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따로 동호회 활동은 안해봤지만...

제가 초보때 주변에서 장비 갖추는 조언을 해주면서

엉덩이 보호대는 알려줘도 헬멧은 안알려 주더군요.

빙판에 얼굴한번 들이박고 바로 헬멧을 구입했는데...

 

헝그리내에서나

그외의 많은 곳에서 이루어지는

동호회 초보 강습...

왜 헬멧이 필수인곳은 드물까요?

 

 

하프파이프나 킥커 기물 알파인 탈때만

헬멧이 필요한건 아닌거 같은데...

 

 

인라인, 스케이팅, 자전거 동호회 모두

헬멧 안쓰면 그냥 집으로 돌려보냅니다.

담부터 쓰고 올께요 해도 사정 안봐주죠.

 

신입 회원 강습할정도의

실력을 갖추고 있는분들

본인들 멋낸다고 신입분들 안전까지

포기하게 하지 말았으면 해요..

 

 

 

슬로프내 에티켓?

안지키면 서로 좀 불편할뿐입니다.

엉덩이보호대 손목보호대?

멍들고 삐고 부러진거 시간지나면 다 나아요

헬멧?

평생 휠체어에 앉을수도

바로 영안실 냉장고 안으로 들어갈수도 있어요...

 

 

 

 

엮인글 :

부르르릉

2010.12.08 00:27:22
*.237.199.94

정식 강습도 잘이루어지지 않죠

보노보더

2010.12.08 00:49:52
*.253.66.86

그나마 휘팍에선 아이들에게 무료로 헬맷 빌려주며 나름 캠페인 하는 것 같더군요...

Zety

2010.12.08 01:09:19
*.146.196.252

보드는 비니쓰고 헤드셋 끼고 타시는 분들이 흔하다보니

다른 사람에게 헬멧이 꼭 필요하다고 말하는 분이 드물죠.

슬로프에 나가 보시면 다 보이시겠지만 요즘은 춥다고 비니만 쓰고 타시는 분들이 절반이상인듯.

거기다 초보면 장비만 렌탈일게 뻔하니...

몇 푼 아낄려다 뇌진탕 크리 당해봐야 아... 아프구나 할텐데...

유아가 아니면 대여시 돈 든다는것 때문에 안 쓰는 분이 태반일듯...

그리고 초보가 넘어져봐야 무릎 아니면 엉덩이지 하는 생각이 대부분이겠죠.

아니면 아예 그런 생각도 안 하던지... -ㅅ-;;;

저도 첫보딩할때 헬멧 쓰라고 말하는 사람이 없어 그냥 타다 뇌진탕 크리 당했죠 ㅡㅡ;

제파

2010.12.08 01:59:15
*.97.253.105

인라인 스케이팅 자전거 모두 넘어지면 맨땅인데 헬맷이 무엇보다 중요하죠...

근데 스키장은 아무래도 맨땅이 아니라 눈위라서 덜 다칠거란 인식이 많습니다.

헬맷 뿐만이 아닙니다. 스키나 보드를 처음 배우러 오는 사람들 상당수 엉덩이 무릎보호대 조차 안하고,

잘타는 사람일수록 보호대를 안하는줄 아는 사람이 많습니다.


back군

2010.12.08 02:00:39
*.140.17.88

저도 머리 한번 땅에 박고 난 후에 부랴부랴 헬멧을 사서 썼는데요.

대부분 크게 한번 당해봐야 그때서야 비로소 알게 되는 것 같아서 너무 안타깝습니다.


횰~.~

2010.12.12 16:35:35
*.231.213.19

공감 어제도 헬멧없었으면 저 뇌진탕걸릴뻔..-_-

성우주말보더

2010.12.08 07:38:55
*.87.61.251

저는 헝글 가입하기 전에는 헬맷 안쓰다가..여기 가입하고 나서 보니까 헬맷이 필수라는 생각이 들어서 바로 구입했죠.

헬맷 구입한 다음날 보드타러 가서 바로 뒷통수 랜딩 ㄷㄷㄷ

헬맷 없었으면 지금 이렇게 댓글 못달고 있었을 수도 있겠더라고요 ㄷㄷㄷ

내 닉넴 왜이래

2010.12.08 08:43:19
*.98.159.2

크게 한번 당해봐야 그때서야 비로소 알게 되는것 같아서 너무 안타깝습니다. (2)

 

저 역시 비니만 쓰고 타다가 역엣지로 뇌진탕 크리 한번 당해보니 헬멧의 중요성을 알겠더라구요~ㅠㅠ

사이드

2010.12.08 09:15:32
*.138.137.219

헬멧은 동호회보다는 각자가 알아서 구입해서 착용해야 하는거 아닐까요??

