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안녕하세요.

스노우 보드를 좋아하고 즐기는 사람입니다.


사는곳은 캐나다 이고 이민 20년차 된 라이더 입니다.

어렸을때  약 15년전까지만 해도 캐나다 현지샾 로컬샾 데몬도 했었고 1년중에 200일 이상 스키장에서 살다시피 라이딩을 했었습니다.

20대 초중반까지는 정말 열씸희 탓었습니다. 지금은 40이란 나이에 1년에 5회정도 라이딩하는 정도의 취미로 라이딩을 합니다.


정말한창 20대 후반까지도 당연희 프리스타일이 트렌드 였기에 그가닥에 아직도 중급정도의 램프에서 540 정도는 80% 랜딩하고

심한 레일이 아닌정도는 270 in out 은 할정도 입니다.


이야기 드렸던거 처럼  예전 제가 한창 라이딩을 했을때 10-15년 전까지만 해도 트렌드가 프리스타일 쪽이였으므로


지금 트렌드인 라이딩 쪽으로는 너무 문외한 이라 라이딩쪽 말그대로 하이브리드가 됬던 알파인이 됬던 장비쪽에 궁금증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알파인 또는 라이딩용 장비는 쉽게 접근 할수 있은 쪽이 F2 나 도넥 쪽 장비입니다.

PRO DEAL 이라고 해서  캐나다 인스터럭쳐 자격증(CASI)을 10년전에 LV 3랑 프리스타일 코칭, 이벨류에이터 자격증을 따서

알파인 또는 라이딩용 장비를 조금은 싸게 시즌전에 살수가 있습니다.


질문이 신체 스펙이 178 CM 키에 86 KG 정도의 몸무게  프리스타일은 스탠스는 56cm 정도 됩니다. 21도 -3 정도로 타고 있고요.

현재 프리스타일 장비는 15-16 캐피타 DOA 154, 15-16 유니온 포스에 16-17 버튼 포톤 BOA 를 사용합니다

어떤한  캐나다 스키장의 에서도 더블 블랙, 파우더, 모글등 어떠한 터레인 에서도 편안하게 같은 속도로 안정감 있게 내려올 정도의

라이딩은 합니다. 어디에서 재미를 찾느냐가 중요 하겠지만 알파인쪽 라이딩은 그룸이 잘되어 있는 슬로프에 한정되어 있지만

그쪽으로도 재미를 찾기 위해서 질문드립니다.


제 신체 스펙상 과 라이딩 성향상. 만약 라이딩 위주의 장비를 추천 하신다면.


어떤 장비가 좋을까 해서 여쭤봅니다. 당연희 집접 타보고 접해봐야만 알수있겠지만  너무 라이딩쪽 장비들은 문외한이라서.

부츠(하드부츠를 사용해야되는지) 바인딩 알파인용을 사용 해야 되는지또 데크는 어느정도의 길이로 어떤 제품이 맞을지


조금이라도 정보 공유를 부탁 드립니다. 거기서 집접 제가 접해보고 고르려고 합니다.


사실 캐나다는 특희 서부쪽 캐나다는 그룸이 되어 있는 슬로프가 많지 않아서 이제까지는 정말 라이딩쪽 정설 되어 있는 슬로프에 적합한 알파인또는 하이브리드쪽 은 생각을 해보지 않아서 많이 대중화가 되어 있지 않아서 신경을 않쓰다가


프리스타일 스키쪽으로 전향 해볼까도 했지만 보드가 조아서 프리스타일쪽으로만 고집하기에는 나이때문에 한계를 느껴서

라이딩쪽으로의 재미를 느끼기 위헤서 이렇게 고수님들께 질문을 드립니다.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 합니다


엮인글 :

*욱이*~~v*

2017.03.15 08:26:43
*.223.10.72

어설프게 말햇다간 카시 레벨 3분인대 헐퀴
오디서 부터 설명을드려야 할지가 관건

일단 최근 유행트렌드가 한국에서는 유독 라이딩에
포커스가 맞처진건
좁은슬로프 작은 스키장 그리고 주말 편중된
내방객등 가장 중요한 강설 에 특화된 놀이를
찾던중 최근 3-4년전부터 프리스타일과 알파인의
중간 종목 쉽게 유럽형 보드크로스와 일본형 테크니컬
라이딩이 유행한게 사실입니다.

