

정수기 렌탈 어디서 진행하는 게 좋을까요? [4]

  • 아코
  • 2025-09-29
  • 조회 수 307

X5 시즌권 디스카운트 플랜 캐쉬백 문의 [1]

  • Ba-Kick
  • 2025-09-20
  • 조회 수 576

휘팍시즌권 문의드립니다 [4]

독일에서 전기자전거 부품하나 구매 하려눈데 [7]

  • BRTNT6
  • 2025-09-14
  • 조회 수 308

대부분의 카드가 신규 가입하면 10~20만원 캐시백을 해주나요? [10]

데크 2장 트렁크 실을때 어떻게 하세요. [8]

  • 그드
  • 2025-09-12
  • 조회 수 505

예약 보드 구매 취소 고민 같이 해주세요ㅠㅠ [4]

X5 시즌권, 자녀등록은 [4]

강원도 여행 때문에 고민입니다. [6]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중교통 이용방법 좀 아시는 분 있을까요? [4]

틱톡라이트 친구 출석 이벤트 어쩌고 하는거요. [2]

침대 매트리스 고르는게 이렇게 힘든가요 [16]

자동차 타이어전문가님들께 문의드립니다 [3]

일본 파우더 데크 추천 및 구매시기 [4]

염갈량은 왜 그러신거에요? file [1]

양양 맛집추천 부탁드립니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