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도에 쓰신 칼럼인데 좋은 내용이라 퍼옵니다.(괄호 내용은 바뀐 혹은 추가내용)
-----------------------------------------
슈퍼파이프는 이제 세계적으로 많은 보드장들이 보유 하고 있습니다. 메이져 급 리조트는 다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슈퍼파이프의 역사는 그리 오래 되지는 않았어요. US 오픈 대회에서도 2000년에야 슈퍼파이프를 이용하기 시작 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성우리조트와 대명 비발디 리조트 그리고 지산 리조트에서 슈퍼파이프를 도입했습니다.)

슈퍼파이프의 특징이라면, 높은 벽 입니다. 그런데 그 벽의 진실을 파헤쳐 보면 버티컬이 높아진 것이 아니라, 트랜지션만 엄청 길어 진 것이지요. 과장해서 말하면 바텀이 전혀 없이 트랜지션으로만 좌우로 연결된 형상입니다.

그래서 초보자들도 더 안전하게 배울 수 있습니다. 트랜지션이 넓다 보니깐 좀 멀리 착지해도 경사면으로 떨어지고.. 속도로 받을 수 있고요.

슈퍼파이프를 깎기위해서는 요즘 보통 2개의 장비가 많이 쓰입니다. 슈퍼드래곤하고 파이프 몬스터 입니다. Zaugg 사에서 나온 파이프 몬스터 라는 기계가 좀더 큰 파이프를 깎을 수 있지만, 크기는 리조트 마음대로 조정 할 수 있습니다.
(블랙콤,메머드 등지에서 zaugg 제품을 많이 씁니다.)

보통 매일매일 새로 깎는 좋은 리조트가 있고, 1주일에 몇번씩만 깍는 곳도 있고, 과거에는 우리나라에는 1주일에 한번만 깎는 별로 안좋은 데도 있답니다.

그런데 파이프를 계속 깎으면, 벽과 벽사이가 점점 멀어지는 현상이 벌어집니다. 너무 멀어지게 되면, 다 뭉게고 다시 만들어야 합니다. 돈 많은 미국이나 캐나다의 큰 보드장에서는 곧 잘 뭉게고 다시 만듭니다. 돈 없는 데는 방치해야 하겠죠.

슈퍼파이프를 깎는 기계가 2억원이 넘고요.. 눈도 더 많이 필요해서 한국에서 하기는 조금 무리는 있습니다. 하지만 투자한 만큼 그만큼의 좋은 결과가 있을 겁니다. 리조트 측에서도 빠른 시일내에 슈퍼파이프를 건설 했으면 합니다.
(벌써 도입이 되었죠?)

참고로 슈퍼파이프 벽을 유지 하기위해서, 벽은 일부러 얼려 놓습니다. 그래서 초보 분들은 날씨가 따듯한 날이나, 봄부터 하프를 시작하시는 것이 부상예방에 좋습니다. 벽 얼려놓는 것은 외국도 마찬가지 입니다.
엮인글 :

a

2007.12.17 16:22:05
*.99.132.12

전부터 알고싶었던 내용인데 정말 잘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저는 그나마 외국과 엇비슷하게 시설을 갖출수 있는게 파이프아닐까 해서 시작했는데 한번 부상을 격고나니 무섭기만 하군요. 즐거운 시즌되시길!

hanns

2007.12.17 22:20:36
*.227.142.76

저도 파이프 좋아하는지라 덧붙여봅니다.

