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토요일날 용평을 다녀왔습니다.

 

고속도로에서 보더분들이 꽤나 보이더군요.

캐리어에 달려있는 반짝반짝 신상 보드들~~ 우훗

 

지난번에 자게에 고속도로에서 보드를 잃어버리셔서 찾는 글도 있었는데..

사실 뒤따라서 가다보니 많이 위험해 보였습니다.

 

제가 120km로 달리고 있었는데 저를 추월해 가는걸 보니~~! 130km는 족히 넘는거 같았는데

보들 싣고 그렇게 빨리 달려도 되는건지..

그러다~ 보드 떨어지면~~~ 꺄악!!!! "상상해 버렸어!~"

후훗 제가 알기론 캐리어 장착하고 보드 싣고 달리면 최고 90km이상으로 주행하지 말라고 적혀 있는거 같았는데.

다른사람의 생명과 직결되는 것이니 좀 지켜주시는게 어떨까요.

보드 싣고 운전할때는 정속주행~~ 캠페인 합시다~~ 호호호

 

 

PS

토요일 돌아오는길에 문막에서 수원 사이에서 졸리셧는지 고개운전하시던 그랜저tg 운전자분 데크 4개나 달고~!!

120km로 제옆을 스쳐 가셧을때 저는 공포를 느겼습니다 호호호 어째꺼나 무사히 잘 들어가셧는지 모르겠네여. !~!

엮인글 :

꼬부랑털_995701

2011.11.28 15:05:11
*.118.86.70

과속은 위험해요~^^


순정마초

2011.11.28 16:20:03
*.232.30.110

과속때문에 보드가 떨어지는건 아니구요....첨부터 체결을 허술하게 했기때문에 떨어지는겁니다.

 

캐리어 사용서에보면 80~90키로 속도로 주행하기를 권장하구요... 보드가 떨어질까봐 속도제한을 두는게 아니라...바람의 저항때문에 자동차의 안전에 영향을 주기때문에 그렇습니다. 또한 연비에도 막대한 손해가 되구요....보드도 망가질 우려가 있겠죠...

곰탱부리

2011.11.28 18:15:30
*.38.45.75

과속으로 달리면..케리어 떨어지는 경우 있습니다..ㅎ

 

특히....저렴한 케리어들...........심각합니다.....

 

뒤따라가다..데크가 날라온다고 생각해보세요..ㅋ

박경부

2011.11.28 21:22:58
*.6.150.76

캐리어 자석식 아주 불안합니다...권장속도 90키로로 적혀있구요

그러나 고정식(차량 장착)은 좀 다릅니다

많이 안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저도 고정식 사용.......그러나 속도는 많이 내지 않습니다

가장 안전한 방법은 차 안에 싣고 다니는것이 좋습니다

냐하하_

2011.11.28 22:30:38
*.204.210.226

과속은 뭐든 위험합니다.. 보드뿐만아니라..

죄송팍

2011.11.29 10:03:10
*.56.73.58

예전에 2006년 쯤이었던걸로 기억합니다.

야간에 친구와 제 차로 대명을 가던 중이었는데, 제 앞으로 승용차가 캐리어에 데크를 두개 달고 추월하더군요.

그 차와 제 차의 거리가 한 50m 정도? 거리가 벌어질 무렵에, 달려 있던 데크가 뒤쪽으로 떨어졌습니다.

도로위로 떨어졌고 데크가 제 쪽으로 돌진하고..... 완전 깜놀.

야간의 국도에서 피할 시간도 없어서 밟고 지나갔습니다. 다행이도 사뿐히 데크만 밟고 지나간것 같습니다.

그거 피할려고 핸들을 꺽었다가 자칫 길 옆이나 중앙 분리대를 들이 받거나, 다른 차량에 부딫힐 뻔 한 상황도 연출 될것 같았거든요.

데크를 밟고 쫌 지나니, 데크를 떨어뜨린 그 차량에서 남자분 두 분이 내려 계시네요.

 

지나가면서 욕 나오더군요. 자석식으로 된 캐리어에 보드  싣고, 과속으로 달려서

보드가 떨어지고 잘못하면 제가 죽을뻔 했겠다 싶었습니다.

