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제빵기술 배우고 파리바게트 가게 내는것이 꿈인 직장인입니다.

 

제 질문은요~

 

흔히 자영업은 순이익이 회사원 월급의 배는 되어야 유지되고 그렇지 않으면 접으라고 하시는데요

 

만약 월급이 200이면 자영업 순이익은 400이 되어야 비슷하다고 합니다.

 

전 이말을 잘 이해를 못하겠는데요

 

순이익이라면 말그대로 순수 남는 이익이죠.

 

자영업하면서 주말 반납하고 밤늦게 까지 일해서 남은 순이익이든 뭐 설렁설렁 일해서 남은 순이익이든 그 돈의 액수는 일정합니다

 

그런데 단순히 수치적으로 비교해 봤을때 200받는 회사원의 배를 벌어서 400을 벌면 차액이 200이 생기는데 그거 어찌 같나요?

 

자영업의 가게 관리 및 정신적 스트레스? 내지는 시간적 육체적으로 과도한 업무, 수입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생활의 불안정화, 망할 것에 대한 걱정 등등 때문인가요?

 

저는 회사원이라 제월급의 두배를 벌 기회조차 없어서 그런 말들이 잘 이해가 가질 않구요 만약 시간외 근무라든지 과도한 업무를 맡아서 제 월급의 2배를 준다면 아니 1.5배라도 준다면 전 기꺼이 하겠는데요

 

자영업은 회사월급의 두배가 순이익으로 떨어져야 해볼만 하다.. 이말을 전 실감을 못하겠습니다

 

또이또이나 그이상만 되어도 괜찮은거 아닌가요?

 

적어도 내사업이니 직장에서 발생되는 상사와의 의견 불일치나 부당한 인사조치 내지는 갈굼, 동료와의 경쟁으로 인한 불편함과 스트레스, 어려운 일에 대한 막연함, 프로젝트및 신규개발 제품 등 각종 프리젠테이션의 압박, 제2외국어의 압박,승진에대한 걱정 밑에서 치고올라오는 능력있는 젊은이들로 인한 자신의 위치 축소, 불확실한 미래 등등등... 직장생활을 하면 누구나 격는 이런 스트레스에서 해방이 될수 있으니까요..

 

미래 제빵계를 주름잡고 싶은 1인이었습니다.

 

자영업 하시는 분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엮인글 :

2011.05.20 08:24:28
*.241.147.42

자영업이든 직장이든 스트레스는 비슷한듯 한네요.....

 

매상,  투자비 회수,  미래에대한 불안감...   등등

 

124

2011.05.20 08:58:44
*.249.8.13

들어간 총알이 다르잖아요.

직장인이야 판돈이 들어간게 없지만, 자영업은 판돈이 걸린건데. 그에 대한 댓가도 보상되어야 하잖아요.

적당한 거리에 적당한 크기에 남부럽지 않은 인테리어 하려면...

 

보증금, 월세 빼고도 권리금, 인테리어비용으로 억단위 판돈 걸어야 할겁니다.

CABCA

2011.05.20 09:27:10
*.43.209.6

업무강도, 노동시간, 투자금액과...세금 및 세금성 보험들에 기타 복리후생 포기까지 감안하면 두배이상은 찍는게 맞죠..

 

거기에 가족이라도 한분 같이 일을 하신다면 두배 이상 찍으셔야 하는 거구요..

 

쉽게 말해, 부부가 같이 장사를 하는데 둘이 한달에 순수익으로 600찍는다면, 결국 각각 300씩 벌었다는 단순계산이 나오는데, 이 정도면 월급쟁이생활과 크게 다르진 않죠...

 

현실에 만족하면 관계없습니다만, 자영업의 목적이 내가 일하고 기여한만큼의 성과 및 보상에 있다면 아무래도 두배이상은 벌어야 한다는 얘기에 저는 더 기웁니다.

