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유지
2025.02.09 23:57:40 *.214.204.121
2025.02.10 02:02:05 *.83.145.186
2025.02.10 05:18:33 *.235.88.155
2025.02.10 06:16:57 *.234.227.246
2025.02.10 08:59:56 *.175.187.14
뭐..농담 반 진담 반으로 하시는 말씀이겠지만..너무 극단적이네요;;
그렇게 따지면 포워드 스탠스는 레이싱 외에는 장점이 없죠ㅎ
그래서 덕 스탠스에 대한 변호를 좀 하자면..
1.프리스타일에선 스위칭이 용이하다는 것 자체가 엄청난 잇점
2.도약과 착지에서 덕 스탠스가 훨씬 안정적
3. 1,2의 이유로 다양한 설면에서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응 가능
혹시 오해 하실까봐..저는 시즌 동안 트윈, 올마운틴, 해머헤드 셰잎을
운용하면서 바인딩 각을 다 다르게 세팅하고 탑니다
물론 해머헤드는 포워드 스탠스고요
2025.02.10 13:01:34 *.100.191.80
제 사견이 아니고 영어권 교본 최근까지 본 내용을 전할 뿐입니다.
이제는 교본이 더 이상 출간되지는 않더군요...ㅜㅜ
2025.02.10 10:30:24 *.134.203.53
아는만큼만 보이고 믿고 싶은것만 믿는 현상입니다ㅎㅎ
2025.02.10 14:50:49 *.235.7.243
2025.02.11 03:44:34 *.14.85.157
극단적인 내용을 적을때에는 팩트에 기반 하더라도 사견이 아님을 미리 적어주심이 더 현명하실 듯요. 그리고 그 교본이 세상 전부의 답을 대표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구요.
2025.02.10 08:23:47 *.122.242.65
신체 좌우 불균형 때문에 덕 상태에서 생각대로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5.02.10 08:50:07 *.39.181.94
2025.02.10 09:51:41 *.134.203.53
힐턴땐 앞손으로 앞발 바인딩 힐컵을 잡아보시고,토턴땐 앞손으로 앞발 정강이를 잡아보세요.
2025.02.10 10:13:59 *.193.11.181
베이스가 어디십니까~
2025.02.10 18:25:22 *.235.2.65
2025.02.11 15:55:15 *.109.216.234
쪽지 드렸습니다.
2025.02.10 10:43:24 *.81.141.138
바인딩 각도나 스탠스 변경 해보시면서 몸에 맞는 자세가 중요한거 같습니다. 사람마다 체형이 달라서 정답이 없어요 ㅎ
2025.02.10 12:30:30 *.235.98.235
2025.02.10 12:50:24 *.123.103.213
고관절-엉덩이-등 근육이 버텨 줘야 합니다.
평소에 스콰트 해주면 어렵지는 않아요.
다만 힐턴에서 가끔씩은 터집니다.
2025.02.10 13:43:20 *.32.129.1
다리는 꽉~ , 상체는 헬렐레~~(편안히)
중경사 열심히 연습중입니다 ㅎㅎ
2025.02.10 16:06:13 *.225.52.226
2025.02.11 06:33:01 *.87.237.214
너의 등산화를 믿어라
그러다 추락사 하는거죠
믿을만한 등산화를 신었으면 믿어도 되고요
똑같아요
너의 데크를 믿어라
후진데크면 터져서 날라가는거고
좋은데크면 받아주는거고
실제로 써보고 하는 말이고
리프트 타고 올라가면서 슬로프 처다보면
내공은 별로인데 비싼데크라서 안터지고 다 받아주고 있네
하는거 많죠
근데 몇백만원짜리 데크인데도 안되는 사람도 있다는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