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시간이 좀 생겨서 한번 적어봅니다.

제가 스노우보드를 배우면서 턴들을 배우게된 이야기라고 보시면 될것같네요..

두서없이 시작하여 두서없이 끝나므로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스노우보드를 처음 탔던날…

91/92 시즌이 마무리되려는 2월의 어느날로 기억합니다.

아는 형님의 Santa Cruz – Tau 보드를 빌려 같이 스케이트보드를 즐기던 형 한분만 믿고 양지리조트로 향했습니다.

그 당시 스키를 5시즌정도 탔고, 스케이트보드를 타고 있던때라 긴장은 별로 하지 않았던것으로 기억합니다.

그저 극도의 흥분만이 있었지요..ㅎㅎ

당시는 모든 스키리조트에서 스노우보딩이 가능했었습니다.

모든 슬로프가 오픈되었었으며, 스노우보더보다 모노스키의 인구가 더 많았던 시절입니다.

아뭏튼 양지의 가운데 언덕을 걸어올라가서 사이드슬립을 배우고 한쪽턴까지 배운후 바로 리프트를 탔습니다.

기억에는 오렌지리프트였네요. 다행히 해오던 것들이 도움이 되어 첫번째 런에 비기너턴을 배웠습니다.

물론 역엣지의 아픔도 봤구요. -0-ㅋ 그날은 그냥 슬로프에서 내려가는게 참 재미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둘째날은 지금은 없는 알프스리조트였습니다. 3월 말이었는데 폭설이 내려서 정말 좋은 시간을 보냈지요.

이날찍은 사진이 어딘가에 있는데.. 기회가 되면 올려보도록하지요..ㅋㅋ

둘째날에 처음으로 노비스턴의 느낌을 느꼈던기억이 납니다.

그때까지 강했던 사이드슬립의 느낌보다는 보드가 앞으로 가는 느낌을 받게되어 정말 재미있었습니다.

처음으로 모글을 향해 에어(?)를 강행… 가슴으로 착지하는 아픔을 겪은 날이기도 합니다. ㅎㅎㅎ


그후 모든 리조트가 스노우보드를 금지하게되고 스노우보드는 암흑기(?)를 맞이하게됩니다.

다행히 무주리조트의 한 슬로프… 루키힐이 스노우보더들에게 오픈되어 전국의 스노우보더들이 무주로 모이게되는 좋은 점도 생기게 됐었습니다.

이때 친해진 많은 스노우보더들이 지금도 스노우보드를 즐기시는 분들이 많아서 가끔 우연히 만나게되면 그 당시 얘기로 꽃을 피웁니다. ^^


이 당시 프리스타일보드로 카빙하는 분들은 정말 손에 꼽현던것으로 기억합니다.

슬라이딩턴, 카빙턴의 개념도 제대로 없이 그저 스노우보드를 타고 가고 싶은곳으로 가는것 자체가 즐거운 시절이었지요.

하지만 드물게 일본의 잡지라던가 자료들이 있었고 저도 그 자료들로부터 카빙에 대한 개념을 배우게되었습니다.

그리고 알파인분들이 하는 카빙을 보고 따라 배우게 되었습니다.

알파인 최고의 동호회였던 레드렌과 로드런너 형들을 보고 프리스타일에 적용시켰습니다.

어쨌든 우여곡절끝에 카빙을 배우게되고 2시즌정도 카빙만을 파게되었습니다.

무주루키힐의 완만한 경사가 카빙의 연습에 많은 도움을 주었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지금의 어드밴스드와 다이나믹의 차이점을 배우게되었고, 카빙의 속도감이라던가 원심력을 이용하는법 등을 모두 배울수있었습니다.

현재의 다양한 터레인이 아닌 슬로프하나이므로 집중력은 아주 좋았었습니다. ^^;

그 당시 가장 좋은 카빙파트너였던 이상이프로님께 이자릴빌어 감사드립니다~


저의 스타일은 그렇게 알파인을 프리스타일에 접목한 조금은 특이한 형태였습니다.

