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유서깊은 헝보에서 선배님들의 댓글들을 보면 많은 경험과 연륜이 느껴집니다. '보드 말고도 배워야 할 것들이 많구나.' 라고 느끼곤 합니다.

최근에는 헝보에 '해머데크 입문'하시는 분들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이는 미천한 실력의 저에게 '해머데크는 종착역'인가? 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제 머리에 있는 생각들을 그냥저냥 끄적여봤습니다.

 

1. 순리

'보드 하면 무조건 해머야.'

눈이 덮혀있는 경사를 중력과 마찰력, 원심력을 이용해 내려오는 스포츠에서 해머덱이 최상의 조건을 갖추었다면(순리라면)

오히려 역사가 훨씬 긴 외국스키장은 이미 해머가 주류를 이루고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해외 스키장이 그렇지 않다는 것은 '순리'라는 생각을 반증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자연선택이란 특수한 환경 하에서 생존에 적합한 형질을 지닌 개체군이, 그 환경 하에서 생존에 부적합한 형질을 지닌 개체군에 비해 '생존'과 '번식'에서 이익을 본다는 이론이다. " - 위키백과 '자연선택설'

 

 

2. '그럴 수 밖에 없는' 기후

대한민국의 겨울 날씨와 설질이 '그럴 수 밖에 없는' 환경이기에 해머데크가 더 유리하다 판단되기에

선택 비율이 높을 수 있을 것 같아요.

 

 

3. '남들이 하니까'

박웅현은 [여덟단어]라는 책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미국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너와 나는 생각하는 바가 다르다'는 전제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객관적인 정보를 준다.

   반면, 우리는 '너와 내가 생각하는 바가 비슷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미국이 인종 전시장이라는 말을 생각해보면,

   우리가 세계에서 흔치 않은 단일민족국가라는 점을 고려할 때 공감이 가는 설명이다."

남들과 '다르면' 소외된다고 느끼는 단일민족이기에 '유행'에 여과없이 쉽게 스며드는 게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남들이 하는데 나는 안 하면 '변종'이 되니까.

 

 

해머의 장점을 서치해서 많이 알게 되었고 저 또한 바꾸고싶은 유혹이 들긴 합니다만

예전에

'남들이 Yes하면 난 No!' 광고처럼(동원증권)

남들이 하니까 더 하기 싫은 마음도 드네요.

 

식후에 끄적거려 보았습니다.

엮인글 :

Ellumi

2020.10.08 13:32:54
*.91.7.130

라운드데크 -> 세미해머 -> 해머 -> 알파인 -> 라운드데크

전 처음으로 다시 돌아왔어요ㅎㅎㅎ

데크 끝판왕이라는 옥세스도 타보고 케슬러도 타보고 했지만 결론은 몸뚱이가 문제이며

이제는 자주 타지도 못하니까 편하게 즐기자는 마음으로요.

결국 종착역은 관광보더...ㅋㅋㅋㅋ

사고뭉치아드

2020.10.08 13:33:52
*.90.158.125

전 중간에 빠진게 있지만,

 

라운드데크 -> 해머 -> 라운드데크 ㅋㅋㅋㅋㅋ

 

역시나 편하게 즐기면서 타는게 최고인거 같습니다 

사고뭉치아드

2020.10.08 13:32:56
*.90.158.125

둘다 장단점이 있다고 봅니다 

결론은 자기가 타고 싶고 해보고 싶은 스타일대로 타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해머 타보고자 한시즌 못되게 타봤지만 저랑 안맞는거 같아서 다시 프리스타일로 돌아왔습니다

사람마다 느끼는 재미가 달라서 꼭 종착역이라고 할수없을꺼 같네요^^

그냥 끄적여 봤습니다 ~ 

 

간간히 스타일 바꿔서 타보면 색다른 경험, 스킬증가가 될수도 있다고봐요 ㅎㅎ

아배불러

2020.10.08 13:33:56
*.38.17.76

그냥 해보면 재밌어여 헤헷

광란

2020.10.08 13:35:55
*.32.182.181

저는 해머가 유행해서 지금상황이 된게 아니라 유행및 환경이 해머가 최적화라 많이들 타시는거 같습니다.
테크니컬 라이딩 등의 라이딩 스타일을 추구하는 사람도 많아지고 스키장 자체의 환경도 잘 정설되고 압설된 눈이라 아무래도 해머가 성능적으로 가장 선호되지 않나 생각합니다.

