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몽'님이 쓰신 칼럼인데 내용이 좋아서 여기에 옮깁니다.

-------------------------------------------------------------------

스노우보드의 실력을 가름하는 두 기준은 콘트롤과 스타일 이다. 어느 속도에서나, 어느 사면에서나 어느 설질에서나, 보드를 완벽히 컨트롤 할 수 있는 능력과 그것을 좋은 스타일로 하는 것이 보드기술 발전의 궁극의 목표 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서 하프파이프에서 똑같이 한키를 떠도, 딱 보면 그 보더의 콘트롤 능력과 스타일을 한눈에 알 수 있다. 기술의 난이도가 아니고 콘트롤과 스타일이 결국 제일 중요한 기준인 것이다. (물론 콘트롤이 잘되니깐, 고난이도 기술도 가능한 거지만 ㅋㅋ)

그럼 본론으로 들어갑시다.

어떻게 하면 콘트롤 능력과 좋은 스타일을 배양할 수 있을까?
그것은 마일리지와 기초기술에 충실하는 것이다.

1. 마일리지

마일리지란, 실제로 보드를 타는 절대 시간을 말한다. 제 아무리 운동신경이 좋고, 테크닉이 발전해 있어도, 마일리지가 부족하면 단번에 콘트롤과 스타일이 부족하게 보인다. 또한 아무리 운동신경이 좋은 보더라도, 마일리지가 많은 보더를 넘을 수 없는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장벽이 있다. 보드 실력에 배양에 가장 중요한 것이..보드 타는 절대 시간을 늘리는 것이다.

2. 기초 실력 배양

'기본에 충실하자' 이 말은 우리가 살면서 귀가 아프도록 듣는 말이기에, 다른 말 없이 조태정 프로의 말을 인용한다. 조태정 프로는 90/91년 시즌즈음에 무주에서 보드를 시작하셨는데, 그때는 무주에 초보자 슬로프만 보더에게 개방되어 있었다. 어쩔수 없이, 그 초보자 슬로프에서만 몇년을 죽어라 탔는데.. 프로가 되서 보니깐, 그때의 초보코스에서의 연습이 자신의 좋은 기술과 스타일을 엮어 내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는 것이었다.

( 무리하게 상급코스에서 내려오거나 하면, 결국 스타일을 안좋게 한다.)

누구나 잘타고 싶고, 실력이 빨리 늘고 싶다. 그러나 고난도 기술을 무조건 시도하는 것 보다, 지금 자기가 할 수 있는 기술을 꾸준히 오랫동안 하는 것이 실력 향상의 지름길이다.

외국프로들도 마찬가지다.대회에서나 비디오파트에서나 스타일과 콘트롤을 매우 중요시 여긴다. 데븐월쉬도 팔을 퍼덕이는 1080를 할바에는 부드럽고 완벽한 콘트롤의 180를 하겠다고 했다.

보더 여러분들이여.. 기술발전을 이루려고 너무 조급해지지 마세요~~ 좋은 스타일과 콘트롤 능력은 전적으로 마일리지에 의존합니다. 보드를 연습한다는 생각을 잊고, 그저 타시기만 하십시요.

달력에 탄 날짜를 체크하면서, 한 시즌에 최대한 자주 보드를 타십시요~  

엮인글 :

cabca

2007.12.20 07:33:55
*.92.196.17

마일리지 절대 공감...마일리지가 젤 중요해요..일단 많이 가봐야...잘탈수있는거죠..백날 이미지 트레이닝 해봤자, 2주 3주에 한번씩 가면 밸런스 잡다가 하루 다 지나간다는..ㅋ~~

헝걸소식통

2007.12.20 08:13:29
*.154.162.144

굿~~~~~~

마일리지 절대공감 2인 ^^

해니

2007.12.20 09:17:27
*.74.240.104

저두 마일리지에 공감
아무리 오랜시간 탔어도
뛰엄띠엄 탄사람과 한시즌
빡시게 탄 사람의 실력은
치이가 나더라구요

제시켜알바

2007.12.20 09:50:45
*.128.224.23

평일마일리지가 주말 마일리지에 두세배 적립되죠.
주말에 사람 피하면서 쌓는 마일리지는 피곤하기만 할뿐
평일 본인이 원하는 연습을 할수있는 마일리지가 훨씬 높죠.

롤러코스터

2007.12.20 10:02:10
*.123.2.229

관광 마일리지만 만땅인 1-人-

쩌밍올빼미

2007.12.20 10:40:47
*.244.40.253

마일리지~~~따악이넹..