지금의 일본스타일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되겠네요.

한때는 바인딩 스탠스를 45도 30도까지도 사용하기도 했으니 지금의 하이브리드느낌이기도 하네요.

당시에는 프리스타일보드에 알파인부츠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제법 많았던 시절이니 전혀 이상한게 아니었습니다.

그 스타일은 계속 발전되었고 에어할때 불편함이 문제가 되어 스탠스가 약 15도 0도가 되어도 자세는

알파인과 비슷하게 유지하게 되었습니다. 이 자세는 현재까지도 저에게 영향을 많이 주고 있습니다.(지금은 21도 -9도)


그러다가 95년에 미국에서 온 프로들의 프리스타일카빙을 보게되고 일단 따라하기에 집중…

한시즌내내 연습해서 프리스타일만의 카빙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이 당시에는 원래 가지고 있던 카빙과 새로운 카빙의 접목이 잘 되지 않아 필요할때 꺼내쓴다는 느낌이 참 강했습니다.

완전히 다른 자세로 슬로프를 내려갈수있어서 몇몇 보더들이 이상하게 보기도 했습니다.

프리스타일 카빙을 배우기전에는 에어와 카빙은 서로 완전히 다른 영역이었었습니다.

카빙을 하고 내려가서 뛰기전에는 자세를 바꿔 에어에 들어가는 식이었지요.

그러다가 프리스타일 카빙을 배우고나니 카빙에서 에어로 들어가는 부분이 상당히 매끄럽게 되어

그때부터 실력이 많이 늘었던 기억이 납니다.

후에 하프파이프에서는 절대적인 부분을 차지하게되어 안도했던 기억도 있습니다. ㅎㅎ


군대생활후에… 미국에서 6시즌정도를 보내게되었습니다.

참으로 신기하게도 미국인들은 당최 카빙과 턴을 잘 안하더군요. -0-;

제가 한국에서 만나봤던 프로들 같은 명인(?)들은 볼수없었습니다.

있던지역이 빅베어였는데 짧은 슬로프때문에 더 그랬던것 같습니다. 아뭏튼… 다들 참으로 턴을 못하더군요.. ㅋㅋ

하지만.. 저는 덕분에 빠르게 로컬라이더들과 친해질수있었습니다.

제가 턴하는걸보고는 먼저 다가오는 보더들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친구들이 많이생겨 잠도 얻어자고~ 파티도 같이가고~ 물론 라이딩도 같이했습니다.

미국에 있는동안은 프리라이딩을 많이 배운것 같습니다.

슬로프의 지형을 보고 그에 맞는 턴을 하게되고.. 무지막지한 크기의 스키장에 가서도 타보고..

다양한 부류의 스노우보더들과 다양한 라이딩을 하게되어 참으로 운이 좋게 많은 것들을 배웠습니다.

이때  AASI의 자격증을 따기도 했네요~ ^^ 그런데 또 서핑에 빠지게 되어 열심히 못탄건 좀 아깝습니다.  ㅠㅠ


그후 2005년에 한국에 오게되고 스키장을 가보니 제가 알던곳이 아니더군요. ㅋ

동호회는 수백수천개고… 헝그리보더는 또 뭔지.. 보더가 너무많아져서 스키어보다 많은건 정말 충격적인 모습이었습니다. ^0^;  

턴의 이름들도 복잡해져서 뭔가 새로운턴들이 나온것 같았습니다.

알고보니 다 그게 그거라는.. ㅋㅋㅋ 이름만 복잡해졌더군요..

사업이 바빠 스노우보드를 약간 등한시하다가 저번시즌부터 다시 열심히 타기 시작했습니다.

올 시즌은 완전 열심히 타는중… 예전의 제 몸으로만 돌아가도 좋겠습니다. ㅎㅎ


오랜 시간동안 몸에 쌓인 스타일이 조금 복잡하게 되었습니다.

