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문득 장비들이 모두 입문 장비 마저 고가로 가는 느낌이 있습니다


초반 입문할수있는 가격대가 좀 크다는 생각을 가지게 된 것이
주변에 관심이 있던 사람에게 대중 우드 프리데크 20~40만 바인딩 10만
부츠 15만원 의류 20~30 으로 제 생각에는 저렴하게 말해준것 같은데

관심있다가도 가격듣고 포기하거나 의류정도만 사고 렌탈 조금 하거나 또는 제 장비를 대여 해주기도 합니다 (부츠제외 모두)


하지만 스키장 접근성과 리프트권 가격 부담 가끔 시즌권 구입해서 타는분들은 한시즌 타보고 가격과 시간 부담에 모두 접는데 대부분 가장 큰 이유가 가격이라 하더군요


점점 중국생산하는 회사 제품들도 늘어가며 무명데크 등 저가형으로 등장하는것도 좋은현상 이지만

티타날급 데크 장비들 가격대 생각하면 스키 보드 인구가 줄어드는것도 이해가 되네요.
해외에 거주하시는분들은 장비 가격대 체감이 어느정도 인지 궁금해서 써 봤습니다
엮인글 :

취향

2021.08.24 20:00:37
*.7.230.242

경동스포츠 풀셋 삼십만원도 있긴 한데요....

우리나라 동호인들이 대체로 입문장비를 너무 비싼걸로 시작하는 경향이 있죠.

자전거도 백만원 넘는게 입문이라 하고..
배드민턴 라켓은 국대들과 같은 거 쓰려 하고..
테니스 라켓도 투어라켓 사서 입문하고..

펭수빠

2021.08.24 20:32:07
*.181.185.174

입문장비→장비탓→중급장비→장비탓→하이엔드장비→자기실력에벽느낌ㅎㅎ

-DC-

2021.08.24 20:35:22
*.132.237.178

음.. 취미라는게 어느정도 투자해야 셑이 되는것이 맞습니다.
스놉 입문 장비라 함은 글쓴님께서 말씀해주신 최저언더 50정도가 맞아요.
어느정도 성인이 50세팅해서 두시즌이상 보낸다하면 본전 치고도 남는 구성이죠.

이는 본격적으로 해야겠다.. 해서 시즌패스 끊고 어느정도 다닌다 하면

"완전 싸게 셋팅해줬구나." 하겠죠..

모든 취미는 로우 리밋이 없습니다. 적절하게 조절해야죠.
글쓴님은 지인들 생각 해주시는것 같네요. 건승을 빕니다. 같이타는게 좋죠:-)

ckk

2021.08.24 20:45:12
*.186.223.79

어떤 취미든 장비욕심 부리면 끝은 없는것 같아요.

시즌마다 장비 바꿈만 안해도 접근성은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모든나라는 모르겠지만 가끔 직구하려고 미국 사이트들 둘러봐도 우리나라 대비 싼 것 같진 않더라고요.

 

곰팅이™

2021.08.24 21:13:52
*.176.111.21

일단 재미(흥미)가 가장 중요하죠...

그 이후에는 개인의 선택입니다..

시간, 금전을 투자해가며, 즐길만한가.는 선택이죠..

자기한테 맞다면, 150만원 들여서 풀셋 구매해서 즐겨도..

본인만 아낀다면, 그이후에 지출을 많이 줄일수 있겠죠..

 

기본적인 여유(능력)이 된다면... 그이후에는 본인에게 맞는 레포츠인가?가 가장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p.s.. 뭐 다른운동은 제쳐두고... 난 집에서 드라마, 영화보는게 가장 좋아...

     라고 해도... 컴 쓸만한거 맞추고, 모니터, tv 괜찮은거, 사운드시스템 괜찮은거..

     이렇게 구비한다고 해도 생각보다 돈 많이 나가니깐요...

 

p.s..2.. 다른나라라고 별다를게 있겠나요? 여행이 취미라면, 그또한 돈이 많이 나가고..

       오토바이 라이딩을 즐긴다해도 그렇고.. 등산이 취미라도.. 그렇고, 골프..수영.. 

       결국은 어떻게든 금전은 필요한 거니까요...

       반대로, 돈을 덜 들이고도 얼마든지 할수는 있을거고요...

영원의아침

2021.08.24 21:21:11
*.35.185.219

특정한 스타일로 굳어져버리게 되면서 소량생산 위주로 가게 되어서 가격이 올라 버린 것도 있고(대표적인게 헤머데크)

그러다 보니 특정 브랜드의 상품만 사게 되면서 해당 상품에 프리미엄 아닌 프리미엄이 붙어버리기도 하고(특정 바인딩과, 부츠)

 

그 특정 스타일만 포기 하면 입문 가격도 확 내려가긴 하죠..

 

가격역시, 수입사나 판매상들도 바보들은 아닌지라..

