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제 이름은 이기영이라고 합니다.
스노우보드를 타기 시작한지 벌써 17번째 시즌이 되었네요. 중간에 딱 한시즌 쉬었었으니 라이딩만 따지면 16번째 시즌이구요.

밑에 올리신 옛날얘기(?)들을 보고…
제가 아는선에서 오래전 얘기로 거슬러 올라가 보겠습니다. ^^

제가 기억하는 한국에서 가장 먼저 프리스타일 스노우보드를 타신분은 "정서학"님 입니다. (대학로에서 스케이트보드를 즐기시던 분입니다.)
80년대에 미국에서 배워오셔서 거의 독보적인 존재이셨습니다.
그때의 보드는 블랙스노우 라는 브랜드였고.. 엣지가 없었습니다. --ㅋ  그냥 플라스틱판에 바인딩이 달려있었습니다.
바인딩은 그 플라스틱판에 구멍을 뚫어조였습니다.
80년대 말에 용평에서 이미BS360까지 하셨었으니... 정말 대단하신분이죠. ㅎㅎ

저는 91년에 대학로로 스케이트보드를 타러 다니기 시작하면서 부터 보드문화쪽에 빠져들기 시작했습니다.
그 당시 종로5가에는 국내유일의 스케이트보드샵..”스트리트라이프”가 있었구
그곳에서 Sims 와 Santacruz 스노우보드를 수입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니까 90/91시즌입니다.
이때 많은 스케이트보더들이 스노우보드를 시작했고 제 생각에는 이때가 프리스타일 스노우보드의 1세대인것 같습니다.
이때 시작하신분들이 김승묵님, 이상이님, 권순호님, *동진님, 하태양님, 박상진님, 김련호님 그리고 이덕문님까지 기억합니다.
저는 그 다음겨울(91/92)에 박상진님(Terry Park)의 보드를 빌려 스노우보드를 시작하게 됩니다. ^^

제가 시작할 당시에는 어떠한 스키장에서도 보드에 대한 제재가 없었습니다.
스노우보드는 한 스키장에 한두명정도 보였으니 모든 사람들이 굉장한 관심을 보였었고, 하도 말들을 걸어서 귀찮아서 리프트를 따로 탈 정도 였습니다.
그러다가, 92년으로 기억하는데, 천마산에서 그곳 사장님과 스노우보더들이 충돌하게되고,
그 이후 한동안 스노우보드는 무주의 루키힐을 제외한 모든곳에서 탈수없는 상황이 되어버립니다.
이 말도 안되는 제재는 95/96시즌, 성우리조트가 오픈할때까지 이어지게 됩니다.

무주리조트의 딱 한 슬로프… (그 당시에도 루키힐 혹은 스캉달로 불렸습니다)에는 한국의 모든 스노우보드들이 모였습니다.
친하지는 않아도 최소한 모든 스노우보더들의 얼굴은 알고 있었습니다. –ㅋㅋ
무주 초기시절 독보적인 프리스타일러들은 이덕문님, 박상진님, 그리고 박재환님 3명이었습니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스케이트보드, 스노우보드 온라인 동호회는 “하이텔 보드동호회” 입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91년에 가입했고, 중간에 시삽도 하고 정말 많은 활동을 했었습니다.
한국 최초의 온라인 동호회 스노우보드캠프도 역시 하이텔에서 이루어졌는데…
94/95시즌… 무주의 콘도 실버(19평)에서 18명이 같이 역사적인 첫 캠프를 맞이하였습니다. –ㅋㅋㅋ
회비는 당연히 완전 쌌었습니다. 2박3일 숙박+식비해서 한 10000원정도…
그 다음시즌(95/96)에는 약 50여명으로 기억하고.. 그 다음시즌(96/97)에는 100명을 돌파했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릅니다.
특히 95/96시즌의 캠프에 참가하였던 쌩초보라이더분들 중에 현재 프로분들이 열분 정도 되시고..
떼보딩이라는 말이 시작된 역사적인 캠프였었습니다. 그 당시 30여명이 슬로프를 한꺼번에 내려가는건 정말 처음있었던 일입니다. ㅎㅎ