이런유행 추세로 메이저 브랜드마다 햄머해드
이하 망치 생긴게 망치모양 노즈와 테일의 쉐입을
깍아버린 모양의 대크가 유행하게 됩니다.

가장 먼저랄거는 없지만 유럽의 F2 나 라방쉘 SG
본래 보드크로스라는 종목의 대크가 출시되고 있엇고
미국에 도낵 최근 캐나다브랜드 프라이어가 유행
트렌드에 맞추어 출시되고 있고
테크니컬라이딩에 짧은 슬라이딩턴과 말아탄다고하는
그레이 데스페라도,모스 등이 이대열에 합류되었습니다.

나이라는게 40대라시면 저하고 비슷해요
문제는 우리는 프리스타일로 짧게는 최소 십여년
길게는 20년가까이를 옆으로 타는걸 몸에 익숙하지요
그걸 하루이틀만에 전향 스타일 (알파인자세)
로 바꾼다는게 쉬운일많은 아닙니다.

지금 날라다니고 테라 하시는분들은 젋은친구들은
아예 시작부터가 저렇게 시작을 하니
프리에 대한 로망은 그닥 적을뿐입니다.

그렇다고 프리를 버리진 않지요 두가지 다 탈줄알면
얼마나 좋아요 단지 라이딩에 특화된 자세라니
배워서 나쁠건 없지요

나이요? 저도 이제 시작한지 2년차입니다.망치대크
내년에 3년됫내요 보드 탄지는 18년째입니다.
늦엇다기 보다 몸에 밴걸 바꾸는게 더 어려워요

F2한노

2017.03.15 08:33:48
*.62.188.174

기본기가 튼실하신 분이니

뭐든 잘타실 것 같네요


F2나 도넥이 접근성이 수월하시니

F2하노프로나 도넥사버메탈에 사이즈 163

추천드리고 갑니다

*욱이*~~v*

2017.03.15 08:39:52
*.223.10.72

캐나다에 거주하신다면 베이스 카본 함유량이 높은 브랜드로 잡으세요 브랜드 보다 베이스 소재가 중요합니다. 가장베이스 카본함유량이 높은건 옥세스 F2 SG 뵐클 프라이어 입니다.

왕초보가족보더

2017.03.15 08:45:27
*.247.188.102

ㅎㄷㄷ 고수님의 질문에 그저 낙엽러는 귀동냥하러 왔습니다^^

양파군

2017.03.15 09:02:07
*.134.234.254

알파인이라면 여기보단, 네이버 아스카론같은 카페에 문의하시는게 더 빠릅니다~

Dave..

2017.03.15 09:09:58
*.146.233.233

프라이어도 접근하기 쉽겠네요.

근데 바인딩이랑 부츠도 알파인용으로 하드부츠랑 알파인 바인딩으로 맞춰야 하나요

그러니깐 아예 알파인쪽으로 장비를 맞춰야한다는 말씀이지요?

간혹 보니깐 소프트 부츠에 프리용 부츠를 전향 각으로 해서 데크만 라이딩용 데크로 맞추시는 경우가 있는거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

그리도 답변 다들 감사 드립니다

*욱이*~~v*

2017.03.15 09:15:24
*.127.94.162

알파인과 보드크로스는 태생적으로 다릅니다.

지금 알파인은 알파인 바인딩과 부츠를 써야 하지만

보드크로스 (해머해드는) 일반 소프트 부츠에 일반 프리바인딩을 장착합니다.

하지만 강한 라이딩을 요하기에 플랙스가 쎈 부츠와 강한 바인딩이 유리합니다.

지금 가지고 계신 바인딩과 부츠를 쓸수는 있지만 사용하시다보면 왜 플랙스가 쎈 부츠와 강한 라이딩위주의

바인딩을 쓰시게 되는지는 경험해 보시면 알수 있습니다.

다만 헝그리보더에 올해 라이딩부츠 라이딩 바인딩의 질답란을 3~4페이지만 보셔도 충분히 답을 얻으실수있습니다.

TEAMEDGE-NO.29

2017.03.15 10:01:21
*.122.29.235

조심스레 댓글 달아봅니다...
저또한 옆으로 타다가 앞으로 타는 자세로 바꾸기까지 매일매일 3ㅡ4시간씩 연습해서 꼬박 두시즌 정도 걸렸네요...
또 제경우에는 매일매일 붙어서 무전기로 실시간 레슨해주시는 형님들의 도움으로 짧은시간에 급성장할수 있었던 케이스같구요...