예술낙엽

2020.10.08 13:36:06
*.36.168.102

항상 데크 두개 들고 다니면서 내키는대로 해머와 라운드 병행하고 있어요. 단.. 안그래도 오징어인데 이거저거 타다보니 맨날 실력은 제자리... 그치만 내가 재밌으면 된거죠. 그냥 취미일뿐인데 너무 크게 의미부여 하는것도 좀 아니지 싶어서요.

잇츠낫마이베스트

2020.10.08 13:43:55
*.126.244.232

2번 강설이라는 게 이유가 되기에는 또 스키쪽에서 젊은 층에게 뉴스쿨이 유행하는 걸 보면  들어맞지 않는 것 같기도 합니다.

 

강설에서 라이딩하기에는 일반스키가 뉴스쿨 스키보다 더 좋은 걸로 알고 있거든요.

 

 

스키에서는 새로운 판매시장 제품으로 뉴스쿨을 밀고 있다면,  보드에서는 거기 해당되는게 해머데크라는 느낌?

 

차이점이 있다면 뉴스쿨은 전세계인 유행이 한국에도 영향을 주는 형태인데,  해머데크는 초창기 의도적으로 붐을 조성한 것 같은 생각입니다. 

파리루베

2020.10.08 13:53:34
*.7.25.240

슬로프환경, 라이딩스타일의 유행, 추세에 따라 데크선택도 달라지는 것 같아요~!
요즘은 파크도 많이 없고 해서 상대적으로 해머로 카빙을 깊가 박는 라이딩 스타일이 많아 보이는 것 같아요. 여전히 라운드데크로 파크, 슬라이딩턴, 그트 등 위주로 타는 사람도 많더라구요!

저는 라운드데크 타지만, 카빙 위주 라이딩 하기엔 해머만큼 잘 잡아주며 재밌는 것도 없더라구요!
가끔 빌려타거나 시승행사때 타보면 해머 하나쯤 가지고싶어집니다

soulpapa

2020.10.08 14:05:50
*.39.246.251

카빙을 즐겨타지 않는 편입니다. 하지만 울나라는 카빙이 대세이지요... 말은 강설이라 그렇다고 하지만, 이유는 더 멋져보여서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같은 이치라고 생각합니다, 궁극의 목적이 카빙이니, 잘 달릴 수 있는 말이 필요한거죠... 그게 유행이 되고, 많은 이들이 바라보는 이상향이 된것 같습니다.

요즘은 사람이 많이 줄어들어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겠지만, 예전에 카빙에 한창 재미를 느끼고 있을 때 충돌로 인하여 프런트 플립을 경험한 후로는 트라우마라고 해야할까요? 어지간해서는 카빙보다는 슬턴, 롱턴보다는 숏턴을 타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그렇게 긴 라인을 사용해야 하는 카빙이 사람도 많고 초,중,상급에 혼재되어 있는 우리나라 슬로프에 어울리는게 맞는가 싶을 때가 많습니다.

자라도8꼴통

2020.10.08 14:07:50
*.235.8.125

나이 먹고 시간이 지나면 다시 기본으로
라운드 땅콩으로 돌아가거나 그냥 보드를 관두거나
둘중하나라 봅니다
힘들어요 ㅜㅠ 아이고 골반이야

야생원숭이

2020.10.08 14:11:00
*.7.58.189

식후엔 땡이죠

거북선

2020.10.08 14:15:20
*.207.210.15

라운드로 요즘 흔히 타시는 테크니컬라이딩(?) 다 됩니다.. 물론 헤머덱이 더 주는 장점은 포기해야겠지만요..

역시 종착역은 관광보더 입니다. ㅋㅋ

 

MysticDream

2020.10.08 14:23:16
*.109.235.44

추천
1
비추천
0
종착역은 아빠 엄마가 되서 설거지 짬ㅂㅓ리기 집청소 등등으로 마일리지 쌓다가 살살 구슬려 애기눈썰매 태워주고 온다고 약팔고 하루종일 썰매 끌다가 짬 나면 한두번 타러 가는그거 아닌가요?

darling

2020.10.08 16:14:23
*.236.31.50

추천하고 갑니다! ㅎㅎ

MysticDream

2020.10.08 17:02:24
*.7.230.141

혹시 그러고 계신건가요?!썰매셔틀?!!!

이건내껀디

2020.10.09 06:46:45
*.70.140.47

ㅠㅠ

MysticDream

2020.10.09 09:21:33
*.7.230.141

이쪽도 썰매셔틀이시군욬ㅋㅋ

겉멋

2020.10.08 14:23:30
*.239.254.10

근데 대부분 해머가 유행해서 해머타는게 아니라 라이딩을 만족하려고 해머타는사람이 많아서 유행이 된거라고 생각합니다.

