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과학을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당 ㅠㅠ
반도체의
다결정 재료와 단결정 재료를 비교해 볼때
다결정 재료에서
결정입계(면결함)가 있을 때
에너지밴드 내에서 추가적인 에너지 준위들이 형성 된다고 하는데
이게 도대체 어떤 원리인지 너무 궁금해여 )(
제가 공부하고 있는 책에는
-결정입계에 의해 에너지 갭내에 형성된 준위들은 전하 운반자 수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런식으로 설명이 되있는데 도통 이해가 가지 않네요
어떻게 에너지 갭 내의 에너지 준위와 연관되는지 ㅜㅜ
조금이라도 좋으니 부디 좋은 지식 많이 나눠주세여 >< ><
에너지 밴드가 어떻게 생기는지가 궁금하신건가요? 원자 하나에 enegy level 이 존재하죠. 여기엔 n, s,p,d 오비탈 어쩌고 저쩌고..맞나; 어쨌든 이 원자들이 결정을 이루면 각각 원자들의 energy level 을 그립니다. 이 원자들은 거리가 가깝기때문에 상호 인력이 작용하고 enery level이 붕괴됩니다... 이 현상을 split이라고 하는데 수십만개의 원자가 결합하면 각각의 원자들에 미치는 인력때문에 energy level이 아닌 energy band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지요.
결정입계에 따라서 band gap에서도 준위가 존재하는지는 모르지만, donor나 acceptor가 주입되었을때는 band gap 사이에도 준위가 존재합니다. 아마 면결함이 생겼을 경우에도보면 결정구조가 흐트러진 것이기에 원자간 인력이 다르게 작용한다면 band gap사이에도 준위가 존재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