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단도직입적으로 업다운의 목적이 뭔가요?

 

일어서고 앉는 동작이 어떻게 압력을 해방시켜준다는건지 이해가 안되네요.

 

순간적으로 빠르게 일어서 준다면 일시적으로 압력의 해방이 이루어지겠지만

 

초보자들을 가르칠때보면 사활강하면서 업하고 로테이션하면서 턴이 이루어지고 다시 다운...

 

이렇게 되는데

 

상식적으로 생각해서 체중계위에서 앉아서 무게 재는거하고 일어서서 무게 재는거하고 다를수가 없잖아요.

 

결국 설면위에서 일어서있는거나 앉아있는거나 설면으로부터 주는 압력은 동일한데...

 

고수님들 설명좀 부탁드릴께요.

 

 

엮인글 :

DcSnow

2011.10.29 18:04:16
*.44.250.40

업다운은 아주 약한 점프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데크가 눈에서 떨어지지 않아도 업의 동작에는 잠깐동안 설면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들거든요.



비유를 하면

다운만 하는 턴은 권투의 잽

업다운을 하는 턴은 권투의 스트레이트입니다.


후자가 프레스를 더 강하게 넣을 수 있어요

샼티

2011.10.29 18:09:23
*.226.196.35

압력이 해방되면서 퉁튕겨나는듯한 리바운드를 느끼시면 라이딩의 즐거움을 느끼실수있습니다

Ricky!

2011.10.29 18:31:35
*.211.56.136

보드가 체중계위에 가만히 있는것이 아니라...

 

설면위를 미끄러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드가 미끄러지면 속도가 생겨나고 그 속도로 인해 외부의 힘(외력)을 이용하게 되는것입니다.

 

간단히 외부의 힘이라함은 라이더자신이 만들어내는 힘을 제외한 원심력, 마찰력 등을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작성자

2011.10.29 18:44:26
*.50.50.115

좀더 상세하게 설명부탁드려도 될까요?

 

보드가 미끄러지기때문에 앉은자세와 일어선 자세가 설면에 주는 압력의 크기가 다르다...라는 말씀이신지...

 

그리고 위에두분이 잘못 답변해주셨는데 답변 내용은 틀린 내용은 아니지만

 

낮은 속도에서의 턴이나 초보자 턴을 말한겁니다.

 

턴을 들어가는데 업->회전->다운 들어가는데 리바운딩의 짧은 순간을 활용하기엔 시간이 너무 길죠.

Ricky!

2011.10.29 19:08:08
*.211.56.136

앉는 시간과 일어서는 시간이 프레스에 영향을 주게됩니다.

 

속도가 낮은상황이라면 동작이 더 커지기도 하지요..

 

기본적으로 무게는 똑같습니다.. 하지만 그 일어서는 시간동안.. 앉는 동안의 프레스가 보드의 움직임을 바꾸는데

 

충분하기에 이것을 이용하고 있는것이지요..

 

 

보드가 미끄러지고 보드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피봇팅이 들어가고 나면 보드가 회전하게 되지요...

 

그리고 그것을 도와주기위해 프레스가 들어가게됩니다. 그 프레스를 유지하면 그대로 활주가 되구요...

 

그 다음 턴을 위해서는 그 프레스를 해제해야하며.. 그 해제를 위해 일어나는 동작을 하고....

 

피봇팅에 의해 다시 턴을 시작하게됩니다. 그 이후로는 위와 똑같습니다.

 

 

프레스는 어떻게보면 턴의 전반에 영향을 준다기보다.. 피봇팅과 엣징의 연결고리같은 역할입니다.

 

그러니까 턴을 촉발시키는 피봇팅을 도와주고... 엣징이 더 강하게 들어가게 도와주는 일을 합니다.

 

이는 속도가 빠르거나 느리거나 같은 역할이구요.. 예전에 루나트릭스님의 글을 보면 

 

노비스턴의 다운의 역할이 단순히 프레스의 역할뿐아니라 중심을 낮춰 발란스에도 도움을 준다고 쓰셨습니다.

 

저도 실제로 가르칠때 얘기하고.. 적용하고.. 좋은 피드백을 가져오는 경험을 여러번 했습니다. 

 

 

아프리칸보더

2011.10.29 18:36:01
*.209.163.38

초보가 한마디 해볼꼐요..

체중계에 올라가서 업다운을해도 결국 몸무게는 그대로라는 말을 보니깐

맞는거 같네요 하지만 하중은 몸무게와 비교하는게 아니고 힘이 닿는 면적하고도 상관이 있거든요

힐턴 다운시 뒤꿈치에 힘이 집중되는거 토턴 다운시 앞꿈치에 집중되는거 이런거 아닐까요?

