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유지
A : 2010년 02월 신입 입사B: 2010년 08월 신입 입사C: 2010년 11월 경력직 입사 (경력 : 약1.5년)A,B,C는 무기계약직으로 입사해서 2년후에 정규직 발령을 받을 예정입니다.C의경우는 경력을 인정하여 호봉에 더할 예정이라면A,B,C 중에 진급이 가장 빠른 사람은 누구죠?진급이 입사일 기준인가요? 호봉 기준인가요?
2011.04.09 01:43:25 *.252.41.3
과장 시험에 합격해야 진급을 하죠. 연수됐다고 진급하는거 아녜요.
과장 안되면 다 일반사원이고 형식적으로 대리, 주임 등등 붙여주는거에요.
2011.04.09 09:16:23 *.170.68.4
대리가 형식적인거라니...사원하고 주임,대리하고는 틀린거죠
보통 호봉이 높더라도 입사후 몇년이 지나야 진급이 될수 있을겁니다
하지만 그이후엔 호봉 높은사람이 더빠르겠죠
경력을 호봉으로 다인정해주면 당연히 C가 빠르겠네요
2011.04.09 13:36:33 *.213.92.127
근평 잘받은 사람이 진급합니다.
근평이 똑같다고 할때 A가 진급합니다.
진급소요 연수가 지나고, 지난 기간만큼 가산점이 틀리게 올라갑니다.
단 이건 일반 급이 올라가는 케이스이고, 관리자 승진은 시험봐서 붙어야 합니다.
2011.04.09 16:46:11 *.167.35.207
공채냐... 용병이냐의 차이점도 큽니다.
2011.04.11 01:31:14 *.237.122.159
공기업마다 틀리겠지만 보통 1.5년 지나면 주임, 3년되면 대리, 5년이면 과장 정도 될거에요..
아마 과장까진 진급이 입사일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알고 있고요... 과장이후에 차장, 부장은 근평이나 시험 등으로 하니 입사기준은 의미없겠죠..
과장 시험에 합격해야 진급을 하죠. 연수됐다고 진급하는거 아녜요.
과장 안되면 다 일반사원이고 형식적으로 대리, 주임 등등 붙여주는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