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엣징을 체인지하고 엣징을박으면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야만 엣지체인징감이 오는데
숏카빙할때는 그런느낌을 무시하고 강제로 체인징을하는건가요?
저는 엣지를 박으면서 어느정도 방향전황이 되야만 다시 체인징이 가능한데 그냥바로 하면 역엣지 걸릴것같고
아님 뒷발차기라도 억지로 해서 방향을 바꺼서 숏카빙 들어가야되는건가요? 그리고 각을 깊게깊게 파서 들어가야 간지나고 멋있는데
그렇게 못하겟드라구요..
롱카빙만 하다보면 어느순간에 저절로 숏카빙도 됩니다.(똑같다는 말은 아님)
롱카빙 안되는 상태에서 숏카빙하려면 오히려 롱카빙마저도 안되게 될지도..
숏카빙은 '리바운드' 로 방향전환이 "되어진다"는 표현이 맞을듯 합니다.
턴을 할려고 인위적으로 힘을 쓰는게 아니고..
프레스로 얻어진 리바운드후에 자세와 각(앵귤/인클)을 잡으면서 카빙..
그리고 그 프레스로 다시 리바운드... 자세잡고 카빙...
이런식인데..
물론, 제가 말한게 다는 아니구여..
그래서 롱카빙 열심히 하시라는 말밖엔...;;
하다보면 다음단계는 그냥 되는게 보드... 라고 생각합니다.
롱카빙 계속 열심히 연구하시길..^^
턴종류가 워낙 많아서;; 각자의 숏카빙? 습득 경로도 다 틀리실 수 있을 것 같아요;
저 같은 경우는 다운 언웨이티드 카빙턴 익히다가 리바운드 컨트롤이 살짝 되면서
카빙턴 반경이 급격히 줄었었어요.
엣지 프레스 후 설면이 고무풍선? 같은 느낌 나면서 리바운드로 엣지 체인징이 저절로 되는 느낌인데...
이걸 억지로 하면 뒷발차기나 등등 위화감 들어서 자연스럽지 못할 것 같아요.
제가 할 수 있는 카빙턴의 턴 반경중엔 다운언웨이티드 카빙턴이 가장 반경이 작은 것 같아 말씀드려봤어요~
롱카빙이 아직 잘 안되셔서 숏카빙의 감을 모르실듯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