WKD보더

2007.12.20 11:56:16
*.109.166.235

이제는 초보에만 들이대야겠군요....ㅡ.ㅜ

꽃보더가 될수있을까

2007.12.20 14:13:12
*.12.196.235

반성해야겠당.... 매일 수다만 떨고 지산이든 휘팍이든 3번만 타니까 실력이없지.....ㅠㅜ이제부터 열씨미 타야겠어요

leeho730

2007.12.20 15:44:44
*.72.88.93

팔을 퍼덕이는... ㅋㅋ

청월

2007.12.20 16:17:22
*.44.87.128

마일리지는 엄청난대 .. 실력이 늘지않은 1 -人-

★jAcK♡

2007.12.20 16:32:21
*.227.72.102

헤벨레한 잡기술보단 깔쌈한 원에리 강추^^

VERON

2007.12.20 16:45:41
*.129.128.241

평일 마일리지를 쌓고 싶다~ 직딩의 비애 --;;

천마Kim

2007.12.20 20:04:57
*.225.84.159

"데븐월쉬도 팔을 퍼덕이는 1080를 할바에는 부드럽고 완벽한 콘트롤의 180를 하겠다고 했다."

Kick

2007.12.20 21:13:55
*.27.105.120

그래서 저도 퇴근 후 매일 출격중 ㅡ_ㅡ;;;

1111

2007.12.20 21:56:11
*.163.81.93

조낸 타는거다...;;

미친스키

2007.12.21 00:29:21
*.88.163.164

그저께 본 이니셜D의 탁미 아버지가 한 말이 생각나네요...
"내 아들은 지난 6년간 매일같이 86을 타고 고갯길을 달렸다"고.....
난 언제 턴같은 턴을 해보냥....--ㅋ

초심-初心-

2007.12.21 01:37:43
*.253.95.23

오~~ 둘다, 너무 좋은 내용입니다. 마일리지와, 기초. 기초가 튼튼하지 않으면 부상의 위험도 높죠.

김철우

2007.12.21 17:41:41
*.78.90.123

마일리지.. 마일리지.. 마일리지..

다이나믹_DS

2007.12.21 19:06:00
*.132.163.171

무리한 슬로프를 택하는건 자세를 망친다에 한표 모두 모두 공감 가는 말들 투성입니다.

면목동오빠

2007.12.21 19:45:54
*.130.104.213

마일리지 공감
주말보더 3시즌보다 한시즌상주가 우수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17
371 일반 벽선반 만들기 !!!! [12] 대장곰보더 2008-06-01 107 16603
370 일반 허접이지만 카빙 입문에 대한 생각 써봅니다 [7] 뭉클 2008-05-13 104 6142
369 일반 캐나다 올드보이의 보드 입문기. [25] 신민용 2008-03-21 68 6700
368 일반 동영상 자료실에서 다운 받고 동영상 변환하... [9] 멜랑꼴리 2008-02-26 109 8152
367 일반 중국 스노우보드 시장 공략법 [17] 흰눈사이로 2008-02-06 52 6252
366 일반 데크 탑시트에 스티커자국지울때.. [10] 2008-01-14 29 4520
365 일반 다운, 업 과 프레스의 관계에 대한 저의 생... [37] 피아 2008-01-09 49 5782
» 일반 본질적으로 보드 잘타는 비법 [20] 몽블랑설 2007-12-20 30 8702
363 일반 슈퍼파이프에 관한 몇가지 이야기 [18] 몽블랑설 2007-12-17 40 4530
362 일반 헝글 자동로그인 문제 해결! [10] 댕구매니아 2007-12-16 43 3035
361 일반 [중급자] 힐턴 카빙이 더 어려운 이유 [51] 몽블랑설 2007-12-13 22 14222
360 일반 한국 초창기 스노우보드의 작은 역사... [24] Ricky 2007-12-11 56 8711
359 일반 라이딩이 부족한 분들에게 드리는 같잖은 말씀. [31] 하아하아 2007-11-30 40 11397
358 일반 장안의 화제 '고카' 바람 [28] 푸른볼펜연필 2007-11-30 44 7252
357 일반 10년전 PC 통신 동호회 역사 : 보드대중화 [25] 푸른볼펜연필 2007-11-23 46 5075
356 일반 스페이스 월~ 작업 [23] 나이스포에버 2007-09-14 46 6290
355 일반 중고장터 사진안뜨시는 분들을 위한 팁 [2] 구리더 2007-09-09 40 2752
354 일반 [고도칸보더] 스노우보드와 자동차 - 5) 캠... [56] 고도칸보더 2007-08-07 -120 7011
353 일반 20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프로 20명 [37] S로마 2007-08-05 32 5713
352 일반 워터점프에 관하여 [28] 큐브 2007-06-22 56 4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