Mito

2010.12.08 11:21:46
*.193.194.13

사이드 님 글은 읽어보셨는지?

 

(각자)구입 해야 한다는 걸 보드 선배인 동호회 같은데에서 잘 안가르쳐 준단 말씀이잖아요.

Champion_P

2010.12.08 11:30:35
*.111.184.10

보드를 계속 탈 사람이라면 당연히 헬멧 사라고 하지 않나요?

렌탈해서 한두번 오고 말거나 할 사람에게 헬멧까지 사라고 하면

금전적 압박에 도망가버리는 경우가 다수 발생할것 같아서 ㅎㅎ

시즌권 끊고 장비 구입하면 저는 헬멧도 구입 권유합니다...

니르

2010.12.08 11:53:11
*.114.23.110

헬멧이야기 보통 잘 안하죠.

저도 안쓸때는 이야기안하다 요즘 쓰고난뒤부터는 꼭 이야기하고 다닙니다.

아... 그리고 헬멧쓰면 좋으점이.... 해마다 비니 안사도 된다는점 ㅋㅋ

밑재

2010.12.08 12:31:32
*.169.50.188

작년시즌 헬멧 필히쓰다가 요즘은 갱필로 바꾸고 잘안쓰는데

 

걱정돼긴하네요 으흐..

하지만

 

헬멧은 꼭 추천하긴합니다.

안부장

2010.12.08 17:40:02
*.59.102.127

몸을 감싼 보호대보다 헬멧구매를 먼저....

실크로더

2010.12.08 13:24:09
*.252.203.34

 

인라인동호회에서도 로드 나갈땐 헬멧없으면 안껴주는데요

 

결국 돈이죠...

 

 

맛있는빵

2010.12.08 13:45:19
*.94.41.89

저렴한 거 하나 구입해서.. 걍 쓰고 타는 1인..입니다.

헬멧은 정말 필수라 생각되고..

전 헬멧사고 며칠뒤 머리를 보호할 수 있었습니다.

헬멧.. 최소한 1번은 사고를 예방하게 해주는 아주 소중한 보호장구죠~

STmania

2010.12.08 15:55:02
*.111.233.211

저는 그래도 처음 보드탈때 장비 다 맞추면서.. 헬멧 꼭 필요할것같단생각에 같이 구입했었는데요.

정말이지 헬멧 없었음 예전에~ 골로 갔을겁니다..

한시즌에 꼭 한두번은 대박 역엣지 + 두세바퀴 뒷구르기후 뒷통수 랜딩 꼭 하거든요;;;;

 

가끔 한두번 렌탈해서 타러 다니시더라두.. 헬멧이나 보호대는 정말 꼭 렌탈해서라두 착용하셔야합니다;;;

그래서 전 친구들 데리고 시즌에 두세번정도 가르쳐줄 기회가 있곤 하는데..

제꺼 안쓰던거를 주던, 렌탈을 하던, 반드시 착용시키고 합니다.

 

 

OolOBBA

2010.12.08 16:39:59
*.236.62.151

하이원에 가입하면 보호대 헬멧 보험 꼭 가입하라고 권하는 클럽있습니다;;;;;;;;

제가 가입해서 자랑하는건 아니구요. 이런문화가 얼른 정착되야 하는데. 


헬멧때문에 머리를 구해본 한사람으로서 헬멧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 생각됩니다.


저도 누가 장비구입물어보면 헬멧꼭 사라고 얘기해야겠어요~^^

애너미앳더슬로프™

2010.12.08 17:43:56
*.183.45.252

올해 헬멧 개비했어요.. 8년간 사용하던 헬멧.. 정들었을줄 알았는데 지겨웠어요.. ㅎ

헬멧은 머리와 바닥이 친해져 봐야 구매하게 되더라구요.. 저도 말도안되는 빅에어 후 헬멧 구매.. ㅎ

 

필수입니다.