대명 기계도 몬스터구요.
매머드가 아니라 맘모스인것같은데.
성우는 작년에 3일에 한번꼴로 깎은것같구..(사람없거나 벽 멀쩡할땐 안깎을때도 있엇음당.버텀이 길어지니까)
그리고 슈퍼파이프의 특징이라면 경사도도 빼놓을수 없겠네요.
보통 15~18도 정도이죠.성우파이프는 18도로 제가 알기론 피스규격의 최고각이 18도 인가 19도 로 알고있는데 거의 맥시넘의 경사이죠.
그리고 맘모스리조트의 경우는 슈퍼듀퍼파이프라고해서 거의 6미터에 달하는 슈퍼파이프보다 한단계더 올린 의미의 파이프도 있습니다.
6미터내지는 5.5~8 미터의 파이프는 가까운일본의 스키장에서도 몇몇 보유하고있고요.
제생각엔 현재 국내에서는 성우,지산,오크밸리가 매지션기계를 가지고있고 대명이 몬스터를 가지고있는걸로 아는데, 5미터가 넘어가는 파이프를 만든다고 한다면 대명말고는 가능한곳이 없겟네요.
성우는 약 4.8미터정도돼고 지산이 5미터가 넘는걸로 아는데 매지션으로 5미터넘게 만들기란 쉽지 않을겁니다.
만든다 쳐도 제데로됀 버텀,트랜지션,버티컬의 비율이 안나오죠.더군다나 정비사가 한국인일경우엔요.
한예로 성우파이프는 작년에 오픈후 약 2주가량은 파이프가 프론트벽쪽으로 좀 기울어져 있었습니다.
한마디로 버텀이 / <-이런 모양으로 쏠렸었단얘기죠 벽도 마찬가지로요.
그냥 눈으로보면 왠만해선 모르는데 타보면 느낌이 확 납니다.
아무튼 그런 파이프셰이핑의 착오나 작년 지산파이프의 트랜지션같은경우, 그리고 외국인 셰이퍼에서 한국인 셰이퍼로 바뀐후 대명파이프의 변화등등 기계와 만들때의눈(인공,자연) 기온, 마지막으로 셰이퍼에따라서 파이프는 천지차이로 바뀝니다.
한국에서 슈퍼파이프라고 부를만한 파이프는 성우,대명이 되겠네요.

...

2007.12.17 22:35:17
*.87.60.117

매머드가 일본을 거쳐서 우리나라로 들어오니 맘모스...

라이더

2007.12.18 08:08:00
*.241.18.179

울나라에 제대로된 슈퍼파이프가 있나 싶습니다. 슈퍼 벽만큰 파이프가 있지요..ㅋㅋ
트렌지션이 너무 없어요..트렌지션은 스몰파이프에 걸맞게 있고 벽은 높으니 왠간한 사람들은 백사이드에서는 많이들 버텀으로 랜딩을 직행하지요..울나라 파이프깍는분들..정말 실력없어요..연수라도 받고 오시지..

여담 : 왜이리 금지단어가 많은지...

11

2007.12.18 11:25:04
*.43.101.30

지난시즌까지 성우 파이프 좋았습니다...지지난시즌 대명 외국인이 파이프 깍었었구요....그땐 좋았습니다...올핸 어떨지 모르겠지만....

3333

2007.12.18 11:34:41
*.146.47.135

개인적으로 성우파이프는 위압감이 듭니다. ㅋㅋㅋ
경사도 심하고 벽이 높아서...
반면 대명파이프는 뭐랄까... 아름답습니다.
적당한 경사와 풍부한 트렌지션...

gatsby

2007.12.18 12:10:21
*.76.198.33

파이프를 타기위해 보드 타는 설판쟁이입니다.

국내 파이프의 빅3 대명, 성우, 지산 에서 타 보았는데요. (그중 시즌권 대명과 지산)

대명은 트렌지션이 매우 좋지만, 버텀이 좀 올라왔습니다. 배가 불렀다고 표현, 버텀에서 스피트가 다소 줄어듭니다.

그리고 경사도가 수퍼파이프 치고는 그리 높은 편이 아니랍니다. 그래도 파크 레인져의 정성도는 아마 국내 1위~~~~

성우는 경사도 최고 입니다. 버트가 대명만큼 높지 않지만 너무도 자연스러운 트렌지션 때문에 아주 부담없이 높은 에어를

쏠 수 있지요. 다만 버트가 살짝 오픈 된게 흠....그래도 속도감과 안락함은 성우가 짱입니다.

지산 파이프.....지난 시즌 파이프 오픈 하고 며칠간은 아주 좋았었지요. 수퍼파이프라고 불리울 만큼 높진 않아도 멋진 트렌지션

때문에 몇번은 아주 즐겁게 탔었습니다. 그런데, 헝글에 어떤 찌질이가 잘 만들어논 파이프 너무 작다고 투정부리는 바람에

파이프 구덩이를 더 깊게 파내고 엉텅구리 파이프를 만들게 되었지요. 항아리가 된것은 둘째 치고 버트 끝까지 파이프 매지션

날이 닿지가 않아서 삽질로 깎아내야 했었죠.