스릴러

2011.10.29 18:38:28
*.226.220.43

저는 나중에 빠른다운 업으로 빠른엣징첸지를위해 과정을 연습중이다라고 생각하며 타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 개초보라 업다운의 느낌을 몸으로 느끼진 못하구요.. 머리속으론 대충 이미지가 그려져요.. 몸으로 느낄때까지 죽도록 연습해볼려구요...

다운업

2011.10.29 18:47:10
*.107.100.251

추천
1
비추천
0

누구나칼럼에 가시면 이와 관련된 주옥같은 글과 댓글들이 있습니다.

시간나시면 하나하나 읽어보시고, 특히 lunatrix 님의 칼럼들은 라이딩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저는 초보자에게 업다운을 설명할때 프레스보다는 무게중심의 이동이라고 말합니다

이는 속도와 많은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속도가 빨라지면 자기도 모르게 무게중심을 낮추게 됩니다

따라서 속도없이 초보자에게 무조건적인 업다운만을 강요할때 오히려 밸런스가 무너지는 역효과가 날수 있습니다

소울카버

2011.10.29 19:53:32
*.142.176.74

위에 리키님이 상세하게 설명해주셧지만 간단하게 정리 하겠습니다 제 블로그에도 있는이야기지만

 

체중계를 말씀하셧는데 그것 또한 맞는 말씀입니다 당연히 처음엔 이해가 안됩니다 

 

하중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1.외력의 의한 하중(원심력 관성력등) 2. 내력의 의한 하중(라이더 다리의 힘)

 

업다운은 2번에 해당하는것입니다

 

너비스턴에서는 1번 2번에 힘에 크기가 작습니다 보드 속도도 느리고 원심력도 작고 그리고 업다운도 천천히 하니까요

 

즉 업다운 자세 연습을 하는 과정입니다

 

근데 급사 카빙턴에 가면 속도도 빠르고 원심력도 쎄지고 업다운에 속도 빨라지고 폭도 커지게 됩니다 1번에 힘도 2번에  힘도

 

커지게 됩니다

 

끝으로 하중의정의:어떤 물체가 2개가 맞다아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힘입니다 이게 1번

 

             가중의정의 어떤 물체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는것 이게 2번 입니다

 

업다운 동작을 일본에선 스트로크 라고 합니다 스트로크에 폭 속도 방향에 따라 턴의 질이나 특성이 바뀝니다

 

이게 가중의 정의 이고 님들이 생각 하시는 체중계에 변화를 줄수 있는 기술입니다~

 

DandyKim

2011.10.29 20:12:10
*.143.36.80

여러가지 물리법칙이 적용되지만

전 간단히 데크의 특성에 초점을 맞춰 설명할게요.

(아주 단순화 시킨겁니다)

 

일반적으로 정캠버일 경우 가운데가 들려있지요?

사이드 컷이 )(  <-- 대충 이런식으로 생겼어요.

이제 데크를 상상하시면서 읽어주시길..

 

일단 저런 데크의 특성에서

++++++포인트++++++++

힐이나 토에 프레스를 주면(압력을 가하면)

떠있던 데크의 베이스가 땅에 밀착하면서 활처럼 확실하게 휘게 됨을 보게됩니다.(확인해보세요.)

이렇게 휘게되면 데크의 특성만으로도 턴이 들어가게 됩니다.

 

쉽게말해서 왼쪽으로 턴을 하려고 할 때

이러한 힐이나 토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데크가 압력을 가하기 전보다 크게 활처럼 휘어 지면에 붙어  턴이 편해집니다.

 

여기서 압력의 해제라 함은(정캠 데크의 특성이라는 측면에서 봤을 때)

다운하면서 턴이 들어가고 있는 시점에

업을 하며 데크에 가해지는 압력을 풀어주어

턴을 할때 방향의 전환을 쉽게 합니다.

 

왼쪽으로 턴이 들어갈때,

압력을 해제하지 않으면 데크는 왼쪽으로 계속 가고자 하는데

억지로 우측으로 꺾으려면 그만큼의 에너지의 소모가 들고

또한 부자연스러운 턴이 나오겠지요?

 

예를 들면,

자동차가 우회전하고 있는데

좌회전을 하려면 핸들을 돌려 앞을 향하게 하고,

다시금 좌로 돌아가지요?

데크나 자동차가 이런 특성을 가지는 이유는 이것들이 원이 아니기 때문이죠.