처비

2010.12.08 20:28:30
*.194.111.122

아무리 말해봐야 중요성을 잘 모르죠

이제 한번 많이 아파봐야 ^^;

 

그러고 쓰다가도 아픈 기억이 사라질때쯤 되면

멋을 부린다고 다시 안 쓰고

 

다시 아파보면 또 쓰고..

 

 

(경험담)

JG_981011

2010.12.10 00:38:09
*.137.215.109

사실 헬멧이라는게 강요될 사항은 아닌만큼..

크게 강조하지는 않는거 같습니다.

솔직히 보드나 스키타면서 뇌진탕으로 큰 부상을 입었다는 분 이야기를

들어본적이 없습니다.

뭐 제가 인맥이 적어서 그런이야기를 못들었을수도 있지만..

제가 얘기하고 싶은점은..

간혹 생명의 위협을 느낄수도 있겠지만.

(저도 머리로 랜딩해서 생명의 위협을 받은적은 있지만 그걸로 끝이었죠.. 결국 헬멧이 없었지만 멀쩡합니다.)

사실 큰부상이 많지는 않다는 겁니다.

스키장에서 가장 흔히 일어나는 골절사고에 비하면

극히 드물기때문에..

우선 엉덩이 보호대 허리 손목 무릎보호대 이런거부터 추천하는게 아닐까 싶네요..

 

그렇다고 헬멧은 필요 없다는건 아니지만..

자기의 안전은 스스로 챙기는 거지 동호회에서 말안해준다고 뭐라 할거까지 없는거 같아요

 

 

회원정보보기

2010.12.14 10:41:26
*.171.82.66

이분 사고계시판 한번 안보고.... 저번시즌 중국꼬맹이 하이원에서 뭔일 있었는지도 모르는듯...

 

보호대 중 제일먼저 장만해야 할것이 헬멧인데요???ㅡㅡa

 

큰 부상이 많지 않다라..... 당최 어디서 나온 결과물인지...

메칸더브이

2010.12.15 18:48:05
*.175.170.25

이젠 들어보셨겠네여.  부상보고서게시판보면 어떤 여자분 얼마전 머리다쳐 뇌사상태이다가 오늘 안타깝게도 사망하셨다 하니... 

sura

2010.12.16 15:44:53
*.12.202.173

우리가 흔히 듣지 않아서 그렇지, 사고 꽤 많습니다.

 

손목, 무릎 부러져도 안죽습니다. 엉덩이 아무리 아파도 안죽습니다.

 

머리는 뇌진탕, 데크로 찍히거나.. 한번 찧으면 ㅇ인생쫑납니다. 뭐가 더 중요할까요?

내비둬라

2010.12.24 10:28:29
*.252.200.1

 부상 부위의 특성상 돈이라는 문제가 있으니 강매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추천은 해주어야고 생각합니다.

 

팔 다리야 부러지면 수술 잘하거나 고정 시킨후 재활을 하면..

 

100%는 아니더라도 왠간하면 80%이상 기능을 끌어올릴수 있습니다.

 

하지만 뇌의 경우에는 장기의 특성상 재생이 잘 되지 않으며

 

손상시 세포가 재생이 되더라도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잠깐 재밌는 운동하러 와서 은빛 설원을 달리다가..

 

뇌진탕이 심하게 온다면 반신불수가 되는 수가 있죠...ㅡ.ㅡ;;

리틀 피플

2010.12.10 01:53:12
*.137.174.105

저는 안전이 최고다라고 저를 예로 들면서 항상 강조하지만...

헬멧이 꼭 필요하다라고 얘기해도 별로 감흥이 없는듯 합니다.

다들 그냥 어쩌다 한번 가는 관광이라 생각하네요.

빠진 친구는 헬멧도 사고 보호대도 사고....

 

교촌 치킨

2010.12.10 23:40:05
*.105.244.185

문제의 요점은 필요성을 느끼면 이미 늦을수있다
고로 예방해야한다
맞습니다
헬멧은 선택이 아닌 의무
10년전 우연히 쓴 뚜껑이 최소 두번은 절 살렸죠

병아리청소년

2010.12.12 02:25:10
*.143.86.91

전 처음부터 하이바 질러서 쓰는중요 스케이크보드타다 생명의 위협을 느껴서요 ㅋㅋ

[imp]

2010.12.12 14:26:38
*.78.13.88

자전거 동호회도 잘 못알고 있는게 있습니다만 현행법상 헬멧은 20세이상 성인에게 권장사양이지 필수나 의무사항이 아닙니다.