점수로 본다면 100 점 만점에 성우 파이프 90 점, 대명 파이프 85 점, 지산 파이프 공사전 85점, 공사후 55 점

volcomsnow

2007.12.18 13:54:38
*.252.108.237

파이프는 성우가 최고죠.. 참고로 평소의 버티컬은 대명보다 성우가 더 높습니다

대회때 보니까 평소보다 좀 낮아진 느낌이더군요..눈이 와서 그런듯..

그리고 대명과 지산은 비슷하나 갠적으로 지산이 더 좋았던거 같구요

작년 지산은 첨에 성우만큼 굉장히 좋은 느낌이었습니다.

그러다가 파이프가 좀 이상해 졌었습니다.. 눈이 와서 그런건지 파이프가 양쪽다 오픈되있었고

그래서 처음 파이프 처럼 만들어달라고 했던게 파이프 관리자가 오해가 있어서

파이프 버텀을 다 까고 왕창 벽을 높여 버린거죠.. 그 이후로 파이프가 바보가 된거 같더군요..

gatsby

2007.12.18 15:47:49
*.76.198.33

아항 올해 성우 시즌권인데 기대해 보겠씁니다. 글고, 지산 파이프 작년 같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m

2007.12.19 11:20:44
*.162.12.235

작년 지산 파이프는 모동호회에서 진상을 떨어서 망가졌죠..
그리고 그동호회분들 안보이더라는...

134

2007.12.19 12:14:15
*.43.101.30

지산 파이프 망가진게 그 동호회에서 직접 깍았나요? 지산에서 잘못깍아서 망가진거지...어의가 없네...

1. 슬로프 오픈시간과 파이프 오픈 시간을 오전 9시 야간 6시 동일하게 오픈해달라는것
( 파이프는 오전 10시 넘어서 오픈하고... 야간에도 7시 넘어서 오픈했었죠...)
2. 만들어 놓겠다고 약속했던 무빙벨트없어서 힘들게 걸어다니거나 블루리프트 이용하는거 무빙벨트 만들라는거..
3. 처음 파이프 오픈하고 틀려진 파이프 처음과 같이 해놓으라고 했던것..

3가지 요구 했었구요... 저도 동참했고,,,

지산이 짜증나서....성우에서만 탔네요..

다른건 모르겠는데 주말에...

120미터 되는 그 짧은 파이프 한번 탈려고 주말 블루 리프트에서 30분씩 기다리는게...지산은 다신.. 안간다~

gatsby

2007.12.19 14:59:40
*.51.84.179

지산 파이프 자리는 경사와 흙벽이 낮아서 수퍼 파이프 만든길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그냥 지난 시즌 초 처럼 딱 적당한 파이프로 만드는 것이 좋을 듯....

막쓰

2007.12.20 18:47:26
*.41.218.30

파이프 시즌초에..쫄라서 빨랑열어달라고 하시는것 자제해주시면 한주라도 더 좋은 환경에서 탈수잇습니다

벽이 얼지 않은상태에서 파이프를 탈경우 쉽게 무너지죠(그렇다고 다시만들지는 않죠)

지대 얼은상태에서 파이프시즌을 시작해야 좋다는..말이잇죠

ㅎㅎㅎ

(한국의 파이프는 한번 완성되면 시즌오프때까지 타야합니다.잇는동안 관리를 잘할수잇도록 초반에

좀 참아보시면 느끼실겁니다)

