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rtin

2007.10.13 14:29

누구나 칼럼에 육보드님의 아래와 같은 글이 있네요...
코팅단가는 무지하게 싸네요...그런데 3만..어디 공구 안하나요?? 만원이면 떡을 치겠네..
-------------------------------------------------------------------------------------
멀티 코팅의 가격은

빨>주>노>초>파>남>보 식으로 빨간색에 가까울수록 레이어 층이 여러겹이 되므로
레드미러가 비싸다 하겠다. 여기서 노란색은 멀티 코팅을고 색상 재현이 가능하지만
실제 사용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노란색을 띄는 금속은 상당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여러분들이 가장 궁금해하시는 가격적인 부분을 말씀드리겠다.
원가가 어떻게 되는냐?

한국의 한 업체에서 니켈 증착 단가는 센티미터 스퀘어당 약 1.2원이다.
그 업체의 레드칼라 증착 단가는 센티미터 스퀘어당 약 19원이다.

고글의 크기를 가로 20센티*세로10센티라고 보면

골드미러코팅단가 = 20*10*1.2=240원
레드미러코팅단가 = 20*10*19=3800원

저건 아논사에서 클리어 렌즈 들고 한국의 한 코팅업체 들어가서 이거 코팅좀 해주슈~ 했을때의
참고 수치일뿐 실제 아논같이 대량생산하는 곳은 자체 공장 내지는 OEM업체에서 생산될 것으로
생각이 되며 더군다나 중국에 공장을 두고있다면 저 제조원가는 저 가격의 약 30% 정도라고 생각이 된다.

제조원가
골드미러코팅원가 = 240*0.3= 72원
레드미러코팅원가 = 3800원*0.3=1140원

물론 이 가격 자체를 그대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
아논 렌즈 기준으로 기본 골드렌즈라고 해도 2번의 금속증착과 1번의 에칭공정이 들어갔으며
이외에 안티포그 및 발수코팅이 들어가있다 하겠다.

그렇다면 고글의 가격을 좌우하는 것은 무엇인가?
금형? 아니다. 그정도 많은 량의 렌즈를 생산하는데 금형 그 사이즈 파봤자
원가 뽑고도 남는다. 그럼 무엇이냐?
본인이 생각하기에는 렌즈코팅이 아닌 렌즈자체이 있다.
혹자들은 플라스틱(폴리카보네이트)이 머가 그렇게 비싸냐 하겠지만...
우리 안경알을 생각해보자. 그 조그마한 것이 두알에 몇만원이다.
이 역시 플라스틱으로 되어있다.
그렇다. 일본의 광학용 고분자 제조 업체로 유명한 태이진, 니또덴코 미국의 GE등
이곳의 폴리카보네이트 판넬은 450*500사이즈 한장에 몇만원을 호가한다.
또한 버튼사가 아무리 크다 한들 이 업체들을 OEM으로 둘수 없으며 구매 수량에 따른
Nego만 있을뿐 을같은 갑일뿐이다. 결국 원단이든 원단을 만드는 레진이든
제값주고 사야한다는 말이다.
한가지 더 생각이 되는건 프레임이라 생각되지만 프레임은 내 지식밖이라 잘 모르겠다.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