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 카빙에 관심 있는 보더입니다.
베이직 카브 처음 배울때,
슬라이딩턴에 익숙하다보니, 자연스레 상체 로테이션을 사용하며, 내려왔습니다.
근데.! 상체 로테이션을 하면 안된다고 해서, 차렷자세로 전혀 어깨가 움직이지 않게 연습했는데요..
그후, J턴 연습할때도, 카빙은 상체로테이션이 아닌 오직 기울기만으로 턴을 해야 한다고 해서,
또 그렇게 연습했는데
원 포인트 받을때 또 다른분이, 상체로테이션이 전혀 들어가는지 않는게 아니라공!
조금씩은 들어간다고, 그렇게 하지 말라구, 그래서 또 다시 연습했습니다.
(확실히 상체 로테이션이 조금 들어가니까 좀 더 부드럽게 턴이 된다는 느낌이 있었습니다)
또 다른 지적, 어깨가 너무 오픈되어있다공,
어라, 전 어깨가 오픈된 상태에서 내려와야 한다고 들었는데...
도대체 이런... 뭐가 맞는걸까요!?
다음시즌에 어떻게 연습해야하는지 혼란입니다...
아무래도, 제 스승님 스타일에 맞춰야 할꺼 같긴 하지만....
좀 제대로 알고 다음 시즌을 넘어가고 싶네요..
카빙과 어깨 오픈에 대해, 카빙과 상체로테이션과의 관계에 대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요새 조금 민감한 주제이긴한데요...
(몇몇 분들은 꼭 어깨를 닫아야만 한다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계시더군요.. ㅡㅡ;;)
어깨를 어느정도 오픈하지않고는 제대로 된 프레스를 넣을수가 없습니다.
위에 오퍼스원님이 말씀하신대로 완전한 베이직 이후....
프레스를 넣는 시점부터는 어깨를 열어야 프레스를 충분히 사용할수있습니다.
거울앞에 서서 프레스를 많이 넣는 자세를 잡아보시는데.. 어깨를 열었을때와 닫았을때의 자세를 비교해보세요.
만약 스승님이 계시고 그분의 라이딩을 완전히 믿고 따르신다면 그 분의 가르침을 계속 믿고 따르세요.
여기저기서 하는 얘기에 귀를 기울이시면 그것이 바로 주화입마에 빠지는 지름길입니다. ^^;;;
제가 할말은 아닌듯싶지마는... 제가 좋아라하는 분들 댓글이 계셔서 저도 동참!!! 제 소견으로는 말이죠... 연습시에 자세가 어떻게 되어야 맞는다라기보다... 하나하나 단계별로 해나가시면 될듯합니당~ㅎ 기울기를 주어야 엣지를 세울수 있으니 기울이는 연습을 하시고... 기울이면서 프레스를 가야해야 턴을 더 말수있고 고속에서도 버틸수 있게되니 업다운 연습을 하시고... 더 상급으로 올라가 엣지를 더 세우고 프레스를 더 가해주는 과정에서 중심을 못잡게 되서 턴이터지고 하니 상체로테이션을 통해 극복할 수 있으므로 로테이션 연습을 하시고... 어깨의 열고 닫음은 경사도가 높아지고 속도가 급격히 빨라졌을시에 역시 가장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기위해 스스로 선택해서 연습해야되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당~ㅎ 처음부터 어떤자세라기보다 하나하나 단계를 거쳐가면서 극복하고 완성시켜가야하는게 아닌가 싶네여~ㅎ
베이직 카빙을 연습하는 단계에서는 가급적 상체를 고정하고 (열지않고) 연습을 하는게 좋습니다.
이 단계는 순수하게 데크의 사이드컷만을 이용한 회전... 카빙의 감을 익히는 단계이기 때문이죠...
베이직 카빙에 익숙해진 단계라면 그때부터는 상체 로테이션을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