1. 알파인에서 차용한 스타일

2. 프리스타일만의 카빙

3. 교과서적인 스타일 – 저번시즌에 김현식프로님의 도움을 받아 배우게 되었습니다.

4.  1번과 2번을 합친 저만의 스타일(미국에서 몸에 붙은듯해요.. ) 에 3번을 접목하려하는중…

위 4가지인데.. 언제든지 꺼내서 쓸수있는건 좋은것 같습니다. ㅋ

다들 기본원리는 같은데 그 기본원리를 각각의 자세와 스타일로 적용하니 서로 도움이 되는 경우도 많은것 같습니다.


아무생각없이 재미있게만 타려고한 스노우보드가 오랜시간동안 저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여러 스타일들을 가지고자 한게 아니지만 그냥 그렇게 되고말았습니다.

가끔 헝글을 보면 이 스타일이 어떻고 저 스타일이 어떻고 싸우게 되는 경우도 보게되는데…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보면 모두 스타일만이 다를뿐입니다.


올시즌동안 휘팍이나 하이원 어딘가에서 또 다른 턴을 연습하고 있는 절 보실수있을겁니다.

모두 즐거운 시즌되시길~~~ ^^

두서없는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엮인글 :

파전

2008.12.30 19:38:53
*.176.10.56

일주일 묵은 변비마냥 묵직한 내공이 느껴지는 글이었습니다.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보면 모두 스타일만 다를 뿐이라는 부분에서 관조의 향취가 묻어납니다.

저는 몇 시즌을 보내고 나야 그리 될까요ㅜㅡ

cabca

2008.12.30 19:52:01
*.92.196.17

ricky님 숏턴 보면 알파인 느낌이 좀 강했는데, 그런 연유인가봐요..

어쨌거나...프리스탈 카빙은 어떤 건지 궁금합니다. 혹시 동영상 있으심 좀 보여주시면 대단히 감솨~~~

요즘 ricky님하고 grindays님 덕택에 누구나 컬럼이 즐거워요~~~^^

Ricky

2008.12.30 20:04:24
*.119.189.119

파전님// 사부님을 찾아 떠나세요~ 요샌 테크놀로지 덕택에 저처럼 몸으로 배우지 않아도 됩니다. ^^ㅎㅎ

cabca님// 프리스타일 카빙이라는건 따로 정해진것이 아니라.. 아마도 요새 가장 많은 프리스타일 보드를 타는 분들의 자세일겁니다. 다음에 기회가 되서 뵐수있으면 보여드릴께요~ ^^
아.. 그리고 grindays 군도 암흑기-무주루키힐시절 보더입니다.. ㅎㅎㅎ

Lunatrix

2008.12.30 20:34:02
*.166.208.203

말씀하신 -2. 프리스타일만의 카빙- 이거 굉장히 궁금해지네요.
사실 카빙은 알파인이 좀더 앞서나간다고 생각할 뿐만 아니라 말씀하신 라이딩의 기본적인 원리라는 관점에서 볼떄도
프리 또한 고난이도의 카빙시엔 알파인의 자세를 따라가는게 당연한 수순이 아닐까...라고 생각해왔기 때문에 말이죠.
물론 스탠스는 그대로 둬야겠죠.

뭐 사실 이런 얘기를 하자면 우선 '프리 스러운 자세'와 '알파인 스러운 자세'부터 명확히 정의하고 이야기에 나서야 혼란이 없겠지만 말이죠.
물론 저는 알파인을 타보지 못한 관계로 알파인 특유의 '알파인 스러운 자세'를 정확히 모릅니다...
하지만 사실 프리 또한 어떤 자세가 진짜로 '프리 스러운' 자세인지 이제는 잘 모르겠네요.