따라서 부드러운 방향의 전환을 하려면 이러한 것들이 필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사활강에서 압력을 줬다가 턴에 들어가면서 압력을 해제하고

턴의 과정에서 빠져나오면 다시 압력을 주는 이유는

 

*부드럽게, 빠르게, 반경을 더 짧게, 데크의 특성으로 보다 쉽게* 턴을 하기 위함입니다.

 

 

내가미친거지

2011.10.29 23:04:18
*.214.44.204

다운했다가 업하면 잠깐이지만 체중계로 말하자면 0이 되지 앉나요? 당연한건데

요엘

2011.10.29 23:52:10
*.102.100.28

많은 도움이 되네요_ 체중계로 말하자면 0으로 되는거고 엘리베이트 안이라던지 무중력 공간에서 이해하자면, 설면에서 위를 향해 부웅 가해지는 힘 즉 -@ (마이너스)가 되므로 리바운딩을 향한 탄성이 생기는듯하네요 ^- ^

작성자

2011.10.30 13:36:43
*.50.50.115

이제 와서 글을 읽어봅니다.... 리플달아도 못보실것 같네요^^

 

일단 답변 감사합니다..그런데^^;;

앉아서 서는 순간, 서서 앉는순간에 대해서 답변을 많이 해주셨는데

본문에도 있듯이 앉아서 서는 순간, 서서 앉는순간은 분명 압력에 변화가 일어납니다. 이건 본문에도 설명드렸구요.

 

제가 알고자 하는것은 서있는 상태, 앉아있는 상태가 어떻게 압력의 변화를 준다는것인가 이것에 대한 질문이었거든요.

 

답변주신 많은분들 감사합니다. 솔직히 여기서 리플도 해결하기엔 어려운점이 있네요^^

언젠가 고수분들과 직접만나서 동영상을 보면서 해결했으면 좋겠습니다.

 

 

DandyKim

2011.10.30 14:21:15
*.143.36.80

다른 분들이 쓰셨듯 자세한 물리적 법칙이 궁금하다면

누구나칼럼에가서 관련자료 보시길 바랍니다.

 

뭔가 정리가 되지 않은 상태에선 쉬운 수학문제도 헷갈리듯

지금 글쓴이도 그런게 아닐까요??

 

엄청 자세하게 적어놓은 칼럼이 있으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머리를 비운상태에서 읽어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168277
29885 장비 브랜드 질문이요 ㅜㅜㅜㅜㅜㅜㅜㅜㅜ [5] 조도매 2011-10-29 424
29884 장비좀 봐주세요 ㅠㅠ [4] 김영준_958775 2011-10-29 426
29883 와이드 데크 차이점~ [3] hyuna0608 2011-10-29 649
29882 지산 락커 [8] 성롱 2011-10-29 626
29881 보관왁싱되있으면 스템패드 안붙나용?? [7] 허접 2011-10-29 632
29880 본지퍼 고글 질문드립니다~!! [2] 빙판위에보더 2011-10-29 427
29879 스미스 하이바 질문입니다. file [6] 보드광이되... 2011-10-29 451
29878 보관왁싱 벗겨내기?? [10] 맛세가 진리 2011-10-29 687
29877 데크 추천 부탁드립니다.... [5] 니벨룽겐 2011-10-29 431
29876 엑시트 상체 보호대 질문입니다! 이번에구매하려는데 사이즈좀봐주세요! [12] 보드광이되... 2011-10-29 483
29875 갑자기 궁금해서 질문드림 [12] 겨리 2011-10-29 408
» 업다운이 설면으로부터 압력을 해방시켜준다?? 이해가 안되는게... [14] 업다운 2011-10-29 719
29873 바지 죤내 내려입는거 [16] 열폭 2011-10-29 994
29872 kasbi? ksia?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3]  HJ 2011-10-29 752
29871 저는 라이딩만 하는데 보호대가 필요할까요?? [34] 파팡 2011-10-29 860
29870 데크에 바인딩을 조립했습니다~ 한번 봐주세요 ^^ [4] 뀬뀬 2011-10-29 517
29869 데크길이질문좀^^ [8] 초보보더 2011-10-29 397
29868 바인딩교환가능할까요? [6] 보드쿨 2011-10-29 430
29867 보드복 바지 색깔 좀 골라주세용~~ file [15] 왕눈이보더★ 2011-10-29 511
29866 유니온 포스 다시한번 질문 드려요 ㅠㅠ [9] 유니자장 2011-10-29 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