요즘 사람들은 누가 뭐해라 뭐가 좋다해도 본인이 싫으면 절대 안해요 ㅋㅋㅋ

(주변에 트릭하는 사람들 라이딩하라고 재밌다고 해머 추천한다고해도 관심도 없을껄요 ㅋㅋ)

clous

2020.10.08 14:24:52
*.210.255.32

추천
1
비추천
0

수아지

2020.10.09 06:19:40
*.55.117.85

ㅋㅋㅋ 예림이 보고 싶네요.

clous

2020.10.09 09:16:41
*.228.86.212

ㅋㅋㅋㅋㅋ

그나저나 시즌 준비는 하셨어요?

저희는 시즌권도 안 샀어요. ㅠㅠ

수아지

2020.10.09 22:02:30
*.55.117.85

지난 시즌 코로나때문에 아쉽게 끝나서~ 시즌권 4군데 삿는데;; 이번 시즌도 일도 바쁘고 ....코로나도 그렇고...망한거 같은 느낌이네요.(풀상주 계획이였는데~~ 하이원이 저를 버림....)

용인_병아리라이더

2020.10.08 14:30:56
*.185.195.36

조금 다를 수도 있는데
저도 스키를 초급자용=> 월드컵 => 중상급자용으로 바꿨습니다.
아무래도 월드컵은 제 성능을 제대로 쓰기도 어렵고 체력도 후달려서..
해머덱과는 좀 다른 케이스지만, 참고로 그냥 올려봅니다.

버트심슨

2020.10.08 14:45:15
*.46.128.68

ㅋㅋ잡설이지만 우리나라는 단일민족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ㅎㅎㅎㅎ

 

그 수많은 외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일민족이라고 주장하는 건 정말 아이러니라고 생각해요 ㅎㅎㅎ

firehead(화두)

2020.10.08 14:56:49
*.38.48.26

157 헤머해드 데크가 잘타지시면 라운드163 데크도 비슷한 느낌이실껍니다 ㅎ 헤머해드란 라운드데크 동그란 부분 잘라내어서 짧게 만들었을 뿐이니까요. (노즈테일 락커시스템은 요즘 라운드덱도 다 되어있으니 논외로;;ㅎㅎ;;)

소리조각

2020.10.08 15:05:57
*.251.252.74

대체로 올림픽이나 큰 규모의 국제대회가 있는 정식 스포츠 종목의 경우에는 목표가 명확한 경우가 많습니다.

스코어 종목일수도 있고, 레이싱 종목일수도 있고, 뭐 하여간 대체로 스포츠의 영역은 목표가 명확하죠.

다만 스노보드는 그냥 스포츠의 영역에 있다고 보기엔 상당히 복합적인 문화라서 목표를 두고 하는 정목과 결이 좀 다릅니다.

스노보드라는 이름으로 개최되는 올림픽종목만 봐도 SL, GS, 보드크로스, 하프파이프, 빅에어 등의 종목이 있고, 

그외에도 그라운드 트릭, 파크지빙, 스트릿지빙 등의 세분화된 장르가 있고, 대회도 따로 합니다.

어느 한 종목에서 종착역을 따지자면 따질 수 있겠지만, 스노보드라는 큰 카테고리에서 종착역은 말하기 어려운듯 하네요.

 

그리고 스노보드를 스포츠의 관점에서 보자면 해머덱만큼 애매한 데크도 없습니다.

그래도 간지나고 재미있으니까 잘팔리고 잘나가죠.

 

그런면에서 스노보드의 종착역은 간지와 재미일까요...

앙피

2020.10.08 15:40:51
*.111.1.152

예림이 해머에 한표 ㅋ

theP

2020.10.08 15:52:40
*.103.45.92

종목도 있긴 하죠

크로스..ㅎㅎ 

리조트 에서만 보딩을 하는 한국 실정에서는 필연적이다.. 라는 말엔 동의 할순 없구요..

또 파크가 줄었기 때문에 해머다 이건..파크 있을때도..안타시던분들이..올시즌 파크가 열리지도 않는 곳도 있어서 눈물만..

전 3번이 아닐까..그냥 생각합니다.

