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 시절 사이드 슬립, 낙엽타기 등은 힐사이드 쪽에서 훨씬 쉬움을 느낍니다. 시야가 전방으로 향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요인이겠고, 하이백이 힘을 받아주기에 토사이드 보다 안정감을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중급자 단계에서 카빙에 입문을 할때에 보면 아주 많은 분들이 오히려 힐 카빙에서 어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공통적인 어려움이라면, 힐 사이드에서 '날로만 타기' 가 안된다 와 카빙이 중간에 터져버린다와 마지막으로 가다가 주저 앉아 버린다는 분이 많습니다. (엉덩빵아?)

(참고: 오히려 고속의 상급자 레벨에서는 반대로 토턴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분이 계십니다.. 왜냠 하이백 만큼 힘을 받아주는 장치가 토 사이드에서는 없기에..)

중급자 단계에서 토 카빙이 더 잘되는 이유는 엣지각을 주기 더 편하기 때문입니다.
토 턴에서는 무릎을 땅에 닿게 한다는 개념으로 엣지를 주면 엣지각을 크게 줄 수 있는데 반해 힐 턴에서 그만큼의 엣지각을 주다가는 엉덩빵아 찍기가 쉽습니다. 그 이유와 해결책이 아래에..

1. 힐턴에서 카빙이 잘안되는 이유는 엣지각을 그 만큼 못 세웠다는 것
해결책: 카메라로 라이딩 사진을 찍어서, 토턴과 힐턴의 엣지 세움 정도를 확인합니다.
하이백각도를 앞으로 좀 더 기울이고 라이딩 시 무릎과 발목을 더 기울여, 엣지를 더 세웁니다.

2. 힐 카빙 시도 시 잘 넘어지는 이유
해결책: 상체가 같이 기울어 지면 안됩니다. 보통 상체가 엣지각과 같이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상체는 90도로 곧게 서있어야 합니다. 때에 따라 같이 눕는 경우도 있겠지만, 상체가 곧게 서있어야 힘 전달이 최고 입니다.

3. 힐 카빙이 터져요
해결책:  중간에 터지든, 시작순간 슬립이 나던, 대체적으로 시선 문제가 크다고 봅니다.
힐 턴시 많은 분들이 진행방향을 보시지 않고, 전방 (가슴이 향하는 폴라인 방향) 을 보고 계십니다.
턴이 끝날때까지 보드의 진행방향으로 보셔야 되겠지요?
그리고 턴 전환시 시선과 함께 어깨 로테이션을 해주셔야 하구요.

알파인에서는 Level Shoulder 라는 어깨를 슬로프 경사와 맞춰주라는 수칙이 있습니다. 이거는 어깨와 완전 열려 있는 상태에서 어깨가 슬로프와 평행을 이루라는 것으로, 프리스타일에서는 상체를 90도로 곧게 세워주라는 말과 같습니다.
이것은 토턴에서도 마찬가지로, 무릎으로 엣지를 세우더라도 상체는 세워주셔야 합니다.
허리는 활처럼 세우시고, 보더들 사이에서 속된말로 '고추 내밀기' 를 해주셔야 합니다.

이런식으로 연습을 하신 뒤에
고속에서 안정적으로 엣지각을 많이 세우실 수 있으시면 그때에 자유자재로 유로카빙처럼 손을 땅에 닿게 하시던지 혹은 자기만의 자유로운 자세로 타시면 됩니다.



  

엮인글 :

꿈풍경

2015.01.27 22:09:50
*.242.221.207

좋은 글...감사합니다. 저도 힐턴에서 자꾸 넘어지는데...해결책을 못 찾고 있네요 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2
371 일반 벽선반 만들기 !!!! [12] 대장곰보더 2008-06-01 107 16538
370 일반 허접이지만 카빙 입문에 대한 생각 써봅니다 [7] 뭉클 2008-05-13 104 6137
369 일반 캐나다 올드보이의 보드 입문기. [25] 신민용 2008-03-21 68 6700
368 일반 동영상 자료실에서 다운 받고 동영상 변환하... [9] 멜랑꼴리 2008-02-26 109 8146
367 일반 중국 스노우보드 시장 공략법 [17] 흰눈사이로 2008-02-06 52 6248
366 일반 데크 탑시트에 스티커자국지울때.. [10] 2008-01-14 29 4520
365 일반 다운, 업 과 프레스의 관계에 대한 저의 생... [37] 피아 2008-01-09 49 5782
364 일반 본질적으로 보드 잘타는 비법 [20] 몽블랑설 2007-12-20 30 8702
363 일반 슈퍼파이프에 관한 몇가지 이야기 [18] 몽블랑설 2007-12-17 40 4530
362 일반 헝글 자동로그인 문제 해결! [10] 댕구매니아 2007-12-16 43 3035
» 일반 [중급자] 힐턴 카빙이 더 어려운 이유 [51] 몽블랑설 2007-12-13 22 14218
360 일반 한국 초창기 스노우보드의 작은 역사... [24] Ricky 2007-12-11 56 8706
359 일반 라이딩이 부족한 분들에게 드리는 같잖은 말씀. [31] 하아하아 2007-11-30 40 11393
358 일반 장안의 화제 '고카' 바람 [28] 푸른볼펜연필 2007-11-30 44 7252
357 일반 10년전 PC 통신 동호회 역사 : 보드대중화 [25] 푸른볼펜연필 2007-11-23 46 5075
356 일반 스페이스 월~ 작업 [23] 나이스포에버 2007-09-14 46 6290
355 일반 중고장터 사진안뜨시는 분들을 위한 팁 [2] 구리더 2007-09-09 40 2750
354 일반 [고도칸보더] 스노우보드와 자동차 - 5) 캠... [56] 고도칸보더 2007-08-07 -120 7009
353 일반 20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프로 20명 [37] S로마 2007-08-05 32 5708
352 일반 워터점프에 관하여 [28] 큐브 2007-06-22 56 4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