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상 마지막 스노우보드 최대 시장인 중국을 공략하기 위해 멋진승부가 기대됩니다.
중국은 아직 스키/스노우보드 시장이 제대로 활성화 되었다고 하지는 못하지만, 엄청난 잠재력이 있는 곳 입니다. 스키장도 예상외로 많구, 개발되는 곳이 많습니다.

중국에서 6년째 열리는 Nanshan Open 대회 TTR대회이고, 정말 유명프로도 참여를 많이하고 노키아,레드 불 등이 스폰서로 참여하는 쟁쟁한 대회 입니다. 이 대회를 의도적으로 중국에 열고 있는데.. 그 이유가 중국에 스노우보드 인구를 늘여서 시장을 만들려고 하는 것이지요.
버튼이 글로벌 팀라이더 모아서 중국 시내 한복판에서 레일이나 점프 시범을 보이는 것도 같은 이유

중국은 현재 경제가 발달해서, 중형차를 몰며 해외여행을 할 수 있는 인구..그러니깐 잠재 스노우보드/스키어 인구가 약 3000만~5000만 이라고 합니다. 전체인구의 3% 정도이지만, 우리나라 남한 전체 인구수와 비슷 합니다. 엄청나죠. 단일 시장으로 세계 최고 일 겁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언제부터인가 스키 붐이 일어, 위슬러로 뉴질랜드로 일본으로 투어을 가는데, 앞으로 정말 많은 중국인들도 그렇게 할 겁니다.

돈은 어떻게 버나..

일본은 80년대 경제호황으로 스키장을 많이 지어서 700여개 스키장이 있습니다만..
버블경제가 붕괴되고, 98년 나가노 올림픽 이후로 아이러니하게도 스키/보드시장이 위축되어서 운영을 못하는 스키장이 많습니다. 망한데도 많습니다. (어려운 곳도 많죠.. 일본 지자체가 한국 보더/스키어 유치를 위해서 요즘 부단히 노력하죠?)

첫번재 ,자 그런 스키장을 헐값을 사들인뒤, 한국인도 유치하지만 장기적으로 중국인 유치를 하기 위해서 준비를 합니다. 아시아 3국중 적설량이 가장 많은 일본 위치도 좋습니다.

두번째는 러시아에 리조트를 개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게 가장 러시아에서 지금 원하는 건데..
푸틴이 스키광이라 러시아에다가 다보스 같은 걸 만들려고 꿈을 꾸는 사람입니다.
스위스 다보스는 스키리조트이면서도 다보스포럼 같은 국제회의를 많이해서 돈을 엄청 버는 곳 입니다

세번째는 러시아 헬리스킹 사업
이것은 러시아에서 슬슬 붐이 일려고 하는 겁니다.
헬레스킹은 캐나다에서 처음 시작되었고, 지금도 전세계 헬리스킹 사업의 80%가 캐나다 BC주에 있습니다.
그런데 러시아와 중국시장이 터진다면 러시아 헬리스킹이 매우 매력적입니다.
작년도 버튼 DVD에서도 러시아 헬리장면이 나오는데, 눈질이 좋다고 하네요.

네번째, 스노우보드 사업으로 직접 중국시장 공략
사실 제 생각으로는 이것이 리조트 사업보다 더 어렵지 않나 생각합니다.
일단 현재  버튼, K2라이드 같은 엄청난 노하우와 능력을 가진 거대 기업을 상대로 돈벌기는 힘들죠.
아마 신생업체가 버티기 유난히 힘든 업계가 스노우보드 업계가 아닌가 봅니다.

횡설수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엮인글 :

다니엘프랭크

2008.02.06 20:58:14
*.128.131.45

칼럼이라기보단 자게에 쓰셔야할 듯 한데요? ^^;

콘디

2008.02.06 21:42:18
*.226.185.157

이글보면서 문득 떠오르는 생각.... 중국판 헝글보더사이트 구축하면 잘될것 같다는거....-.-;

432

2008.02.06 23:57:59
*.130.20.30

울 나라가 할일은...
보드용품 끽해야 옷 정도 밖에 생산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중국시장은 우리와 먼 얘기 그럼 남은 한 가지는 올림픽에서 금 메달을 따거나 각종 국제 대회에서 입상하는것 밖에...

2008.02.07 00:59:40
*.234.136.231

중국판 헝그리보더 싸이트같은거 이미 있습니다

보더05

2008.02.07 08:00:10
*.178.133.29

중국판 헝그리보더 사이트 주소 아시는 분??

...

2008.02.07 10:53:19
*.254.169.73

이런거볼때마다 생각드는게..
모든사람이 보드를 좋아하고 탈거라는 착각들..
우리나라만 봐도
해외로 원정나가면서까지 보드를 즐기는 사람은 소수일뿐입니다.
차라리 해외로 골프치러나가는 사람이 더 많겠군요.

일반

2008.02.07 10:57:17
*.123.175.245

맞습니다...의외로 보드에 열광하는거 이상하게 생각하는 사람 많습니다. 아니..의외가 아니죠, 당연하다고 하야 하나요? 스노우보드는 그냥 겨울에 관광하는 식으로 즐기는
레포츠란 인식이 박혔으니...

근데

2008.02.07 11:43:23
*.111.73.58

짱깨 애들은 뭐든 하는 스포츠는 막상 잘 안함. 어릴때부터 전나 스파르타식으로 굴려서 금메달 따는건 잘해도 동네에서 공차는 꼬마애 하나 구경하기 힘듬. 스포츠는 금메달 따서 짱꿰민족의 위대함을 자랑하려고 하는게 아니라 직접 니가 하고 즐기는거라는 양키 마인드를 심어줘야 보드던 나발이던 할꺼 같음. 뭐 워낙 대가리 수가 많아서 아주 쪼금만 심어줘도 우리나라 보더 수보다 많겠지만요.