만약 주변에 그런분이 없으시다면 기간은 더 오래 걸릴꺼 같아요...
그리고 처음에는 부정확한 동작과 익숙하지 않은 방법으로 발목과 무릎을 비롯하여 부상을 입으실수도 있구요...
저도 작년에는 다타고 집에갈때 걷지도 못할정도로 엄청난 통증을 매일매일 겪었습니다...
장비쪽으로는 잘알지 못하여 도움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ㅠㅠ

Dave..

2017.03.15 10:17:01
*.114.45.252

이제 이해가 되네요 욱이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가장쉽게 접근할수있는 데크는 프라이어bx네요. 어마무시한 가격이지만 프로딜을 통해서 50%할인은 1718시즌 초에 가능 하다는점을따져도 비싸네요.

Casi lv4시험을 10년전에 준비했던 차라 뭐 알파인도 예전에 계속 타왔기때문에 라이딩은 감을 금방 잡겠지만.

알파인이랑 또다르게 보드크로스는 소프트 부츠에 일반 바인딩을 전향으로 쓴다는 점인데 거기에 감이 또 없네요 제 신체 스펙에서 알파인 테크.기준으로 데크싸이즈를 정해야 하는지 바인딩이랑 부츠는 어떤제품을 써야 하는지

바인딩 각도는.어떻게.정해야하는지 조언 주실수있으신분 부탁드립니다.

*욱이*~~v*

2017.03.15 10:55:47
*.127.94.162

이거에 대한 정답은 없습니다. 장비에대해 말씀드리자면 알파인도 경험하셧다하니

BX 프라이어모댈또한 금방 적응하실수 있겟지만 직진성이 강하기로 소문나있는놈입니다.

가령 장비사용기에도 bx 에 관해선 정보 얻으실수 잇을거구요


다만 전향이라는 특성상 알파인에 무시무시한 40도이상되는 각도 경험하셧을터

전방 36 이상 뒷발 24 이상 부터 시작하셔도 무난할듯합니다.


반대로 아예 45 부터 거꾸로 내려가는분도 계십니다.

이건 정답이 없어요 다만 하나하나 각을 돌리고 조이고 하시다보면 내발에 맞는 각을 찾기까지

한시즌도 (한국주말보더기준) 모자랍니다.


부츠 바인딩에대해선 호불호가 갈리지만

한국에서 트랜드는

부츠는 플랙스 7이상 의 부츠 (플로우 탈론,K2 T1 인사노 , 디럭스 비셔스 , 살로몬 말라  등이 유행이구요)

아시죠 아무리 제품 설명드려도 내발에 안맞으면 꽝인거

바인딩은 역시 유행이지만 (플럭스 XV,Xf  라이드 엘헤페,카포 , 버튼 제니시스 급  ) 각브랜드의 최상급 바인딩을 장착하면

무리없다고들 합니다.


장비에대해선 언급을 이것저것해드리는건 이글 보시는 헝글분들도 많지만 자기장비 써본거 위주로

댓글 답변이 올라오니 호불호가 갈립니다. 수많은 브랜드를 다써보는게 실제 유저가 얼마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서 부츠 바인딩 최상급으로 저스팩에 올리면 최소 80~100 만원 급인대 금수저 아닌이상

다써보기라는게 실제 어렵죠 그래서 추천이며 답변이며 올라오는거죠


좋은놈 만나시길 프라이어 BX 갠적으로 이넘 참 대단하다고 느끼는놈입니다. F2 프로토한노와 더불어

거칠고 달래줘야하고 F2에는 일본 사무라이검의 날카로움이 있다면 프라이어엔 중국장검의 포스가 있는놈입니다.


Dave..

2017.03.15 11:18:20
*.114.45.252

일단 바인딩 부츠는 하드한 프리스타일 모델로 장착하면 될것 같고 부츠는 사람 발체형이 다 다르기때문에 자기.발체형에 맞는.브랜드에 모델을 맞추면 될것 같고 사실 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 하는 장비는 사람 몸에 직접 닫는 부분부터 신경써야 된다고 배우고 접했기 때문에 부츠가.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데크는 소모품이라 생각 합니다.