 

스키장에서도 헬멧은 권장 및 선택사양이지 의무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우리나라 같이 딱딱한 눈에서는 라이딩시 역엣지나 자빠링을 했을때 헬멧 착용시 꽤 유용하지만 외국에서는 그렇게 큰 데미지가 가지 않기 때문이죠(킥커 이런거말고 슬롭에서 라이딩시)

 

사실 0203~0405년도 캐나다에서 귀국하고 엉덩이 보호대라는걸 처음 입어봤습니다;;;

 

법제화 되지 않은 것을 개인의 안전을 위해 동호회나 여러 단체에서 권할 수 있지만 강제할 사항은 아니라고 봅니다.

필수로 강제해야 할거라면 슬롶위를 지나가는 리프트는 무조건 바인딩을 채운다던지 리쉬코드 의무화 등 해야할게 너무 많으니까요.

 

개인안전은 개인이 판단해야할 문제라고 생각하네요.

저도 파크나 조그만한 키커라도 뛸때는 헬멧 씁니다만~ ㅎ

 

cider

2010.12.13 20:24:09
*.115.223.46

본인께서 잘못알고 계시네요

자전거 동호회에서 헬멧 씌우는건 법규 때문이 아니에요.

대체 어느 자전거 동호회가 법규에 나와있으니 헬멧 쓰라고 합니까....

 

안전한 동호회 활동을 위해 동호회 내에서 스스로 정한 규정이고

그 규정을 지키지 못하겠으면 우리 동호회에서는 활동을 못한다

그런 제약을 주는거에요...

 

명색이 몸 건강하자고 하는 스포츠 운동  동호회면

회원들의 건강과 안전을 고려해야 하는거죠.

 

막 보딩 시작하는 초보 회원 모집만 해놓고

그런건 모르겠다 법에도 안나와 있는건데

챙기건 말건 니들이 각자 알아서 해라

본인이 안쓰다 머리 깨지면 본인 책임이지 뭐

이런 모습이야말로 상당히 무책임한 동호회라고 생각합니다.

 

-____-;;;;

 

 

레이싱매니아

2010.12.26 21:33:11
*.53.108.79

아직 법제화가 안되어 있어서 개인이 판단할 문제이지만

 

동호회등에서 계속적으로 헬멧에 대한 중요성을 일깨워줄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스키장 얼음반 눈반입니다.

 

그 얼음위로 머리부터 떨어졌다면 상당한 충격을 받을수도 있고요

 

인라인붐이였던 2000년도에 인라인 타다가 넘어져서 뇌수술을 받은적이 있습니다.

 

그 이후 우리 동호회는 헬멧 착용 의무화가 되어버렸고

 

헬멧 미착용시 참가불가능이라는 전제조건이 생겨버렸습니다.

 

그 이후 어떤 스포츠이던 보호장비는 완전 풀로 하고 즐기는게 습관이 되어버렸죠

 

동호회이던 강습이던간에 헬멧 착용을 의무화하고

 

동호회와 강습때부터 안전에 대한 의식을 심어줄 필요는 확실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노리우스

2010.12.13 12:36:53
*.205.165.127

그건 개인이 알아서 판단하고 할 문제고용

 

일단 맛을 봐야 맛을 느끼죠 ^^

 

맛보기전엔 그 맛을 전혀 모른다는거 ㅎㅎ

 

 

검은버섯

2010.12.13 15:12:50
*.204.77.182

자신의 안전은 자신이 준비하고 챙기는것이죠 누가 알려주는게 아니죠~

cider

2010.12.13 20:46:31
*.115.223.46

자신이 준비하고 챙길수 있도록 알려주는거 맞아요...

간지동진

2010.12.13 16:43:14
*.116.192.109

동호회 나름인듯해요.

헬멧을 꼭 권하는 동호회도 많습니다..