 

전 캐리어가 없어서 보드는 항상 차량 안쪽에 싣고 다닙니다.

제발 자석식 캐리어는 스키장 근처 렌탈샵에서 장비 렌탈해서 스키장 갈때 쓰거나, 아니면 자석식 캐리어 달았으면 과속 하지 맙시다.

아니면 보드는 그냥 차량 내부에 싣고 다니시는게 안전합니다.

갱스터18

2011.11.29 10:39:50
*.161.175.134

전 항상 케리어를 차량에 올리고 다닙니다..(고정식)  물론 여름에는 눕혀 놓고요..

윈드가드도 장착해놓고 다닙니다... 바람의저항도 줄이고.........

요즘 스키장에서 보니까 다들 윈드가드는 없고 케리어만 있더라고요....

전 윈드가드를 추천합니다......

 

옹헤야~

2011.11.30 09:58:17
*.39.141.71

자석은 당연히 쏘면 날라가구여...절대 안그런다고 까불다 다 날려먹은거 뒤에서봤고....

 

툴레꺼도 날라갑니다.....둘다 직접목격..............불꽃튀기며 도로를 ㅡㅡ;; 데크 4장

 

캐리어달고 150넘게 달려도 날라간적은 없지만........찜찜하져.....캐리어달곤 왠만하면 안쏩니다...

 

 

aerai-ne

2011.12.01 12:22:44
*.203.225.130

저도,....캐리어에 달고 다닙니다....데크를 뒤집어서 장착하면..바람의 영향도 덜하고 소음도 덜해요~~ 근데 저도 과속은 안하는 편이라.....쏘는 차량들보면..무섭긴 하더라구요~~

공대생

2011.12.01 22:46:35
*.70.15.91

케리어달고 170~180 달려도 떨어지지는 않아요 다만 어떻게 장착을 하셧느냐에따라 달라지는것같아요 처음에체결할때 잘하셔야하구요 잘못체결하시면 떨림이생기겟죠 점점 떨림이심해지니..

정기점검도해주시구요 흔들리는지 잘체결이되어잇는지 잠금은 꼭해주시구요^^.

하지만 머니머니해도 과속은 위험해요^^

블랙뽀동보더~!

2011.12.02 00:01:38
*.241.9.118

저는 케리어는 겁이 나서 달지를 못하겠더군요.....승합차(그랜드카니발)와 경차(스파크) 운행하는데...RV야..케리어 필요없이..

뒤에다가 다 넣으면 상관없지만....경차는 장비 넣기가 빡셔서..케리어 달아볼까도 했지만...제 장비도 아깝지만...만약의 사고에 대한....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줄수도 있다는 생각에 도저히...케리어는 장착을 못하겠더군요....ㅠㅠ 가끔씩 케리어 달고 저를 앞질러 가시는 분들을 보면...순간순간 떨어지면 어쩌나하는 생각들도 합니다...차량이외의 부속품을 달았을 때는 역시..안전운행..

과속은 자제해야겠지요...

haha(^o^)V

2011.12.02 00:46:58
*.44.180.31

저도 캐리어 달고 쏘면 날라갈까봐  무서워서 .....

자전거도 타는데 자전거 캐리어 달면 신경 더 쓰입니다.

 

보험도 안 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조심히 안전운행 하는게 최고인거 같습니다.

바라바라바라바라

2011.12.02 01:53:31
*.142.253.143

케리어 달고 속도내면 시끄러워서 안쏘게되던데;;

꿈을꾼후에

2011.12.02 08:12:57
*.197.132.163

앞차가 화물차든 뭐든 짐같은게 있으면 일단 차선 변경하고 추월합니다. 짐차 뒤는 정말 위험합니다.

 

pigu's

2011.12.02 08:23:11
*.151.124.100

캐리어도 그렇지만 본질적인 문제는 과속 자체가 문제죠...

리틀 피플

2011.12.04 11:08:16
*.32.102.190

과속하면 위험하겠죠.

그로 인해서 바람의 영향도 받을테고...

장착시에 부주의해서 달리다가 뒤로 날아가는 데크도 있을테고...