도마김선생

2020.10.08 15:53:08
*.178.49.176

헤머타구 카빙 하는게 멎지긴한데...데크 가격이 다들 좋다구하면 올리는게 꼴배기시러 안사구 버팅기는중입니다..(언젠가는 사겟지만..ㅠ)

아추추추워

2020.10.08 16:45:21
*.126.249.108

아무거나 잘타서 상관없는듯.

guycool

2020.10.08 16:48:18
*.30.118.207

요즘 보기 드문 광경이 되어버렸지만...

 아이들이 놀이터에서 자기 동네 미끄럼틀이 진짜라 서로 다툰다면요?

     그냥 자기 편하고 재미있는 것 타고 즐거우면 되는데요..

GATSBY

2020.10.08 16:48:20
*.149.242.189

햄머헤드의 본디 목적은 카빙이 아닌 보더크로스용 레이싱 입니다. 1990년도 말에 유럽에서 개발이 되었죠.

그리고, 현재는 유럽형 햄머 = 레이싱.

일본형 햄머 =카빙

으로 구분되는데, 플렉스 구조나 쉐이프나 설계자인 제가 봐도 그러 추세로 가는 듯 합니다.

 

카빙은 스노보드의 근본적으로 필요한 스킬이고, 더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사람이 고수는 맞지만....

카빙만 끝판왕급으로 잘한다고 스노보드의 마스터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반면, 프리스타일 스노보드를 끝판왕 급으로 날라다니며 탄다고 해도 스노보드의 마스터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진짜 스노보더는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개척해가며, 새로운 스킬을 연마하는 스노보드 입니다.

그것이 어떤 형태이던지요. 그리고 그것에서 스노보드의 궁극적인 목적인 다양한 즐거움을 깨우치게 됩니다.

 

하지만, 라떼는 이렇게 탔는데, 지금 보니 스노보드는 (단편적인) 이거다~!. 라고 단언 하는 사람들을

저는 고인물 이라고 부릅니다.

 

 

 

 

 

 

나링

2020.10.08 21:45:51
*.39.211.52

역시 배우신분..ㄷ

Firststep~!!!

2020.10.08 17:30:31
*.149.12.232

해머덱의 유행은 스노우보드 인구가 고령화 되어서 라고 생각합니다. 

부상 위험이 있어(?)보이는 파크와 트릭쪽 인구가 상대적으로 줄은 것도 맞다고 보구요.

 

개인적으로 프리덱 해머덱 둘 다 타는데 

폭설 올 때, 해머덱으로 카빙하면 드릅게 재미 없고

강설에 설질 좋을 때, 프리덱 타면 카빙이 아쉽습니다. 

그래서 상황 맞게 번갈아 가며 즐기고 있네요. 

붉은표범

2020.10.09 08:19:42
*.254.228.202

저도 아무래도 파크 트릭은 진입장벽이 카빙보단 훨씬 높다고 생각이 들거든요 ㅎ 

정말 기후가 아무래도 국내설질이 카빙에 적합한 눈이기도 하고 스키장이 해외 마운틴처럼 급절벽 파우더가 있는것도 아니니까

좀 한정적이긴한데 결국 또 변화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ㅋ 트릭잘하시는 분들도 요즘 헤머 타보기도 하고 라이딩에 

관심도 가지시고 카빙하시는 분들도 트릭을 하듯이 ㅎㅎ 결국 또 파크의 붐이 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일단 라이딩이 기본중에 가장 접근성이 쉬워보이는것 같습니다 제기준에도....

STEMCELL

2020.10.08 19:36:18
*.206.90.143

해머 유행해서 탄거 아니고, 필요에 의해 탄 것이고...
종착역 아니고 돈 여유만 있으면 기존 프리보다 하드하고 긴걸로 편하게 타고 싶은 생각 있습니다.

간간히 설질 무너진 날은 해머로 박스도 밀고, 킥도 뛰고 합니다.

무한무도리

2020.10.08 19:41:37
*.136.147.218

이 떡밥이 돌아온거보니 시즌이 다가왔네요ㅋㅋ

darling

2020.10.08 23:27:58
*.236.31.50

스노보드의 끝은 산 인거 같습니다.

ZERONE

2020.10.09 03:57:46
*.39.130.168

걍 깊게 생각할 필요없이 본인 만족으로 사고 타는거죠..

송낙엽

2020.10.09 04:56:10
*.36.168.102

이제 겨울이 오긴 오는가봐요 ㅎㅎ 스키장 생각도 나고 헝보에 글도 많이 올라오는걸 보니..

최리님 글들을 보면 보드를 굉장히 진지하게 대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이미 라이딩쪽에서 스킬업도 많이 하셨을 것 같아요.