어째 갈수록 프리는 알파인을 닮아간다는 생각만 듭니다.
몇년전만 해도 고릴라 자세와 곧휴 내밀기가 먹어줬는데 이제는 아니죠. 슬롶에서 카빙좀 한다, 좀 날른다, 이런 사람들 대부분 알파인과 유사한 자세를 취하게 되더군요.
아니 하다 못해 스타일 죽여주는 라이더들도 미묘하게 알파인을 닮아갑니다.
게다가 상급에서 카빙? 이런 프리는 실제로 보지도 못했을 뿐더러, 중급에서도 알파인 카빙과 비교하면 한참이나 부족한 프리만 보아와서인지...과연 프리만의 카빙이란게 어떤건지 너무나 궁금합니다.

스크래치

2008.12.30 21:03:00
*.224.152.244

아마 암흑기 보더들은 얼굴 보면 다 기억할 듯 합니다. ㅋㅋ 저는 그래서 요즘엔 항상 두건을 쓰고 다닙니다. 맘 놓고 편하게 타려고요...ㅎㅎ

보드 좀 탄다 싶으면 아는 얼굴들이더군요...

한줄요약: 저 그 땐 머리 묶고 다녔어요. ㅋㅋ

Ricky

2008.12.30 21:30:59
*.119.189.119

Lunatrix 님//
프리스타일 카빙은 알파인 스타일의 카빙보다 퍼포먼스면에서 약간 뒤쳐집니다.(제 생각에..)
직접 보셔야 이해가 가실듯하네요.
상급에서 카빙은 안합니다. 상급에 가면 슬라이딩턴을 하죠.. ^^ㅋ

제가 얘기하는 프리스타일 카빙은 시대에 뒤쳐져있습니다. (어떤 프리스타일러들은 아직도 여기에 목숨겁니다만..--;) 저는 급사에선 절대 사용안하고 완사에서 주로 사용합니다.
알파인 스타일도 역시 시대에 뒤쳐져있구요...(너무 옛날 스타일이라서요.. ㅠ) 중급정도의 경사에서 상당히 잼있습니다.
느끼게에 상급에서는 이 둘을 합쳐놓아야만이 어느정도 서로 보완이 되면서 쓸만해진다고 느껴집니다.

그래서 슬로프 상황에 맞춰 제가 쓰고 싶은걸 꺼내씁니다.
저랑 딱 한시간만 같이 다니시면 다 보여드릴수있습니다. ^^

저번 프리라이더들 모임에 오신분들은 좀 이상하다고 보셨을수도 있겠습니다. 보신분??

chance

2008.12.30 22:04:59
*.34.43.178

고릴라자세 생각만해도 ㅋㅋㅋ 4-5년전만해도 그자세가 무슨 fm인양 사람들이 하고 다녔는데 예전 생각나서 한번 뻥터졌네요 ㅋㅋ 저때는 보드를 알파인처럼 어깨 열고 타면 자세 안이뻐요 이상해요 ㅋㅋ 어깨 닫아야 정답인듯 했던 시절.. ricky님 때문에 예전 기억 나게 만들어주네요 감사 ^^
ricky님 나중에 휘팍에서 라이딩 하는 모습 보여주세요 ^^ 왠지 저랑 비슷한 자세로 탈것 같은 느낌 ㅎㅎ

leeho730

2008.12.30 22:30:13
*.79.208.235

알파인 보드계도 익스트림카빙같이 재미를 위주로 하는 것으로 살아남으려고 하고 있으나,
현재는 현상유지에 급급하죠. 새로 들어오는 알파인 카버들은 적고, 점차 알파인 카빙 인구도 노령화되고,
지금은 미국,유럽,일본등지의 매니아층과 국대/월드컵 레이서들의 전유물이 되다시피 해 버린 거죠.

제가 올해 본 알파인 카버들이 스무명이 안 되었니....

알파인 카빙 잘하시는 분이 하시면 좁은 상급 강설 슬로프에서 남들이 한턴할때 3턴은 하는 포스를 선보일 수 있으나...
이런 분들 점차 보기 힘들죠... 다들 무릎이 편찮으셔서... 저는 올해 딱 한명 봤습니다.