직구가격은 최대한 맞춰서 할인들 하더라구요. 

직구가격+배송비+관세 보다 살짝 비싸게 팔면 귀찮아서 그냥 샵에가서 사게 되죠 ㅋㅋㅋ

GATSBY

2021.08.25 12:14:57
*.149.242.189

소량 생산 하는 것이 가격이 올라가지 않습니다. (뭐 그래픽 뽑는 시간은 좀더 걸리겠죠.)

소량 생산하는 방식은 올드 스쿨 방식이고, 안정된 품질로 대량 양산 하는 것이 더 진보된 기술 입니다.

구굴에만 찾아봐도 홈메이드 스노보드 공유영상이 있을 정도로 소량 생산 방식이 뛰어난 방식은 아닙니다.

양양0204

2021.08.25 10:00:17
*.245.209.27

장비가격은 비슷한것같아요.
직구하면 더 비쌀때도 있구요.
설상종목이 비인기종목이라 그렇죠.ㅠ

이미겟

2021.08.25 11:24:25
*.248.234.34

스노우보드 20년 동안 타면서 요즘처럼 장비 가격이 저렴하고 구매할게 많은적이 없었던것 같습니다. 물론 20대나 30대초의 남성 사회초년생들이 하기에는 좀 힘들수도 있겠습니다. 입문자용은 말씀하신데로 중국생산 제품들이 있겠지만 그게 얼마나 장비의 신뢰성을 가진지는 모르겠네요. 요즘은 FTA 나 나아진 물류등으로 직구도 이월 초초초초 빅 세일 하는 품목 외에는 국내 판매 하는 업체들이 더 저렴하게 느껴지네요.   말씀하신데로 초입에는 렌탈이 맞는것 같구, 원래 장비 욕심이 좀 있거나 레저 활동에 따른 구매에 장벽이 낮은 분들은 조금더 고가의 장비를 사는 분들이 많은것 같습니다.

 

사실 스노우보드가 비싸다 비싸다 말씀들 많이 하시지만 제가 하는 다른 취미 캠핑이나.. 낚시나 .. 골프나... 다이빙이나... 등에 비해서 비싼지는 모르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스노우보드 장비도 좋은 거사서 오래 쓰자 주의라... 요 몇년 딱히 산게 없긴 하네요)

GATSBY

2021.08.25 12:12:14
*.149.242.189

헝글 횐분들 및 많은 분들이 티타널이 탑재된 스노보드는 초고급 고가이다 라는

스테레오 타입이 있는 듯 합니다.

 

예전에는 살로몬 롬 앤썸,버튼 커스텀X 등이 고급 라이딩 데크인데, 요즘 헝그리보더에서는 엔트리급

라이딩 데크 취급을 받고 있습니다. 

 

덕분에 스노보드의 기본 = 라이딩...........-> 햄머헤드.

스노보드라는 운동의 진입장벽을 더 높게 세우는데 일조를 한 것도 맞습니다.

스키장에만 가봐도 IMF 때보다 20대들이 더 줄어들었습니다.

전세계 스노보드 시장이 줄어들고 있다?

 

중국은 인구가 기하학 적으로 늘고 있고, 유럽에서도 젊은 층들이 다시 돌아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스타일의 유행이 바뀌지 않는 한.

카빙 = 햄머헤드 라는 선입견이 바뀌지 않는 한....쭈욱 이렇게 갈 듯 합니다. 

 

Cool-보더

2021.08.25 12:30:42
*.226.28.254

솔직히 말하면 다른 취미에 비해 보드가 그리 비싸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매년 꼭 장비를 바꿔줘야 하는것도 아니고(시즌권제외) 본인만 만족한다면 100이내로도 충분히 즐길수 있을텐데요...

아저씨들 취미라고 하는 자전거만 봐도 입문용 로드는 100단위 이상부터 시작하고 캠핑도 장비좀 사면 1~2백은 훌쩍 넘어갑니다.

골프는 뭐 장비보단 레슨비가 진짜니 말할것도 없고....

Kylian

2021.08.25 14:45:00
*.232.220.59

미국이나 캐나다쪽 해외 직구 가격 보시면 됩니다.

솔직히 요즘은 인터넷이나 해외직구가 워낙 잘되어있어서 해외가격이랑 국내가격이랑 차이가 잘 안납니다.

차이 크게 나면 바로 직구 떄리거든요..

솔직히 가장 애매한건 한철 취미라는게 아닐까 싶네요..

1년 중에 진짜 코스 다 열리고 제대로 탈 수 있는 기간 자체가 1~2월 한달 정도죠...

soulpapa

2021.08.25 15:43:13
*.77.2.208

스키장을 여름철 물놀이가듯 잠깐 놀러가는 곳이라 생각하시는 분들에게는 크게 느껴지는 금액이지만... 어지간히 다른 취미나 경험이 있으신 분들이 보기에는 엄청 돈이 들어간다는 느낌은 아닌듯 합니다. 오히려 어쩔수 없는 물리적 거리에 따른 거부감이나 피로감이 높은게 더 큰 벽이지 않나 싶습니다.