인터넷이 널리 퍼지기 시작하면서 하이텔 보드동호회에서 여러갈래로 갈리게된 스노우보드 동호회들이 많은 스노우보더를 만들기 시작하였고
현재의 보더인구에 이르게 된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한국말고도 미국 LA의 한인타운에도 스노우보드동호회가 있는데 하이텔보드동에서 활동하던 맴버들이
하이텔보드동의 메뉴중에 있던 “고국이 그리워도” 라는 게시판(해외회원용)의 이름을 이용해
G.O.G (고.그. --ㅋㅋ)라는 동호회를 만들어 9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활발히 활동중입니다. (www.clubgog.com)


프리스타일과 동시에 알파인 쪽의 분들은 주로 무주에서 처음 만나뵙게 되었는데,
그 당시 버튼으로부터 약간의 스폰을 받고 있는 Red Rene 팀이 있었고, 또한 Road Runner라는 유명한 두 팀이 있었습니다.
Red Rene은 한국체육대학 학생들을 위주로 팀이 결성되어있었는데,
윤동혁님, 이승주님, 봉민호님, 조태정님, 김오섭님.. 이분들이 생각납니다.
김은광님도 많이 친하셨는데 같은 팀이셨는지는 기억이 안나네요.
Road Runner는 당시 유로카빙의 일인자였던 김연태님, 김용국 님이 계셨었습니다. 다른 분들도 많이 계셨었구요…
그 당시 어린나이였던 지원덕님(지금 Transworld 편집장님) 과 지명곤님 형제는 현재 유명한 보더들이구요. ^^

95년 역사적인 스노우보드협회(KSBA)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시작할때의 이름은 대한스노우보드 동호인협회였는데 대한 체육회 산하로 들어가게 되면서 이름을 바꾸게 된것으로 기억합니다.
총 협회맴버 150여명중에 그 당시 가장 큰 스노우보드 동호회였던 하이텔보드동호회에서 50여명이 들어가게 됩니다.
96년 2월에 첫 대회가 시작되고 매 시즌 대회는 쭈욱~ 이어집니다. ^^

한국의 프리스타일에 가장 큰 영향을 준 프로라이더들은 성우의 오픈식에 왔던 Aurora스노우보드 팀이었습니다.
전설의 데미안 샌더스를 포함, 미국과 캐나다의 프로들이 와서 그야말로 첫 빅에어를 보여주게됩니다.
Aurora 팀 이후 WaveRave팀 또한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96년 여름… 이덕문님이 뉴질랜드 원정을 시작하면서부터 인버트의 시대로 들어가게 됩니다.

제가 기억하는 첫 장프로(장비만 프로)가 등장한것이 96/97 시즌이었습니다. --ㅋㅋㅋㅋ
군대에서 휴가나가서 스키장엘 갔는데 프로로 보이는 라이더가 있더군요...
머리부터 발끝까지 쫘악~~~~~
멀리서 동경(?)하며 리프트를 따라서 타고 올라갔는데.. 낙엽.. --;
이때 작은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ㅎㅎㅎ

그 이후는 군대와 미국에 유학을 가게된 관계로 선명하지 않습니다. ^^;ㅎㅎ
고리짝시절 얘기지만… 언젠가..누군가.. 한국의 스노우보드에 대해 얘길 하시게 된다면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가끔 생각나는것들 한두개씩 적어볼께요~ ^^
엮인글 :

날아라가스

2007.12.11 12:55:54
*.78.73.56

17년차..........진정 원로이십니다.

크리티칼브레인

2007.12.11 13:45:00
*.99.132.12

아 제가 아직까지 쓰고있는 모델이 95/96 네버썸머^^ 이월로 96/97에 레미샵에서 샀었는데. 샵에서 정말 잘해주셨었는뎅.. 우태형 련호형... 하이텔보드동~ 팽귄스티커 ㅋㅋ go! board!
전 그후 스케이트보드만 즐겨타서-.-... 우리나라 보드시장 스노우도 그렇지만 스케잇은 더 척박합니다..^^

murder

2007.12.11 14:05:20
*.6.18.146

저랑 거의 같은 시기에 타셨네여...^^
전 이덕문님을 알 계기가 되서 이덕문님께 배웠습니다 베어스에서 첨....

wlstn

2007.12.11 15:23:20
*.92.150.204

존경하는 왕써퍼형님
휘닉스 올라오시면 꼭 연락 주시와요

.....