우웃~!!

2008.12.30 23:15:09
*.153.69.228

얼마전 우연히 리키님 동영상을 보고 반했었는데 정말 오랜 시간을 보드와 함께 한 분이군요.
힘이 느껴지게 타는걸 좋하다보니 정말 입벌리고 봤드랬죠.
게다가 제가 보드를 접한지 얼마 안되서겠지만 일본 동영상에서나 보던 스타일을
한국인이 그렇게 멋지게 보여주는건 처음이었지요.
리키님의 또다른 영상이 기대되네요. +_+

JohnBird

2008.12.31 04:53:31
*.176.244.18

리키님과 프리라이더 모임을 같이 했던 1人입니다.
직접 보시면 동영상 그거 아무것도 아닙니다 ㅡㅅㅡ
그보다 입이 더 벌어질겁니다 ㅋㅋㅋ

날아라가스~!!

2008.12.31 09:15:57
*.78.73.97

저도 프리모임에 참가했었던 사람인데, 리키님은 술을 그닥 많이 드시지 않고 절제하던 모습을 보이시던게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많이 슬림하셔서 고기도 많이 안드셨으며, 자신이 최고령자라 생각하셨으나, 저와 동행한 사람이 더 나이가 많은걸 알게 되자 흠칫 놀리시던 모습입니다. 그리고 이것저것 신경을 은근히 세심하게 쓰셧다는 느낌이었습니다.

슬롶에선 잘 모르겠습니다. 참 신기했던게 슬롶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신다는게 제 느낌이었습니다. 굳이 그걸 어드밴스드 슬라이딩이네 뭐네하시기 전의 개념인거 같던데요.

아무튼 술을 많이 드시지 않고 다음날 새벽같이 일어나 또 보드타러 가시는 모습이 참 무서웠습니다.

나타

2008.12.31 09:32:10
*.87.60.93


하이원에 출몰하시는군요!!! 굿굿 ㅎㅎ

꼭 한번 뵙고 싶습니다 ㅠㅠㅠ

Jay Kay

2008.12.31 11:42:35
*.239.247.60

혹시 다음카페 "서퍼스 파라다이스"에서 미국에서 써핑하시면서 글쓰시던 그 리키님 맞나요?

Ricky

2008.12.31 20:07:28
*.119.189.119

좋은 말씀들 감사드립니다~~ ^^

Jay님 저 그 릭키맞습니다. ㅋ

부채도사

2009.01.01 15:52:55
*.80.218.195

동영상 보고 반했습니다. 언제 슬롭에서 뵈면 인사드리고, 가르침 받고 싶습니다.^^

크발칸B.D

2009.01.05 09:20:05
*.233.121.242

릭키님 동영상은 항상 즐겨보고 있습니다. 다이나믹한 턴이 너무 멋있어서요 ^^;; 올해도 좋은 영상 많이 부탁드립니다.

낙옆시속160km

2009.01.05 14:47:31
*.76.203.61

성우에서 직접본 무시무시한분

a보더

2009.01.08 17:26:36
*.166.62.102

그 시절의 이상이프로와 함께 하셨다니 내공이 엄청나시겠어요
동영상 보면서 다시 한 번 감탄했습니다

찌질이

2009.01.09 01:22:59
*.234.99.98

우와~~정말 멋진글이네요~~그럼 당췌 몇년이니나 보딩을 하신건지...정말 부럽습니다....^^제가 추구 하는 이상이네요..^^(60까지는 탈생각 프리로...ㅎㅎㅎ)요즘라이딩은 자기스타일이져..개성....자기가 맘에들고 편한 자세로 ....물론 기본이 된다음 얘기구여..^^
참고로 저는 어깨열고 다리펴고 타여~~~ 물런 상급 얼라가면 전경주구 지데로 타지만........중급이하는 ㅎㅎㅎㅎ
그게 편하고 나름 멋있다고 생각하구....남들이랑 틀리니까.....고릴라자세는 간지가..ㅎㅎㅎ
암튼 개성이 강한 시대이니만큼 본인만 조으면 괘아나다고 생각합니다.ㅎㅎㅎ^^ 즐~~~~보ㄸㅇ