무주막보더

2010.12.13 23:37:31
*.232.208.247

전 초보때 고글보다 헬멧을 먼저 사서 착용했었는데요. 제가 겁이 많아서 손목보호대까지 했었죠 ㅋㅋ

 

어느날 눈폭탄맞고는 앞이 안보이고, 얼굴이 떨어져 나갈꺼 같은 고통을 느끼고 나서야

 

고글하고 반다나는 꼭 필요한 물건이구나 했죠. ㅋㅋㅋㅋㅋㅋㅋㅋ

 

그리고 어깨 다치고 나서 상체보호대도 샀구요. . 겪어보기 전에 알았을 좋았을 건데요 ^^

ryds

2010.12.14 20:07:19
*.253.13.254

주말 뒷통수 랜딩하고 오늘 중고로 헬멧 장만해 가는중 입니다~ㅎㅎ

아직도 누울때 뻐근해요... ㅠ,.ㅠ

제작년에 손목다치고 손목보호대 작년에 아이스에 꼬리뼈로 다이빙후 보호대 구매...

남은건 상체 보호대 네요~~~허나 아직 구매할 생각은 없네요~ㅎㅎ

보호장비 보다도 서로 배려해 주면서 안전하게 타는게 좋다는 생각 입니다~~~

아직도 ~ 뒤에서 날아드는 고수님들 ... 공포 그자체 입니다~~~ㅎㅎ

『뽁뽁이』

2010.12.15 00:45:53
*.144.32.138

헬맷이라는 보호장구는 1회용이라고 보셔야 합니다.

 

년식이 있더라도 신품으로 사시는거 추천드려요 -_-;

ryds

2010.12.15 23:12:25
*.146.242.213

네~조언 감사합니다~~지출이 많아져서~ㅜ,.ㅜ

내년 시즌을 기약해야줘~~~헝글하게 중고로만 만족하는 중 입니다~!~~ㅎㅎ

arnie master

2010.12.14 20:51:35
*.154.74.65

동호회에서 헬멧 추천 받았으나 간지 떨어진다 생각하여 가볍게 스킵...

 

슬롶에 뒤통수 박고 5분간 기절 후 올시즌 준비물 1호가 헬멧이었습니다...

 

조언이 안 먹힐 땐 경험이 최고일 수도... 하지만, 이미 늦어 버릴 수도 있으니 알아서 조심해야겠지요...

구도사

2010.12.15 10:10:06
*.50.21.20

음 솔직히 동우회에서 헬멧이나 보호대 이야기는 많이 하죠.. 하지만 슬르프 나가 보면 소위 좀 타시다는 분들.. 파크에 들어가기 전에는 헬맷 안쓰고 비니와 헤드셋으로 멋부린 분들이 많다 보니 


멋을 내기 위해 헬맷을 잘 안하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슬르프에 거의 모든 사람들이 헬맷을 쓰고 탄다면 자동으로 헬맷이 필수인가보다 생각하겠죠.. 


동우회의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강매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그저 조언정도 해주는 수준이니...


진정한 문제는 보드타는 우리 모두가 헬맷을 타고 다닌다면 당연히 모든 사람들이 헬맷을 하고 다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솔직히 간지 나지 않는다고 헬맷 거부하시는 분들 많이 봤읍니다.. )

샤샤샥_1012152

2010.12.15 11:26:01
*.196.45.6

---------------------------------------------------------무조건 하자에 한표입니다~------------------------------------------------

미똘_아키라

2010.12.16 09:25:55
*.151.30.214

전 초보고 중수고 고수고간에 옆에 누가 헬멧을 포함 보호장비 제데로 안하고 타면 오지게 머라합니다..

자기 안전은 자기가 챙겨야하는거니까요~ㅎ

bskim

2010.12.16 20:05:05
*.32.48.19

헬멧에10만원드는거랑 다쳐서 병원비 깨지는 거랑 비교가 안될텐데..;;

이뭐 뽑기도 아니고 비니쓰다 재수좋으면 사는거고 아니면  간지나게 비니쓰고 저승 가는거죠ㅡㅡ;

채소

2010.12.16 21:19:34
*.37.60.219

돈없어서 헬맷안쓰는분 ㄱ ㅓ의 없는듯.

 

다른데 투자를 너무 많이 하기에(간지쪽으로만)

 

헬맷못쓰시는거 같은데.. 필요성을 느끼고 나서 사면 늦습니다.

숫사슴

2010.12.20 19:58:34
*.98.82.24

그러고보니 인라인 / 자전거 동호회는 헬멧 안쓰면 라이딩에 잘 안 껴주는데 말이지요.