해머데크가 종착지가 되어도 좋고 아니여도 상관 없을 것 같아요.

도전하는걸 좋아하시는 것 같구 열정도 있으신 것 같은데

해머로 라이딩도 해보시고 소프트한 데크로 트릭이나 지빙도 해보시고

약간 단단한 정캠버로 빅에어나 파이프에도 도전해보시면 어떨까요?

시즌 시작하면 항상 안보하시고 복잡한 심경 개장빵으로 다 날리셨으면 좋겠습니다~

Burtoncustom

2020.10.09 18:17:09
*.175.57.15

해머데크는 종착역이 아니고 과정중에 하나 같은데요.
해머덱으로 할수있는 건 매우 제한적이라고 생각합니디

Burtoncustom

2020.10.09 18:17:35
*.175.57.15

해머데크는 종착역이 아니고 과정중에 하나 같은데요.
해머덱으로 할수있는 건 매우 제한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작은속삭임

2020.10.09 20:58:37
*.187.7.234

그냥 내가 타고싶을때 타는게 좋은거에요..
종착역은 결혼후에 헝글보면서 타러가고싶을때만..
전 결혼안했지만 하신분들이,
자주 그러시더라고요..

업다운맨

2020.10.10 22:35:02
*.168.34.200

헤머나 라운드나 한 종류일 뿐이라 생각합니다. 유행이 다만 헤머타는분들이 많을뿐인거죠 ㅎㅎ

◆도르◆

2020.10.12 16:28:44
*.183.119.193

더 강하고 퍼포먼스적인 카빙을 원하는 분들, 라이딩 스타일의 발전 과정에서 해머데크가 주목 받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장비 업체들도 이 기회에 이런 문화 지원을 통해 수익 창출을 하려고 하다보니 단가와 마진이 좋은 해머데크 위주로 밀었구요~

 

해머데크는 원래는 유럽에서 보드크로스용으로 개발했지만, 우리나라 설질과 라이딩 스타일상 카빙에도 충분한 어울리기에 유럽 및 일본에서도 주목하고 잇는 시장이 우리나라 이기도 하다고 들었습니다.

 

그렇지만 종착지로 보기엔 힘들고, 결국 카빙 기술이 더 진화되고 다양한 퍼포먼스(슬라이딩턴, 파크, 파우더 등)을 원하는 수요가 증가되면 해머에 대한 선호도는 어느정도 희석되고 좀더 뛰어난 라운드를 선호하는 시기가 오지 않을까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57] Rider 2017-03-14 42 178368
201410 예판 도착기념 이번시즌 탈 데크 소개하기 file [31] thrust 2020-10-12 11 1683
201409 보드글은 아니지만 비싼취미경험 file [15] 2012565016 2020-10-12 3 1822
201408 지름인증입니닷! file [6] mossking 2020-10-12 7 841
201407 guycool님 나눔 인증!! file [8] 조낭 2020-10-12 3 409
201406 10월12일 출석부 file [59] YP광식이형 2020-10-12 4 197
201405 언넝 보드 타고 싶다 언넝언넝 [7] 대마이어 2020-10-11   495
201404 추억의 물건을 겟했습니다 file [4] 미친스키 2020-10-11 5 1922
201403 허허.. [10] 밴프 2020-10-11 2 752
201402 소설미디어 해킹이 심각합니다. [11] 디오게네스 2020-10-11 2 1622
201401 20/21 보드복 보고 왔습니다 . file [36] 캡틴아메리카 2020-10-11 7 2698
201400 휴대용 드라이버 고민하시는 분 계신가요? file [53] 연구형 2020-10-11 12 2139
201399 날씨가 좋 읍 니다 file [23] 연구형 2020-10-11 8 1121
201398 문질~~문질~~ file [12] sia.sia 2020-10-11 3 1289
201397 예판은 원래.. secret [6] 취향 2020-10-11   1306
201396 10월 11일 출석!! [54] 허우적◎.◎ 2020-10-11 9 214
201395 보아가 왔네영 file [7] 낙엽러 2020-10-10 5 1822
201394 지름인증 합니다^^ file [7] 모터플러스 2020-10-10 6 1055
201393 지름신고~~ file [23] *맹군* 2020-10-10 7 1325
201392 바인딩 나눔 결과 입니다 file [10] winkle 2020-10-10 11 1010
201391 서핑-박정환님의 이야기 [3] 알짱알리짱 2020-10-10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