BLAZE

2009.01.12 03:55:15
*.220.61.27

릭키님 못뵌지 오래됐네요.
언급하신 4번이 기대됩니다. 하지만 릭키님의 매력은 각각의 다른 스킬들보단 슬로프 상태에 따른 자유로운 라이딩!! 한수 가르침이 간절하네요 ^-^

風浪

2009.02.15 01:04:57
*.209.130.18

헉 싸부님!! 칼럼글을 뒤적이다가 아우라가 발광하는 제목이 보여서 낼름낼름 들어왔는데
이기영샘~~님의 글이었네요 우훗~ 클리닉 참석 1순위 박용희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미친듯이 어드벤스 연습하는데 잘 안되네요.. 옆에서 봐주는 사부가 없어서 그런것 같아요...
요즘 슬럼프에요.. ㅠ.ㅠ 발목이 돌아가서 연습도 못하고 있죠..


보더지니

2009.05.15 11:13:07
*.88.246.210

뽀사당 리키님이시네요....
제가 하고픈 라이딩의 모습입니다...
동영상 볼때마다 감동한다는....ㅜ.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08
411 일반 MFM(Marc Frank Montoya) 그를 만나다. file [31] 엘에이 2009-04-06 128 4903
410 일반 무주와 강촌의 스키장들 간단비교~ [31] 정성재 2009-02-14 102 8324
409 일반 보드복 관리, 이렇게 해 보아요 ! :) [19] 라라라링 2009-02-04 61 7683
408 일반 넘어지는건 아무 것도 아닙니다. [16] 1976 2009-02-04 66 6517
407 일반 살로몬 말라뮤트 뒤꿈치 안아프게 만드는방법.. [35] 가로아 2009-01-16 71 9186
406 일반 근육의 데미지를 줄여주고 체온유지 성능 극... [20] 꽃같은보더 2009-01-12 72 6778
405 일반 보더들을 위한 첫DSLR 구입 가이드 (1) [52] tiberium 2009-01-10 49 6138
404 일반 데님보드복 제작했습니다..ㅠ 샘플사진포함! [18] 날아라 2009-01-10 73 9709
403 일반 인터넷 광1고 차단법 (네이버,다음,구글) [2] 가을에내리는비 2009-01-09 64 2435
402 일반 렌즈가 눈에 안맞아 안경 김서림으로 인해 ... [29] 곰돌이짱 2009-01-08 61 9935
401 일반 프리에서 알파인 보드로 처음 타봤습니다...... [37] 방통 2009-01-05 53 13077
400 일반 위성사진으로 본 국내보드장 스케일 비교 [20] 루프트 2009-01-03 62 11031
399 일반 그 정답이 없다는 바인딩각도에 대하여.. [13] 출열보더 2008-12-31 53 17012
» 일반 여러 스타일을 가지게 된 스노우보더... [22] Ricky 2008-12-30 65 7383
397 일반 첫 한국 보드장(성우) 시승 후 느낌 [40] OhSean 2008-12-22 53 8285
396 일반 보드복 세탁(퍼옴 [18] 30번보더^^ 2008-12-18 75 9335
395 일반 시즌보험!! 알아두면 유용한 정보^^ [13] ANGLICO™ 2008-12-08 63 5196
394 일반 반다나 만들기...한번 도전해 보았씨요.. [5] 어이쿠 2008-12-04 53 6196
393 일반 자작 인식띠 한번 만들어 봤습니다 [7] 메인보드 2008-12-04 56 4247
392 일반 랜탈데크 사용법(?) [21] 냐옹이 2008-12-03 48 7279