유윤호

2010.12.23 20:09:50
*.99.87.26

헬멧꼭필요함니다 저도 7년정도 보드타지만 필요성을 느껴 구매해서 쓰는데 몇일전 슬로프에서 알리치다 균형못잡아 바로 슬로프와 헤딩하구나서 골흔들리구띵하던군요  헬멧벗어보니 헬멧이 깨져있더군요 그순간 아~뇌진탕... 헬멧쓰길잘했다 아니면 바로 병원으로 직행할뻔해서  헬멧의 중요성을 새삼 다시느낌니다 아무튼 헬멧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멋때문에 헬멧안쓰시는분들도 함 느껴봐야 필요성을느낄듯하네요

아이스링크

2011.01.04 18:49:00
*.201.101.212

동호회는 같은 취미를 즐기기 위한 곳으로 강습을 하는 곳은 아니죠...

 

그런건 개인적으로 보드를 시작하면서 준비해야할 부분이고요...

 

저같은 경우는 주변에서 처음 접하거나 알려달라고 하면 보호장구는 필수로 없으면 알려주지도 않습니다...

 

우리가 할수 있는 부분은 그정도 뿐 아닌가요... 자기 멋에 안하겠다는데,,, 보호장구 하라고 하라고 말을 할수는 없자나요...

 

참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얼어죽을 간지니 뭐니 하면서 헬멧 안하는데...   웃끼다는 말밖에 할수 없습니다.

 

순간은 간지라 생각하겠지만 병원에 누어서 그런 생각을 할수 있을지 의문이고요....

 

저는 기본적인 보호장구 착용은 의무사항이라 생각합니다.

 

주말낙엽보더

2011.02.07 16:03:54
*.147.155.63

헬멧 필요할거 같다고.. 클럽장이나 동호회안의 강습좀 한다는 사람에게 물었더니..

 

그분이 그러더이다..

 

[아직 헬멧쓸 레벨은 아니잖아요??? -_-    ]

 

 

헐..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25

셔틀타고 갈때 싸가는 먹거리 - 부피나 무게를 생각해서 [13]

어이없는 버튼 보증 기간 : 이월 상품의 보증 기간 따져 봅시다 [20]

  • 라리라
  • 2012-01-31
  • 추천 수 0
  • 조회 수 3302

과연 스노우보드 수입 업체의 약관은 정당한가? [9]

  • callsign
  • 2012-01-20
  • 추천 수 0
  • 조회 수 2595

스키 보드 동호회는 왜 신입초보회원에게 헬멧을 안씌울까요? [49]

  • cider
  • 2010-12-08
  • 추천 수 0
  • 조회 수 6183

리프트 대기줄 새치기! [62]

  • 로곤뿔
  • 2010-11-01
  • 추천 수 0
  • 조회 수 6190

무릅 보호대에 대한 생각 [59]

초보자 장비를 구할 때 드는 의문 = 돈을 들여서 좋은 장비? 그냥 저렴하게 초보딱찌 때고 보자? [41]

  • Jerry
  • 2010-02-11
  • 추천 수 0
  • 조회 수 5739

스노보드샾들의 가격담합, 수입상들의 횡포 [16]

스노우보드는 얼만큼의 운동이 되는가? [32]

  • 비매너
  • 2012-01-04
  • 추천 수 0
  • 조회 수 8096

제가 바라는 카풀의 기본 [10]

숏카빙시...역엣지.. 의견점.ㅠㅠ [16]

  • 읭?
  • 2011-01-17
  • 추천 수 0
  • 조회 수 6443

스키장 안전한보딩과 위험한보딩 [7]

  • nutjob
  • 2013-12-25
  • 추천 수 0
  • 조회 수 2333

고가의 데크가 고수를 만든다?? [56]

'영어로 길을 잃다.' 이대로 좋은가? [10]

  • 새파랑
  • 2011-03-04
  • 추천 수 0
  • 조회 수 6425

데크 제조국가에 따른 성능 차이?? [29]

  • dumber
  • 2012-09-26
  • 추천 수 0
  • 조회 수 3214

전국 보드장 사기꾼 주의보!!! [30]

휘닉스 vs 휘슬러 [23]

새장비에 대한고찰(rev) [18]

  • 대밈
  • 2015-12-27
  • 추천 수 0
  • 조회 수 6432

겨울철 시즌보험 vs 일상배상책임보험에 대해서 [13]

  • 네스
  • 2014-10-09
  • 추천 수 0
  • 조회 수 6332

남/녀 시즌방 [33]

  • 냐굼
  • 2010-05-31
  • 추천 수 0
  • 조회 수 9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