2008.02.08 01:51:42
*.234.137.6

2008.02.08 01:52:06
*.234.137.6

2008.02.08 01:54:05
*.234.137.6

target=_blank>http://www.boardzone.cn/


대략 이정도고 짱깨들은 bbs 게시판을 잘 이용하더군요

2008.02.08 01:57:20
*.234.137.6

궁금한거 있으시시면 쪽지주세요~

따오밍스

2008.02.08 13:00:54
*.179.66.155

근데...님 어디 계셨는지는 모르겠지만 짱꼴라 들이 직접 하는 스포츠를 안한다니요...추운 동네에 계셨나봐요..제가 가본 상해, 항주, 위해 등지에서 본 짱꼴라들 배드민턴, 탁구, 농구, 하다못해 공원에서 늙은이들 볼룸 댄스...정말 생활 스포츠 강국입니다. 왠지 간지가 안나고 장비 살 여력이 안받쳐줘서 그렇지.. 암튼 빨리 통일되서 개마고원쪽에서 헬리 보딩이나 해볼수 있었음 좋겠네요...헐...(실력은 바로 조난...ㅡ.ㅡ;;..)

mokrider

2008.02.08 14:17:36
*.141.155.170

http://slopestyler.com/ 여기두 추가요

가투소

2008.02.09 00:42:55
*.50.138.82

저번 8월 중국 북경에서 열리는 동계스포츠 박람회에 다녀왔습니다.
제 생각중에는 이글을 쓴 분의 생각과 비슷한 구석도 있었기에 다녀왔죠.
어땠냐고요?
중국 아직 한참 멀었더군요. 박람회 참 초라하더군요.
1인당소득수준이 1만불은 넘어야 레저시장이 형성됩니다.
게다가 중국은 사회체육이 아니라 엘리트체육 위주로 돌아가는 나라입니다.
돈 그렇게 생각처럼 쉽게 벌리는 것 아닙니다.

.

2008.02.09 09:51:50
*.45.109.186

아마 올림픽 개최 하면서 붐이 일지 않을까요? ~~

josh

2008.02.09 13:36:55
*.140.58.208

ㅋㅋ.. 이미 탈만한 사람들은 이미 잘 타고 있습니다...

작년 상해 여름에 실내 스키장 가보니 시설은 안습이여도, 즐길 녀석들은 재미있게 즐기고 있더군요...

단 장비는 좀 그럴지 몰라도, 이미 중국 국내에서 즐길 만하다 수준의 사람들은 이미 외국, ,일본, 우리나라 하이원 같은데 와서 즐기고 가더군요..

중국은 아니지만, 이번 하이원 곤돌라서 같이 이야기 한 홍콩에서 온 가족은 매년 일본 삿포로에 갔는데,, 이번에 한국 온 이유는 애 방학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나...

암튼... 이미 즐길 사람들은 외국 나가서 즐깁니다.... 우리나라 국내 3%가 그러하듯.. 갸들도 말이죠... 갸들 1%가 1600만인데...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2
371 일반 벽선반 만들기 !!!! [12] 대장곰보더 2008-06-01 107 16538
370 일반 허접이지만 카빙 입문에 대한 생각 써봅니다 [7] 뭉클 2008-05-13 104 6137
369 일반 캐나다 올드보이의 보드 입문기. [25] 신민용 2008-03-21 68 6700
368 일반 동영상 자료실에서 다운 받고 동영상 변환하... [9] 멜랑꼴리 2008-02-26 109 8146
» 일반 중국 스노우보드 시장 공략법 [17] 흰눈사이로 2008-02-06 52 6248
366 일반 데크 탑시트에 스티커자국지울때.. [10] 2008-01-14 29 4520
365 일반 다운, 업 과 프레스의 관계에 대한 저의 생... [37] 피아 2008-01-09 49 5782
364 일반 본질적으로 보드 잘타는 비법 [20] 몽블랑설 2007-12-20 30 8702
363 일반 슈퍼파이프에 관한 몇가지 이야기 [18] 몽블랑설 2007-12-17 40 4530
362 일반 헝글 자동로그인 문제 해결! [10] 댕구매니아 2007-12-16 43 3035
361 일반 [중급자] 힐턴 카빙이 더 어려운 이유 [51] 몽블랑설 2007-12-13 22 14218
360 일반 한국 초창기 스노우보드의 작은 역사... [24] Ricky 2007-12-11 56 8706
359 일반 라이딩이 부족한 분들에게 드리는 같잖은 말씀. [31] 하아하아 2007-11-30 40 11393
358 일반 장안의 화제 '고카' 바람 [28] 푸른볼펜연필 2007-11-30 44 7252
357 일반 10년전 PC 통신 동호회 역사 : 보드대중화 [25] 푸른볼펜연필 2007-11-23 46 5075
356 일반 스페이스 월~ 작업 [23] 나이스포에버 2007-09-14 46 6290
355 일반 중고장터 사진안뜨시는 분들을 위한 팁 [2] 구리더 2007-09-09 40 2750
354 일반 [고도칸보더] 스노우보드와 자동차 - 5) 캠... [56] 고도칸보더 2007-08-07 -120 7009
353 일반 20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프로 20명 [37] S로마 2007-08-05 32 5708
352 일반 워터점프에 관하여 [28] 큐브 2007-06-22 56 4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