플렉스가 가장 하드한 프리 부츠랑 바인딩을 착용하면 된다는 말씀이신거죠 욱이님 .

비용면이야 프로딜을 이용하거나 또는 로컬샾네 부탁하면 리테일 가격에서 50-60 프로는 할인을.받을수있으니 접근성은 가능할거 같습니다.

여러모로 도와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욱이*~~v*

2017.03.15 11:22:19
*.127.94.162

제대로 이해하셧내요 빙고 프로딜 부럽습니다. ㅎㅎ

역시 고수의 포스는 몸에 닫는부분부터 가 정답이 맞지요

아무리 대크가 천차만별 고가라고 해도 내몸에 닫는부분이 최고여야 하는게 맞습니다.

준비 잘하세요

Dave..

2017.03.15 11:27:18
*.114.45.252

하나더 궁금한점은 데크 사이즈 역시 제 신체 스팩상 어느정도 로 맞춰야 할지 궁금합니다.

저도 신체 스펙상 정말 라이딩목적으로 파우더나 또는 캣 헬리스키 갈때는 롬 앤썸 161을 탑니다. 바인딩 후경으로 밀어서. 올라운드 프리스타일 파크 깔짝은 154 캐피타 Doa

그리고 알파인은 170을 탔었고요. 물론 데크 사이즈는 무의미하고 모델별 이펙 엑쥐 사이즈가 중요한거지만

보드 크로스 덱 사이즈는 어디로 기준을 잡아야 할지 궁금합니다

*욱이*~~v*

2017.03.15 11:32:04
*.127.94.162

제가 체중 84 키 174 에  F2 프로토 163 탑니다.프라이어 bx pro (bx 와 bxpro 는 스팩이 좀다릅니다)  도 그정도에 맞추어서 탓습니다. 참고만하세요

Dave..

2017.03.15 11:38:35
*.114.45.252

욱이님 다시 한번 감사 드립니다 열정이있으시니 거기에 대한 정보도 많으신거 같으시네요 저는 165 이상 정도로 알압하야겠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3797
245564 KGB택배창원대리점 미치겠네요 [8] [불타는 고... 2012-10-12 1547
245563 보드왁스대신 자동차왁스 사용해보신분계신가요?? [18] 음.. 2012-09-26 1547
245562 유니온 컨택 색깔 좀 봐주세요 ~~!! file [7] GetSome! 2011-04-17 1547
245561 에블 고글은 어떤지요? [23] 붕붕붕_906669 2010-11-01 1547
245560 낮은자세 힐턴시... 조언 부탁드립니다 file [7] 덕소개썰매 2020-12-16 1546
245559 전향 라이딩 상체골반 여는 각도에 대한 궁금증 [12] 빙보링 2018-02-08 1546
245558 트릭용 데크질문합니다. 라이드28 RT7 VS 노벰버D4 [3] 슈퍼맨아파요 2017-04-13 1546
245557 버튼 커스텀x vs 오가사카fc [13] 내사랑에덴 2017-01-24 1546
245556 하이백로테이션과 센터링 질문 file [3] 과천사람 2016-10-16 1546
245555 인사노부츠 왜 이렇게 싸죠? [12] 대구상남자 2016-09-16 1546
245554 롬 앤썸 vs 롬 에이전트 [7] 크레이지보더1 2016-07-19 1546
245553 카빙시 속도제어.. [13] 서울헝헝보 2016-01-28 1546
245552 일본식 카빙 전경축에대해서.. [9] 텔레토비_10... 2015-01-28 1546
245551 데페에 팀투 270사이즈 붓아웃 생기나요? [8] 낙엽으로세... 2015-01-21 1546
245550 데페 163 vs 요넥스 트러스트 161 [11] JussiOksanen 2014-12-28 1546
245549 롱 카빙턴시 시선처리 질문좀요.. [13] 파주7년째낙엽 2014-12-24 1546
245548 스탠스 보는법 궁금합니다 [4] 츠란 2014-12-09 1546
245547 14/15 엘헤페 마감처리 다른분들도 그런가요?? [11] 피브리조 2014-10-23 1546
245546 나이트로 판테라 SC 160 ? [9] 스피드2 2014-09-21 1546
245545 버튼 MB ARCTIC JK SIG FIT 자켓 XWI11F037OR 사이즈 교환하실분?~ ^^ file [9] x2유부 2014-01-17 1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