 

덧1) 파리바게트..프랜차이즈 비용 엄청나던데요..거기에 철마다 인테리어 비용 다시 다 내야하고..아주 ㅈㄹ 맞은 프랜차이즈 중에 하나인 듯..즉, 기존 월세/권리금에 더해(보증금은 차치하고) 다달이 나가는 프랜차이즈 비용+@가 항상 존재한다는 거..

 

덧2) 프랜차이즈 빵집의 경우(뭐 다른 곳도 마찬가지겠지만요..) 그날만들 빵의 냉동생지를 주문하고, 본사에서 만들어진 빵을 별도로 주문해야 하는데 이거 재고관리를 잘하셔야지 안그럼 버리는 빵이 더 많더라구요..

 

여튼..건승하세요~~

..

2011.05.20 09:46:44
*.98.204.74

1. 투자비용

- 회사원할때 투자비용 필요없죠..


2. 감가상각

- 인테리어고 사무실 집기고 뭐든 언젠가는 다시 사야됩니다


3. 퇴직금

- 자영업자는 은퇴하면 끝입니다...


그외 잡다한 직원문제, 세금문제, 옆에 동종업종이 들어와 매출이 줄경우 이런거는 다 무시하더라도


위 1,2,3 번만 생각해도 2배가까이는 벌어야 얼추 계산이 됩니다..

飛스Cat 

2011.05.20 09:56:14
*.86.155.6

내용은 대충 아시고 다른 분들이 설명하니 생략하고..


파리바게트를 고려하신다니...2011년 5월17일자 PD수첩 보세요......

하필 고려하시는게 SPC/제너시스 ..업계 종결자..ㄷㄷㄷㄷ.....모든 프렌차이즈 본사의 롤모델...ㄷㄷㄷ

그리고 카페같은데 가입해서 현실을 보시기 바랍니다......근데 딱히 대안도 없죠...- _-;

플러스편의점사장 외계인

2011.05.20 16:09:08
*.175.109.155

SPC 의 그림자에서 장사하고 있네요....   돈 들어간 금액 대강이라도 들어보면 상상초월입니다...

 

바로 앞 파리바게뜨 같은 건물 뒷쪽에 베스킨라빈스.. 같은 건물 옆옆에 가게가 빚은(떡체인 요것도 spc입니다)

 

그리고 길건너에 던킨도넛을 보면서 편의점 장사하고 있습니다...

 

저도 첨엔 해볼까 고민도 해보고 실제로 체인사업본사에 가서 얘기도 들어봤는데 결론 나오더군요.. 이거 하면 잘해야 본전이구나..

한라산

2011.05.20 10:24:30
*.207.216.195

제빵은..꼬꾸라지는 사업인데요..ㅠㅠ

원자재값이 가장 민감한 사업

파리바케트 초기비용도 엄청나죠? 그거 투자해서

400만원 버는건 차라리 맘편히 직장 다니겠습니다..

 

참고로 실직의 경우 국비지원 계좌제 제과.제빵 기술 배우는곳 알아보세요..ㅎㅎ

 

캐치보올

2011.05.20 13:28:51
*.145.140.176

빵집같은.. 자영업하는데 초기에 들어가는 돈이 크죠.

직장인 스트레스는 자영업 스트레스와 비할바는 아니죠. 신경쓸것도 많고..

대신 반대로 그만치 잘되면 돈버는 재미도 있구요.

두배이상 못뽑을거면 마음편히 직장다니는게 좋아요.

 

제빵업계를 주름잡을 사람이 통이 좀더 커야겠네요 ㅎㅎ 화이팅~

캡틴화니

2011.05.20 14:55:35
*.195.230.90

PD수첩한번 보고 참고해보세요...

뭐 좋은점도 물론 있겠지만..안좋은점도 확인을 하시는게 좋으니...

쩜쩜쩜

2011.05.20 15:28:34
*.200.209.218

강추합니다.

 

그까이꺼 창업하세요.

 

1년뒤에 회상하실겁니다.

 

헝글기묻게시판에서 투정부린게 참 행복한 시절이었구나

열라빨라쑝쑝

2011.05.20 16:41:33
*.21.164.202

ㅋㅋㅋㅋ 웃기지만 왠지 와닿는 소리..