2007.12.11 16:00:57
*.49.29.2

알프스에서 타시는 분들 있었는데... 별 제지가 없어서.. 당시에 판때기가 신기해서 타는거 뒤에서 따라가면서 구경하고 했던 기억이.... 전 2세대일 듯.. 두자리수연차니까..

BLAZE

2007.12.11 16:30:17
*.104.217.14

릭키님~ 여기서 뵈니까 무지 반갑다믄스...항상 감사합니다 (__)

Ricky

2007.12.11 17:54:41
*.174.15.106

크리티칼브레인님 련호형은 2주전에 뵈었는데 잘 지내십니다. 그 Go! Board 스티커... 저도 99년인가 까지 헬멧에 붙어있었습니다~ ^^ㅋ
wlstn님 누구세여~ ? ^^ 스케이트보드타구, 기타치고, 근래에 서핑배운 그 분??
Blaze님은 알것 같은데.... ^^ㅎㅎ

pj1080

2007.12.11 18:35:28
*.131.108.123

기영이형? 형 저 기억하세요? 진짜 몇년만인지...이 링크 들어가보시면 바로 아실거에요^^ 저 정환이요.
http://boarderszone.com/01_News/News_Detail.asp?NewsID=8627

Lucky.B

2007.12.11 20:34:41
*.136.47.125

+_+ 감탄사가 절로^^;;;

흠..

2007.12.11 21:16:40
*.15.32.254


성우에서 알파인 월드컵 대회도 몇번이나 개최하고..
역시 성우가 스노보드의 성지쯤 되는군요.

문본좌

2007.12.11 22:28:00
*.138.220.172

제가 어렴풋이 어렸을때 기억나는건 Aurora스노우보드 팀! 데미안 샌더스까지만 기억이 나네요~
그당시 Aurora 이름을 딴 보드가 있었는데...잠실롯데월드 1층에 스키샵이 있었고 그 매장에 늘 놀러갔었는데....보드를 들여온다는것을
알고 설레발치고 매장에 진열된것을 보고...보는것만으로도 즐거워서 음뻑 빠졌다는...ㅋㅋ

그 보드가 성우??? 에서였던가? 렌탈보드로 사용된것도 기억나고...
렌탈보드로 사용되기전...데크값이 넘 비싸서...엄두도 못냈던 시절...데크값만 100만원 훌쩍 넘었었죠...당시 전 중2던가? 중3이던가...

그래서...모노스키를 위안삼아? ㅋㅋ 그때 모노휘글?? 맞나? ㅋㅋ 암튼 그렇게 불렀던 보드짭퉁을 위안삼아....
출처를 캐보니 스키의 업다운용연습하는거에 이용되는 거로만 알고 있던거!!
스키부츠신고 두발붙이고 60~70센티길이판떼기에 발은 고정되어서 탔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르네요~

대명에서 패트롤들한테 저지좀 당하자...이거 보드아니라고 말하면서...탔던기억도 나고요...
하이텔스노우보드 동호회 이름만 듣던 시절이죠...

나이가 어린데다 당시 있는집 아들이 아니면 구경만 해야했던 시절인거 같네요...
그땐 정말 보드를 넘 타고 싶엇는데...^^!~

스펜서

2007.12.11 22:29:15
*.5.220.49

제가 아는분이 5-6년전 현대 성우 리조트 사장과 과거에 일을 도와줬었다는데
성우 리조트 사장의 자녀들이 스노보드에 광적이었다고 하네요.
즉 스키장에 스노보더들의 출입을 디시 허가하는데 가장 큰 공신은 자신(성우 리조트 사장) 이었다고
했다네요.

A.K.A. xoon

2007.12.12 08:45:31
*.235.208.2

재미있는 글 잘 읽었습니다.^^

정덕진

2007.12.12 12:23:55
*.235.208.2

Red Rene...와..Road Runner 당시 양대 산맥이었다고 들었습니다.