gatsby

2007.12.20 19:18:55
*.15.179.142

맞습니다.....그래서 적어도 3일은 얼려야 한다는 군요~

정보더

2007.12.21 05:08:15
*.30.128.27

슈퍼 파이프에 대해서 잠시 말씀 드릴까 합니다
주관적인 내용이니 참고들만 하세여 ..전 지산 에서 주로 타는 지라 ..작년에 지산 에 파이프 몬스터를 사서 자리도 옮기고
더 높게 경사도 다 했는데 ...초반에 ...눈을 마니 쏘지 못해서 그렇게 ..규모만 슈퍼지 실체는 그러지 못했습니다
우리 나라 리조트현실이 ..여론 몰이 식으로 운영 되다 보니깐 관리 소홀과 ..대회 기준으로 이루어 지다 보니깐 ..상태는 썩좋지가 않네여
지산은 영 관리가 꽝입니다 ..작년에 지산오픈 끝나고 ..한번도 안깍고 시즌 접었습니다 ..대명 달마오픈때와 대명 오픈때 타 보았지만 ..
대명은 관리가 잘되서 ..너무 좋더군요 햇빛도 잘들고 ,..바람도 마니 안불고 작년에 ..일본 국대 애들이 대명 상주로 타는걸 마니 보았습니다
울 나라에선 대명파이프가 최고 그담이 성우 지산 순인것 같습니다 ..버티컬요즘은 90도로 안 깍습니다 ..왜냐면 스핀위주로 하기 때문에 87도 86도 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요즘 추세는 87도 버티컬에서 알리 빵 하는 그런거 ..그럼 지산에서 파이프 열면 보아요 파이프 타는 보더가 진정한 보더 ㅋㅋㅋ
이상 파이프 타는 보더의 생각 입니다

DCinside

2007.12.26 15:53:28
*.13.46.54

1. 슬로프 오픈시간과 파이프 오픈 시간을 오전 9시 야간 6시 동일하게 오픈해달라는것 <-- 몸좀 풀고 타라고..
( 파이프는 오전 10시 넘어서 오픈하고... 야간에도 7시 넘어서 오픈했었죠...)
2. 만들어 놓겠다고 약속했던 무빙벨트없어서 힘들게 걸어다니거나 블루리프트 이용하는거 무빙벨트 만들라는거.. <-- 해외 어딜다고 다 하이컵으로 잘만타.
3. 처음 파이프 오픈하고 틀려진 파이프 처음과 같이 해놓으라고 했던것.. <-- 맨날 재설비는 ?

ROXY

2007.12.29 16:21:36
*.61.54.88

바텀이 없어진 형태군여,,,
좋은글이네여 잘봤습니다~

정답

2007.12.30 21:36:15
*.30.202.230

2001 휘닉스
2002 휘닉스
2003 지산
2004 대명
2005 대명
2006 성우
2007 성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63
371 일반 강습에 관하여^^ [17] 랭보 2008-11-24 61 4847
370 일반 택배 거래를 위한 간단 데크 포장법!! file [15] Ellumi 2018-10-05 22 4824
369 일반 일본에서 7월까지 자연설에서 탈수 있는 스... [30] Mars 2003-05-19 10 4821
368 일반 [그누맨]미국버튼 잠입취재 [23] 그누맨 2001-11-02 59 4804
367 일반 집에서 보드복 줄여봤습니다~ file [15] chobo88 2015-11-02 3 4791
366 일반 스노보드를 위한 근육 운동 [3] TKLee 2015-10-12 5 4787
365 일반 슬로프 경사도표시에 대해 [16] ▩양치기 2004-02-04 8 4739
364 일반 [긴급] 일부 게시판 바이러스 감염 주의하세... [20] KEIhyuk 2010-01-26 32 4707
363 일반 안경쓰시는분들! 좌충우돌 콘택트렌즈 도전기 ~ [28] VERON 2005-12-15 6 4687
362 일반 게시판에 동영상 올리기 (유툽, VIMEO) file [13] clous 2016-01-14 11 4662
361 일반 보드 타는것도 좋지만 한번쯤 갤러리가 되어... [12] 달팽 2007-02-21 62 4649
360 일반 한 시즌 보내는데 들어가는 비용 [44] 황금낙하산 2006-03-08 6 4639
359 일반 뻙큐멘터리 5 - 업다운의 진실 [18] 작살러버 2016-01-19 13 4601
358 일반 보슬비 -1- "스키장 부대시설, 어디까지?" file [16] ●조준희● 2012-01-23 2 4597
357 일반 검색어 안경 + 고글 + 일회용렌즈 [21] 바람가름[Yo... 2003-01-13 22 4597
356 일반 고어텍스는 따뜻하지도 가볍지도 않아요 [10] 낙타뒷발 2018-09-28 6 4578
355 일반 [소소한팁]스텀패드 사기 아까울때 file [13] 소리조각 2013-11-21   4569
» 일반 슈퍼파이프에 관한 몇가지 이야기 [18] 몽블랑설 2007-12-17 40 4530
353 일반 숀 토끼 마스크만들기(구피스탈버젼) [14] 구피스탈 2007-01-31 61 4530
352 일반 데크 탑시트에 스티커자국지울때.. [10] 2008-01-14 29 4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