일단 윗분들 말씀처럼 피디수첩 보시고, 카페들어가 보시고...

 

그래도 빵집이 하고 싶으시다면 천안을 주름잡는 제빵업계의 대왕(?ㅋㅋ) 뚜쥬루를 한번 방문해보시길 바랍니다.

님이 원하는 제빵왕이 거기 계실테니까요.

 

참고로 CJ의 뚜레쥬르는 뚜쥬루에서 따왔다는거..

따따따

2011.05.20 20:02:53
*.142.98.45

pd수첩보면 답 나옵니다..파리바게뜨해서돈 벌려면 500이상은 순수익으로 가져가도 나중에 인테리어 공사하면 다 날라갑니다..

ㅡㅡ

[뽀득이]

2011.05.20 23:35:29
*.12.48.173

파리바게뜨는 몇 년에 한번씩 인테리어 공사 점주부담으로 해야합니다. 대략 3억 가까이 든다고 하더군요. 참고하세요...

 

잘되는 곳은 아주~~아주~~ 잘 된다고도 합니다.

스노드라곤

2011.05.21 01:46:42
*.54.129.66

프렌차이즈는 본사만 돈벌어준다라고 생각하는 1인입니다.

 

글쓰신분의 의지와 생각을 보면 프렌차이즈말고 자신만의 빵집을 하세요.

 

참 당연한 말이지만, 정말 죽기살기로 열심히 하셔야 성공합니다.

sangcomsnow

2011.05.21 03:14:47
*.198.136.36

순익이 월급쟁이에 5배는 나와야 먹고 삽니다.

 

 

투자비 회수해야하고 재투자비용 고려해야하고 대출 이자비용과 기타 등등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이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1] Rider 2017-03-14 57705
9675 제 성격 고치고 싶어요..미치겟어요... [3] 흡연구역 2011-05-20 763
9674 이 넥타이 매는 법좀.. file [6] 얌얌 2011-05-20 760
9673 봄나들이 야외에서 고기구워먹을만한 장소있나여?? [1] 춘뱅 2011-05-20 1560
9672 부모님 이혼후 재혼하신분들 어느분이 앉으셨어요? [9] 고민많아요 2011-05-20 1110
9671 크루즈,QM5,SM5 뉴임프 [14] TheQ 2011-05-20 1423
9670 미니쿠퍼....승차감?! [13] 안드레아 2011-05-20 3345
9669 벨트 선물하려고 하는데..요거 어떤가요? file [4] 고민 2011-05-20 533
9668 여름에 파리여행가는데 숙소 조언좀 주세요^^;; [1] 파리 질문 2011-05-20 465
9667 간단한 라틴어 하시는분 없나요 ? ㅜ ㅜ 12 2011-05-20 417
9666 강서구 김포공항 근처 괜찮은 음식점 추천 부탁드립니다.. [3] 고민남 2011-05-20 812
9665 비싼브랜드속옷 은 왜 사 입나요? [14] 고라니스 2011-05-20 1521
9664 남자 정장 브랜드 좀 알려주세용:D [9] 쏭.쏭. 2011-05-20 1237
9663 펀드 은행가입?증권사가입? [3] 펀드 2011-05-20 645
9662 카카오톡친구추천질문 [1] lll 2011-05-20 1768
9661 리스차량 사고수리비 따로 청구 [3] 나이키고무신 2011-05-20 4830
9660 lg텔레콤 공기계를 sk가입자가 사용할수 있나요? [4] ㅜㅜ 2011-05-20 970
9659 쇼폰케어 단말기 보험 잘아시는분~ ㅎㅎ 2011-05-20 502
9658 유럽 여행에 아이폰 들고 가려고 하는데요. [4] hare 2011-05-20 1517
» 자영업 하시는 분들^^ [15] 하나둘셋넷 2011-05-20 1584
9656 9급 공무원 [5] 쉽지않아 2011-05-20 1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