맴버중에.. 김성배 프로님과 지금 버튼 이종선 사장님이 빠졌네요..

성우 같은 경우는 리조트 건설 이전에 구조(맵)를 그리기 위해 휘슬러/블랙콤에 높으신 분들이

단체방문하였고, 그때 블랙콤의 7th heaven에 영감을 얻어 거의 그대로 지금의 슬롭 설계를 이어갔다고

들었습니다.

또한 2003년도에 만나서 같이 보드탔던 제이란 캐나다 친구는....

나중에 알고 보니 불과 재작년까지만 해도

둔내에 성우 간판에 걸려 있더군요.... (성우 오픈 초창기에 데몬팀..-빅에어-)


Ricky

2007.12.12 13:29:32
*.174.15.106

문본좌님 - 네.. 그곳이 오로라보드를 곳입니다. 그 샵수입해서 전시하던 분들 참 좋으분들이셨지요~ ^^
그때 오로라에서 스폰을 받느라 그곳에 가서 보드를 수령했던 기억이 납니다.
스펜서님 - 초창기 여자 보더중에 성우사장님의 따님이 있었습니다. 보드도 열심히 탔었지요~ 대부분의 초창기 보더들과 친했습니다.
정덕진님 - ㅎㅎ 그렇네요.. 그 당시 김성배님은 약간 초보이셨드랬습니다. 그래서 깜빡한듯하네요. Road Runner이셨었지요...
그 오픈당시 왔던 캐나다친구이름이 Eric 어쩌구 였는데 .. 그때 이후 한국을 한두번 더 방문했었습니다.
그 친구 정말 인상좋고 라이딩을 좋아했던걸로 기억합니다. ^^ 제가 많이배우기도 해서 정말 고마운 친구입니다.

Atomic

2007.12.12 15:43:00
*.28.132.92

어라? 기영이다...오랜만이구나. 기억날지 모르겠지만...
하이텔 보드동호회 순국이형 시삽할때 94년부터 한참 활동하던 부산살던 성룡이다. [TOM]
하이텔 끊은뒤로 다들 소식이 궁금했었는데...
부산에서 서울까지 무궁화호 타고 스케이트보드 들고가서 세종문화회관에서 서울역까지
스트리트 하고 그랬었지.

123

2007.12.12 15:51:42
*.104.210.85

리키님 여기서 뵙게 되니 무척 반갑네요-!

샵에도 한번 구경갔었는데 ㅎㅎ

김성배님은 서울고 재학당시 친한 친구분이 보드라는게 있다고 한번 타보자고 친구 꾀임에 빠져서 타보시고는 시작 하셔서 그쪽으로 길을 잡으셨다고 합니다.

그래서 초창기 멤버 치고는 시작이 늦으셨던거 같네요.

ㅎㅎ

2007.12.12 17:16:30
*.54.29.199

권순호님 우리 상무님 사촌동생이에요 ㅎㅎ

Ricky

2007.12.12 20:52:27
*.144.20.38

Atomic님 - 아.. 이름은 분명 기억납니다만... 가물가물합니다.. ^^;ㅎㅎ
123님 - 아~ 누구시죠? ^^ ㅎㅎ 서퍼이신가요? 성배형님은 조금 늦게 시작하셨지만.. 캐나다에서 일취월장해서 오셨더군요.. 군대에서 휴가나가서 뵙고 완전 놀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
ㅎㅎ 님 - 아~~ 순호형을 아시는군요~ 저에게 스케이트보드를 많이 가르쳐주신 대학로 선배이십니다. 순호형님 동생... 권순기 군도 아주 친합니다..스케이트보드, 스노우보드, 서핑 친구지요. 요새 연락이 두절되긴 했지만요.. --ㅋㅋ