많은 분들이 말씀하셨는데요, 직구도 옛말이지 이제는 크게 차이 없는듯 하고 관세, 배송이 따지면 오히려 더 비싼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겟츠비님 말씀처럼 계속 다변화하는 모습이면 좋은데, 쪼그라드는 시장속에 라이딩 중심이 되어버린 분위기는 좀 아쉽기는 합니다.

윤차장

2021.08.25 15:59:12
*.214.58.72

다른 취미들에 비해 특별히 비싸서 입문을 안하는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윗분들도 말씀하셨다시피 돈 드는 취미생활이야 얼마든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 세대들 집 근처에서만 해도 어울리며 놀 거리들이 참 많은듯 해요. 그것도 저렴하게요.

특별히 취미생활이라는거 없이도 충분히 즐길게 많은 세상에서 추운날 그 돈을 들여가며 멀리 갈 이유가 없어진거죠.

제 또래들만 하더라도 넷플릭스 아이디 공유해가며 하루종일 집에서 그것만 보며 배달음식 시켜먹는게 낙인 사람들 많습니다.

보드를 안타봤던 사람들도 아니고, 넷플릭스 드라마 재밌는거 보는게 보드타는것보다 훨씬 재미있다는 사람들이 압도적으로 더 많은 세상이죠 뭐 ㅋㅋㅋ

그래도 보드에 흥미가 있는 소수의 사람들은 열심히 타긴 하네요..

뒷발차즈아

2021.08.25 17:25:17
*.132.250.98

다른나라는 모르겠고 우리나라 기준으로 15년전쯤에 내장비 맞추는 가격이랑 현재랑은 체감으로는 오히려 싸진거같아요.

다른 취미 & 스포츠 용품들이 너무 비싸져서 말이죠... 

그때나 지금이나 돈없는 학생들이 시작하기는 힘든거같구요.

겨울스포츠가 죽어가는 이유는 가격보다는 접근성이 떨어지는것 때문 아닐까요? 

 

BRTNT6

2021.09.02 10:57:59
*.200.114.157

보드 비싸지요 새거같은중고로 시작하세요
장비세팅하고 다음으로 시즌권끊어도 왔다갔다하면 돈 시간 많이들어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3772
245359 롬게러지락커??롬에이전트락커??차이점좀.. [1] 심란년 2013-01-31 1535
245358 Artec Gabe Taylor 데크에 대해서 아시는 분 계신가요? [40] 초보 2010-11-02 1535
245357 학동역 던전 탐험 알려주세요 !! [11] 보린이이 2022-08-17 1534
» 스키 보드 용품 가격 다른나라도 이정도 가격 체감 인가요?? [16] Lumen 2021-08-24 1534
245355 20~25m/s 바람 세기는 어느 정도로 비유할 수 있을까요??^^ [9] 곰돌이2374 2020-01-23 1534
245354 프리나 해머로 전향각 타시는 분들 스텐스 몇 타시나요 ?? [7] melomine 2018-01-02 1534
245353 살로몬 프로토콜 데크 [8] 하늬윈드 2016-08-10 1534
245352 데페 타입알과 오가사카 fc [5] 도ㅐ지바 2016-02-02 1534
245351 스노우보드 헬멧 질문 드려요~~ [12] 슈퍼초촙오 2015-04-16 1534
245350 고글에 습기 안차게 샴푸발라도될카요?ㅋㅋㅋ [6] 샴푸요정 2015-01-02 1534
245349 살로몬xlt 베이스 금? 줄? 질문드려요 file [15] 개지 2014-11-27 1534
245348 데크에 바인딩 체결해 놔도 문제 생기는건 아니죠? [5] 꽃보다스노보드 2014-11-02 1534
245347 클리닝왁싱 어떻게 하는거죠? (새데크 클리닝vs리무버) 헝글분들에 선... [4] loco_boarder 2014-08-17 1534
245346 디렉셔널데크는 트릭할때 잘 안되나요? [14] 브아솔굿 2011-04-17 1534
245345 그라운드트릭 스탠스 넓이셋팅?? [3] 올인79 2011-02-11 1534
245344 장갑 사이즈 질문드립니다. file [16] 시모츠마 2018-09-21 1533
245343 보드복(자켓) 안에 다들 무엇을 입으시나요? [13] i시오i 2017-11-05 1533
245342 라이딩만 할시 데크길이 3cm 늘려 타는 이유 [11] 흐리 2015-11-19 1533
245341 데크 계산기 데크 길이... [10] 멜러 2015-03-25 1533
245340 다들 헬멧 뭐쓰시나요? 헬멧 마다 성능차이가 좀 있는 것 같아요 [10] 모짜렐라치즈 2015-02-24 1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