夏雨

2011.12.05 15:13:13
*.222.22.69

자석식 캐리어도 끈으로 해서 트렁크 안에 넣게 되어있습니다.

덜어지더라도 날라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지요... 요것 해 놓으면 떨어지면 자기 범퍼만 깨지겠지요...

저도 캐리어로 100~120씩 밟고 다녀봤습니다만... 끈은 반드시 연결합니다...

안하면 제가 불안해서 못 밟겠더군요.. 당시는 2인승이라 캐리어 필수였으나 지금은 4인승이라 캐리어 안 쓰고 그냥 뒷 자석에 넣어버립니다. ^^

섭두

2011.12.13 18:24:56
*.159.11.53

대형 SUV를 사시면 됩니다!! .... 농담이구요 .. 몇해전에 앞차에서 실제로 장비가 떨어지는걸 목격했습니다.

다행히도 안전거리는 어느정도 있어서 피하긴했는데.. 제인생에 가장 무서운 순간으로 기억합니다.

케리어를 써보지 않아서 고속에서 떨어지는건지 체결 문제인지는 모르나 꼭 두세번 확인 부탁드립니다.

 

man99u

2011.12.15 15:25:34
*.219.148.122

 제 모닝은 그렇게 보드달고 과속했다가는 이륙해버릴지도 모릅니다 ㅋㅋ

닥터드렁큰

2011.12.16 12:51:42
*.93.1.149

길죽한걸  지붕에 달아놓으니 데크가 스포일러인줄 알았나봐요;;

캐리어쓰시는 분들 좀더 안전의식좀 챙기자구요

마이키_889068

2011.12.23 16:41:44
*.133.207.6

실제로 제작년에  동호회 회원분들 중에 고속도로에서  차앞으로 떨어졌다는 경우을 봤습니다

다행히 거리가 있어서 사고는 안났는데  ㅋ

항상 출발할때는 확인을 꼭 하셔야 될듯.....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47

게임방 아이피차단에대해서 [1]

종종 이런일들 어떻게 해결을 하나요...? (탑시트관련) [9]

  • 몸쑤셔
  • 2008-01-17
  • 추천 수 108
  • 조회 수 3713

트릭용 데크란 없다... [50]

  • volcomsnow
  • 2006-09-15
  • 추천 수 107
  • 조회 수 7710

보딩중 사고에 관하여.. [17]

하이원 시즌권자/스노보드를 좋아 하는 사람들은 토론좀 합시다.. [11]

기름값도 천정부지로 오르는데, 하이원 무료버스 비성수기 운행확대 요구운동은 어떨까요? [4]

  • tunastew
  • 2007-10-27
  • 추천 수 103
  • 조회 수 3026

헝글장터 운영 정책에 대하여. [12]

국내 프로들과 해외 프로들의 실력차 [20]

  • Gatsby
  • 2009-01-15
  • 추천 수 101
  • 조회 수 7922

지산 파크관리자가없다? [4]

  • 2007-11-20
  • 추천 수 100
  • 조회 수 3639

우리와 동떨어진 프로 보더들/문화 [24]

강남보드샵 > 실내스키장 부천/부산 이동될까요? [22]

허걱! 버튼 보드 마저 중국산 [10]

파크/하프의 진입 조건에 헬멧착용을 의무시 해야하지 않을까요? [12]

  • 백군
  • 2007-02-26
  • 추천 수 98
  • 조회 수 4297

무주가 좋은 이유 101가지... [19]

  • 黑雪™
  • 2007-11-15
  • 추천 수 97
  • 조회 수 7453

스텐스 조절시에 양쪽 바인딩캠버 높이도 고려해야 하는가 ??. [19]

  • **션**
  • 2007-03-05
  • 추천 수 97
  • 조회 수 5590

비로그인 리플들... [20]

탁상공론 해봅시다ㅡ_ㅡ/~ 올해 보드장 어디가 최악일까요? [39]

  • JohnBird
  • 2007-10-06
  • 추천 수 93
  • 조회 수 7150

스포휑 팍허...과연 잘한일인가요? [24]

전 헝글게시판에 관하여.. [3]

아동에게 스노보드는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16]

  • backy
  • 2007-03-22
  • 추천 수 90
  • 조회 수 5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