green900

2007.12.14 22:15:10
*.22.114.110

리키님 서핑만 잘하는 것이 아니라.. 보드도 잘 타시다니.. 저도 스키는 좀 타는데 보드는 10년 초보죠. 첨배운 때가 96-97년도 무주입니다. 조선스키샵에서 보드 타시는 빡빡머리분 한테 원포인트 받으면서 부터였죠. 그당시 보호대 헬멧 같은거 전혀 없었기에 몇번의 맨땅에 헤딩(만화에 별보는게 상상이 아니란걸 경험함)과 역엣지를 경험한후 이건 사람이 할께 아니다 싶어서 포기했었습니다. 그때 같이 배웠던 형님 한분은 아예 보드로 전향 하시더라구요 지금은 뉴질랜드 계시는데 뭐하시는지 궁금하네요
아무튼 보드 타면 서핑타는데 도움이 될까요? 요즘 파도도 없고 넘 추워서 보드계에 발을 들여 놓을라고 합니다. 버텀턴이 보드 카빙턴이 비슷한것 맞는지 백턴으로 버텀턴이 잘 안되던데 카빙시 힐턴이랑 비슷한것 갔던데. 고민중입니다.^^

펑키

2007.12.20 20:20:04
*.248.37.82

흐흐 98년형 .... 보드 타고 스키장 가면 다들 신기한듯 쳐다보더군요..
타는데 지장없으나 어쭐수없이 장비 바꾼 1인....

스크래치

2007.12.25 01:53:44
*.104.192.108

여기 글 쓰는 분들은 만나면 왠만하면 얼굴은 다 알고 있을 것 같은데....ㅎㅎㅎ
나도 96/97부터 타서 2001년까지 무주에 있었으니 자주 보던 로컬프로(?)들은 다들 그립지만 지금은 다 옛날 이야기가 되었네요.

ss

2008.01.06 02:45:55
*.145.206.173

ㅎㅎ 저도 98년도쯤 보드란거 처음 접해봤는데 그때 스키복입고 보드탔죠..ㅎㅎ
그러고 02년도에 수능보고 타러가니 보드인구 엄청 늘어났더군요..
그 담에도 계속 한시즌 타고 담시즌 안타는 관광보더라..아직도 카빙이 안된다는!!ㅋㅋㅋ

후니

2008.02.11 21:59:44
*.182.115.139

퍼가도 되는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768

일반 벽선반 만들기 !!!! [12]

일반 허접이지만 카빙 입문에 대한 생각 써봅니다 [7]

  • 뭉클
  • 2008-05-13
  • 추천 수 104
  • 조회 수 6140

일반 캐나다 올드보이의 보드 입문기. [25]

  • 신민용
  • 2008-03-21
  • 추천 수 68
  • 조회 수 6700

일반 동영상 자료실에서 다운 받고 동영상 변환하... [9]

일반 중국 스노우보드 시장 공략법 [17]

일반 데크 탑시트에 스티커자국지울때.. [10]

  • 2008-01-14
  • 추천 수 29
  • 조회 수 4520

일반 다운, 업 과 프레스의 관계에 대한 저의 생... [37]

  • 피아
  • 2008-01-09
  • 추천 수 49
  • 조회 수 5782

일반 본질적으로 보드 잘타는 비법 [20]

일반 슈퍼파이프에 관한 몇가지 이야기 [18]

일반 헝글 자동로그인 문제 해결! [10]

일반 [중급자] 힐턴 카빙이 더 어려운 이유 [51]

일반 한국 초창기 스노우보드의 작은 역사... [24]

  • Ricky
  • 2007-12-11
  • 추천 수 56
  • 조회 수 8711

일반 라이딩이 부족한 분들에게 드리는 같잖은 말씀. [31]

일반 장안의 화제 '고카' 바람 [28]

일반 10년전 PC 통신 동호회 역사 : 보드대중화 [25]

일반 스페이스 월~ 작업 [23]

일반 중고장터 사진안뜨시는 분들을 위한 팁 [2]

  • 구리더
  • 2007-09-09
  • 추천 수 40
  • 조회 수 2752

일반 [고도칸보더] 스노우보드와 자동차 - 5) 캠... [56]

일반 20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프로 20명 [37]

  • S로마
  • 2007-08-05
  • 추천 수 32
  • 조회 수 5713

일반 워터점프에 관하여 [28]

  • 큐브
  • 2007-06-22
  • 추천 수 56
  • 조회 수 4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