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용으로 짐작하기에는 힐턴 시 프레스를 많이 주지 않고 상체 로테이션도 좀 부족해서 속도가 많이 붙는거 같습니다.
직선에 가까운 형태로 라이딩 하시지 않을까 조심스레 여쭤보고 싶네요..
기본적으로 상체 로테이션에 좀 더 신경쓰시고 다운 자세는 초등학교에서 쓰던 나무 의자 기억하시나요?
딱 90도로 각 잡혀있는 예전 나무의자... 거기에 앉는다고 생각하시면 되요..
그리고 꽈당하는거는 속도에 비해서 많이 다운을 해서 그런거 같네요.. 자전거나 오토바이가 속도가 느린데 많이 기울이면
넘어지는 것처럼요..
속도를 제어하는 법 = 턴을 제어하는 방법입니다. 직선의 형태로 내려가면 턴을 할 때 엣지에서 감속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속도가 계속 빨라지는 것이구요,.. 말씀하신 것처럼 턴 반경을 작게하면 턴할때 속도는 줄어들게 되어 있습니다.
카빙이 속도의 감속없이 타는 건데 속도가 너무 붙어서 걱정이시라니 ;;;;;
힐턴이고 토턴이고 간에 데크와 몸이 직선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90도로 이야기 한 모양이네요.
데크의 기울기와 몸의 기울기가 일치해야 각을 높이 세우더라도 안정적이 됩니다. 이건 연습만이 터득의 지름길..
빠르다 싶으면 중간중간 한번씩 긁어줘서 속도 줄이시면 되지요~.
턴 반경이 작을 수록 가속은 덜 하는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